[전체] “상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02)
사전(809)
- 상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아내 상(喪)을 당함. 상우(喪偶), 상처(喪妻). 季君歲前喪耦以來 不可自任內幹 故率去柳妹 而任家, 김봉규(金鳳奎), 40-7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尚右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S_0071 尚右 관직 ㅍ 漢法尚右, 昇平 陳平, 絳, 灌 老子 S_18_01_70 성호사설 18권 1장 70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서상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상우 필적 1831(순조 31)-1903. 조선 말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이칭별칭 은경(殷卿)| 규정(圭廷)| 문헌(文憲)
- 김상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1107년(예종 2)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고 이듬해 형부상서로서 예부시랑 한안인(韓安仁)과 함께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109년 3월 예부상서로서 동지공...
- 경상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에 경상도 지방의 행정구역을 동ㆍ서로 나누었을 때 경상도 서부 지역의 행정구역. [내용] 1407년(태종 7) 군사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경상도를 좌ㆍ우도로 나누어서 낙동강 동쪽을 경상좌도, 그 서쪽을 경상우도라 하였...
단행본(4)
- 동아시아 이주민사회와 문화 적응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상우 ... | 출판사 : 경진출판 | 출판일 : 20170501분야사회 | 유형단행본
- 만선사, 그 형성과 지속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 서울대학교]저자 : 정상우 ... | 출판사 : 사회평론 | 출판일 : 202202만주와 조선을 연관 지은 ‘만선’이란 용어는 19세기 말 처음 등장했으며, 러일전쟁 이후에는 그에 대한 역사를 지칭하는 ‘만선사’라는 학술 용어가 확산되었다. 1960년대 이래 만선사는 한국사에 드리워진 대륙의 영향력을 강조한 식민주의 역사학의 주요 담론으로 지목되면서...
- 해양과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이상우...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4.04.01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사신 왕래와 당대 동아시아 삼국의 문화 교유 : 새로 발견된 묘지명과 碑刻 자료를 중심으로 임진왜란과 바다를 건너간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과 그 의미 : 1623년 處刑 前後부터
- 海洋與東亞文化交流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李海英․李翔宇... | 출판사 : 中國海洋大學出版社 | 출판일 : 2014.04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3,236)
- 漢尙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ES_0011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續編終 答安順菴問目_僿說禮論編 漢尙右 漢尙右 이익(李瀷, 1681~1763) DRAC_7:1:5:46 漢法尙右, 陳平自左丞相陞右丞相, 此軍禮也. 《老子》曰: “上將軍處右, 以喪禮處之.” 漢以馬上得天下,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設饌尙右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ws_00130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設饌尙右辨 設饌尙右辨 이익(李瀷, 1681~1763) DRAC_5:2:1:52 按, 《家禮》“設饌”: “飯居右, 羹居左.” 說者謂: “神道尙右, 故與生人有別, 如坐次之西上也.” 此甚不然.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酬金佐郞【商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240 酬金佐郞【商雨】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酬金佐賢【商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0270 酬金佐賢【商雨】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贈金正言【商雨】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1690 贈金正言【商雨】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
- 경상우수영 시절의 추봉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이야기가 끝나고 추봉도를 그린 그림을 보여주면서, 손자에게 그리라고 했다며, 조사자에게도 한부 가져가라고 했다. 그런 후 곧 이 이야기 를 구연했다.조사일시2011. 14. (금) | 조사장소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 예곡 197번지 제보자의 집 | 제보자손귀진
- 충청남도 금산군_잘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42 충남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남도 금산군_잘하네 잘하네 두벌매기소리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1992.4.11 素92-4-11②A 김판천 김판천(1929년생. 남. 토민. 군북면 상우리에서 부친 대에 이주) 이소라 이소라 잘한다 류의 ‘잘하네 곡’형 멕녹음지역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 녹음날짜1992.4.1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할머니한테 들은, 아버지 살아난 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계시고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없고. 다만 나상우 장로님만, 나상우 장로님은 장항교회에서 우리 아버지하고 늘 이제, 우리 아버지도 장로였어요, 장 항교회. 장항교회 역사가 1931년부터 역삽니다. 1930년인가? 30년. 1930년도부터 역사에요, 그러 니까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4년 4월 21일
기초학문(44)
- 조성가와 최숙민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의 전개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6691 한국연구재단 경남문화연구원 2010 조성가와 최숙민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의 전개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正祖代 前半期의 政局動向과 政治勢力의 變化(Ⅱ) - 『頤齋亂藁』‧『盧尙樞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자, 게재일 : 201663741 김정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16 正祖代 前半期의 政局動向과 政治勢力의 變化(Ⅱ) - 『頤齋亂藁』‧『盧尙樞日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채원배의 미학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우, 게재일 : 200510529 이상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학회 2005 채원배의 미학사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784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철학/미학,동양철학/동양미학 그 분류와 범주의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우, 게재일 : 200210530 이상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미학회 2002 철학/미학,동양철학/동양미학 그 분류와 범주의 문제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애국계몽기 우언문학에 표현된 일본의 형상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상우, 게재일 : 200408375 조상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4 애국계몽기 우언문학에 표현된 일본의 형상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862)
