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승국”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0년(충선왕 2) 을 봉거서(奉車署)로 고치고 봉어를 영(令)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으로 고치고 영을 봉어라 하였으며, 1362년 다시 봉거서와 봉어로 고쳤다. 1369년 ㆍ봉어로 하였으며, 1372년 다시 봉거서ㆍ영...
  • 내사복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내용]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사복시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 봉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상식국(尙食局)‧상약국(尙藥局)‧상의국(尙衣局)‧상사국(尙舍局)‧()의 정6품 관직. [내용] 정원은 각 1인이다. 이 5국(局)은 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음식‧약‧의복‧우마 및 각종 장비를 공급하던 관청으로, 봉어(奉...
  • 공봉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내성(內省)에 소속되어 국왕의 행차 때 사용하는 수레를 담당하였다. 고려시대의 ()이 여기에 해당한다. 설치연대와 정원은 확실히 알 수 없다. → 『삼국사기...
  • TD_E2_D_0641 大韂 관직 麗制, , 太僕寺 本志 D_17_07_16 대동운부군옥 17권 7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7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

  • 攷而添足者, 列聖行全史攷事撮要先輩文集與小說, 其書也. 旁採者, 野叟韻釋之耳目乎前, 可徵也. 噫, 官門一步地, 物情難該. 與聞者, 特吏胥耳. 彼其老於案牘燥髮, 所見舊套便足, 無與戒覆轍人者. 顧醉將亦人 ...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春宮之南 前開一門 中列三位 中爲中書省 左曰門下省 右曰樞密院 卽國相平章知院治事之所 禮賓省 在 乾德殿 前之側 所以掌四隣之賓客 八關司 在 昇平門 之東 所以掌齋祭之事 御史臺 在左 同德門 內 所以張風憲之任 翰林院 在 乾德殿 之西 所以處詞學之臣 以貯車馬 軍器監 以藏甲仗 以...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중의 연여(왕과 왕족의 탈것)·승마를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봉어를 정원 1인의 정6품으로, 직장은 2인의 정7품으로 정하였다. 1310년(충선왕 2) 을 봉거서로 고치고 봉어를 영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으로 고치고 영을 봉어라

  • 봉어 / 奉御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식국·상약국·상의국·상사국·의 정6품 관직. 정원은 각 1인. 목종 때 있었고, 문종 때 관제정비시 품계와 정원이 정해졌다. 1308년(충선왕 복위)부터 1310년 사이에 상식국·상약국·상의국·상사국·이 각각 사선서·장의서·장복서·사설서·봉거서

  • 내사복시 / 內司僕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사복시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겸임하였고, 나머지 인원도 다른 관직

  • 봉거서 / 奉車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중의 마굿간을 관장하던 관부. 목종 때의 이 문종 때 정비되어 1310년(충선왕 2)에 봉거서로 바뀌었다. 그러나 1356년(공민왕 5)에 반원정책을 실시하면서 단행된 관제개혁 때에 문종의 구제로 환원되었다가 1362년에 다시 봉거서로, 1369년에

  • 서령사 / 書令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행정실무의 말단을 담당하는 도필지임이었다. 중서문하성·상서도성·형부·상서도관·어사대에 각 6인, 상서고공·공부·전중성·상식국·상의국·상사국·에 각 4인, 액정국에 3인, 동궁·삼사·이부·병부·예부·상약국·도교서에 각 2인, 호부에 10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