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용한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9)
- 상용한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것은 1951년의 상용일천한자표 1,000자에다 새로 채택한 300자를 추가한 것이며 그 뒤 <상용한자>로 명칭을 바꾸었다. 그런데 한자의 완전폐지와 한글 전용, 또는 제한된 한자의 사용과 그 교육의 문제는 앞으로 보다 광범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서 결정되어야 할...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文敎育是正促求建議書>가 받아들여져 문교부(지금의 교육부)는 1972년 8월 16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를 발표하였다. 같은해 9월에는 중학교 한문교육이 부활되었으며, 고등학교에서는 한문이 필수가 되었다. 1978년 상용한자 1800자안, 1981년 신문용 약자안(略字...
-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훈은 ‘성실‧창조‧봉사’이며 교목은 소나무(늠름한 기상), 교화는 동백(불굴의 의지), 교색은 녹색(안정‧평화)이다. 교육목표로 ‘애국인, 실력인, 능력인, 기능인, 건강인’을 지향한다. 노력중점으로 ‘상용한자 익히기, 1인 다자격증 취득’을 실시하고 있다....
- 공척보(工尺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대응하는 한자 부호로 선율을 표기하는 악보이다. 그러므로 12율려명의 첫 글자를 율려명으로 쓰는 율자보보다 번거롭지 않다. 어려운 한자 표기는 물론 율려의 한자 음훈(音訓)이 상용한자 음훈이 아닌 악률명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뜻을 쉽게 알 수 없는 점을 간단히...동의어십자보(十字譜) | 관련어약자보(略字譜), 율자보(律字譜)
- 한자교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漢字一覽表>가 문교부(현재의 교육부)에 의하여 공표되었다. 이는 그 뒤에 <상용한자 常用漢字>로 명칭을 바꾸었다. 1962년 4월 17일 <한글전용 특별심의회 규정>이 나오고, 1968년 12월 24일에 국무총리 훈령 제68호로 <한글전용에 관한 총리훈령>이 나...
고서·고문서(9)
- 國漢日英 常用漢字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國漢日英 常用漢字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한문학 國漢日英 常用漢字辭典 弘字出版社 編輯部 編 文泉社 서울 1979 언어사전;...대표표제어國漢日英 常用漢字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한문학
- 日本語 常用漢字 學習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日本語 常用漢字 學習辭典 인문학 일본어와문학 일본어학 日本語 常用漢字 學習辭典 손봉균 편저 예가 서울 2005 학습사전;대표표제어日本語 常用漢字 學習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일본어와문학 | 소분류일본어학
- 일본어 상용한자 활용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일본어 상용한자 활용사전 인문학 일본어와문학 일본어학 일본어 상용한자 활용사전 Enjc 스터디 지음 LanCom 서울 2008...대표표제어일본어 상용한자 활용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일본어와문학 | 소분류일본어학
- 小辭典式ㆍ對照式 日本語常用漢字學習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小辭典式ㆍ對照式 日本語常用漢字學習 인문학 일본어와문학 일본어학 小辭典式ㆍ對照式 日本語常用漢字學習 金基天 著 時事日本語硏究社 서울 ...대표표제어小辭典式ㆍ對照式 日本語常用漢字學習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일본어와문학 | 소분류일본어학
- 〈漢韓大字典(1권)〉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언어 〈漢韓大字典(1권)〉 해제 ■정의 이 사전은 한글 전용과 한자 폐지, 상용한자 제한과 점진적 한글전용을 주장하던 혼란한 시기에 중국과 한국의 자전에 13,000자의 표제자를 선별하여 나타난 자해를 종합하여 상세하게 풀이하였다. 1960년대 초부터 편찬을대표표제어〈漢韓大字典(1권)〉 해제 | 편저자 李炳俊 | 권수 1책
기초학문(5)
- 常用漢字表 山攝韻字의 字音 분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717719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常用漢字表 山攝韻字의 字音 분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7
- 常用漢字表 臻攝韻의 字音 분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717811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常用漢字表 臻攝韻의 字音 분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7
- 常用漢字表 止攝 漢字音의 字音 分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418131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常用漢字表 止攝 漢字音의 字音 分類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常用漢字表における咸・深攝韻字の字音分類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717720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常用漢字表における咸・深攝韻字の字音分類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7
- 常用漢字・人名用漢字 漢音・吳音對照表(1996)의 문제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철, 게재일 : 201518320 이경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소 2015 常用漢字・人名用漢字 漢音・吳音對照表(1996)의 문제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5)
- 교육주보_1968_11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상용한자 2천자 14 동정 15 세종로 15 뒤표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조선어_1926_02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舍廊房 63 常用漢字音別表 朝鮮語硏究會編輯部編 警察官專用朝鮮語敎範 (10) 李完應, 伊藤韓堂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 조선어_1926_02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忠南朝鮮語講習會狀況及其規程 69 常用漢字音別表 朝鮮語硏究會編輯部編 警察官專用朝鮮語敎範 (12) 李完應, 伊藤...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 조선어_1926_02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3 舍廊房 75 常用漢字音別表 朝鮮語硏究會編輯部編 판권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 조선어_1926_0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5쪽 결락, 목차에서 참고하여 색인함 常用漢字音別表 朝鮮語硏究會編輯部編 警察官專用朝鮮語敎範 (11) 李完應, 伊藤韓堂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기타자료(1)
- (현장연구) 상용한자지도의 실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현장연구) 상용한자지도의 실제 (현장연구) 상용한자지도의 실제 (現場硏究) 常用漢字指導의 實際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과정 기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도채 | 사료철명교육전남
주제어사전(1)
-
상용한자 / 常用漢字 [언어/언어/문자]
많고 복잡한 한자사용의 불편을 덜기 위하여 자수를 제한하여 지정한 한자. 1945년 9월 29일 한자폐지실행회발기준비위원회에서 발표한 <한자폐지실행회발기취지서> ‘실행조건’에 보면, ① 초등교육에서 한자를 빼고, ② 일상 행문(行文)에 한자를 섞지 말며, ③ 신문·잡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