- 䀋商又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도거 염상 김투원씨가 일본인에게 견실 쇼금갑을 츄심로 여러 신고 일은 다 아바어니와 씨가 일젼에 일본공 림권죠씨가 입셩 말을 듯고 분긔가 대발야 삼쳡지 한장에 직쇼 (直訴) 라두 를 크게쓰고 장셔를 지여들고 이등통감이 츌입에 호쇼 로 ...게재일1907년 7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度相又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대신 민영긔씨가 일작 그뎨에 연회셜고 각 대관을 쳥요연말은 임의긔얏거니와 일간에 삼쳥동 감은뎡에 연회셜야 각대신과 졍고문관 목하뎐씨이하 졔씨 쳥요로 쳥쳡을 다슈히린쇄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宮相優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대신 리극씨가 직상쇼를 봉뎡얏 비지를 나리압시기를 이졔직이 에임의 불가며 의에더욱 불가니 경은 다시번거히 말나 압셧더라게재일1907년 7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向隅之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강에셜시 보셩학교지교에셔 학도오륙십명이 이번대운동회에참여랴고 들어왓다가 학부에셔 말기를 지교참여못다야 그학도가운동에진지라 학원들이 울며나갓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䀋商又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거하난 김두원씨가 일인에게 봉젹한 쇼금갑을 밧으려 하다가 일공 림권조씨 구박한 죄샹으로 징역하다가 월젼에 몽방이 된지라 작일 외부에 졍소하기 박위에셔 파션한 갑도 졍부에 밧아갓난데 이소금은 경위가 하니 일공관으로 죠회하야 이만오쳔구백여량을 곳 밧어달나 ...게재일1904년 12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
- 0.6726496_〈원색사진 3〉 청자 화형 접시.JPG yy3-0192_5 유물 〈사진 49〉 백자류 완(②상좌) 대접(②상우 접시(②하좌) 잔(②하우) 2014-11-16_0.1139795_〈사진 49〉 백자류 완(②상좌) 대접(②상우 접시(②하좌제목영암 월출산 제사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43)
- 김상우;金相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03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김상우;金相佑 제12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상우;文尙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22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1年~明治42年 1908―12―30 105면 문상우;文尙宇 한국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상우;文尙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29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2年~明治43年 1910―03―31 97면 문상우;文尙宇 한국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상우;文尙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38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3年~明治44年 1910―12―24 90면 문상우;文尙宇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상우;文尙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53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明治44年~明治45年 1911―11―26 216면 문상우;文尙宇 조선 1911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3)
-
Pioneering the Incubation of a "Korean?Studies HUB"in the Philippines: Towards the Realization of the Ateneo initiative for Korean Studies (AIKS) Vision and Objectives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Sarah Domingo Lipura | Ateneo de Manila University | 2012 | 국외 | 해외
-
중국해양대학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이해영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 2009 | 국외 | 해외
-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연원과 기반에 관한 연구-朝鮮·支那·滿蒙·동남아 통합지배를 향한 ‘東洋史’와 식민사학 비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태진 | 서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3)
-
상우 / 上右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 편지를 쓰다 여백이 없어서 편지의 위쪽 우측에 쓴 내용의 첫 행의 앞에 표시하는 방법.
-
경상우도 / 慶尙右道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에 경상도 지방의 행정구역을 동·서로 나누었을 때 경상도 서부 지역의 행정구역. 1407년(태종 7) 군사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경상도를 좌·우도로 나누어서 낙동강 동쪽을 경상좌도(慶尙左道), 그 서쪽을 경상우도(慶尙右道)라 하였다. 1519년(중종 14) 좌
-
서상우 / 徐相雨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31∼1903). 종사관으로서 미국·영국과의 수호통상조약체결 때 참여하였다. 갑신정변 직후 전권대신으로 일본과 개화파 인사의 송환을 협상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한·러밀약설의 진상 규명을 위해 텐진을 방문했고,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철수를 요청하였다
-
조상우 / 趙相愚 [종교·철학/유학]
1640(인조 18)∼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희보,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목장흠의 딸이다. 이경석의 문하에서 수학,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한 뒤 송준길의 문인이 되었다. 내의원제조, 예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
-
사상구 / 沙上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서구, 서쪽으로는 낙동강, 남쪽으로는 사하구, 북쪽으로는 북구에 접해 있다. 동경 128°54'∼129°00', 북위 35°6'∼35°12'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6.09㎢, 인구는 23만 7711명(2015년 현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