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언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액정서
연구성과물(3)
사전(3)
- 상언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액정서(掖庭署) 소속의 환관 출신 하례직(下隷職). [내용] 왕에게 46인, 왕비에게 16인, 세자에게 18인, 세손에게 10인이 배정되어 있었다. 이들은 왕의 측근에서 신변을 호위하는 한편 하의상달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
- 액정서(掖庭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감(歌舞別監), 동산별감(東山別監), 상언별감(上言別監), 정자(城上), 중금(中禁), 탕수색(湯水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이근호 1392년(태조 1) 1894년(고종 31) [정의] 조선시대...상위어이조(吏曹) | 하위어서방색(書房色), 세수간(洗手間), 수사간(水賜間), 부사소(副司掃), 부사안(副司案), 부사약(副司鑰), 부사포(副司鋪), 사소(司掃), 사안(司案), 사알(司謁), 사약(司鑰), 사포(司鋪) | 관련어가무별감(歌舞別監), 동산별감(東山別監), 상언별감(上言別監), 정자(城上), 중금(中禁), 탕수색(湯水色)
- 상언(上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제시되었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성언 형식을 따르지 않는 사례들이 많다. 상언를 올릴 때에는 작첩(作帖)을 하였다. 상언은 왕이 거둥할 때 올렸으며, 상언별감이 이를 담당하여 받아들였다. 임금이 거둥할 때 바치는 가전상언(駕前上言) 외의 상언은 호적과 대조하여 본...상위어소지류(所志類) | 관련어도계(道啓), 민원(民願), 상소(上疏), 청원(請願)
주제어사전(1)
-
상언별감 / 上言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액정서 소속의 환관 출신 하례직. 왕에게 46인, 왕비에게 16인, 세자에게 18인, 세손에게 10인이 배정되어 있었다. 이들은 왕의 측근에서 신변을 호위하는 한편 하의상달의 임무를 담당하였다. 궐내에서는 청단령(靑團領)에 자주색 두건, 왕의 교외행차 때 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