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수리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1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9)

사전(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평안도 및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수로서 높이는 20∼25m로 자라며, 잎은 긴 타원형으로 꽃은 5월에 핀다. 열매는 10월에 익으며, 약재로 쓰인다.
  • 삼척대이리굴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대이리 에 있는 굴피집.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223호. 굴피는 밑둥에서부터 한발쯤 되는 높이에서 떼어낸 껍질(두께 3㎝)로 볏짚이나 기와를 구할 수 없는 강원도
    연계항목삼척대이리굴피집(三陟大耳里굴피집)
  • 안동임동면의굴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에 있는 . [내용] 천연기념물 제288호. 수령은 500년으로 추정되며 가슴높이 둘레가 4.7m에 이르는 노거수이다. 는 열매를 가공하여 묵을 만들고, 또 연료재나 표...
    연계항목안동임동면의굴참나무(安東臨東面의굴참나무)
  • 참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苞葉: 잎의 변태로 봉오리를 싸 보호하는 잎)이 모여 유합(癒合) 형성하는 종지 모양의 기관으로서 그 안에 열매가 들어 있다. ‧떡갈나무‧가시나무‧너도밤나무‧모밀잣밤나무‧밤나무 등이 바로 열매가 각두 안에 들어 있는 수종이다. 그러나 우리 민족이 써...
  • 참나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참나무를 이르는 말. 진목은 , 졸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등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로 건축물이나 기구 따위를 만드는 데 쓰였다. 白狗皮一張法油一合五夕生苧一兩五錢黃蜜五錢回繩次紅綿絲三兩馬木次眞木二箇橫杠次眞木長六尺三寸廣一寸五分厚一寸四片石磵朱, (상호19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7)

  • 함지락, 김산이 판결문(咸之洛, 金山伊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60에 처함. 그 이유는, 상기 피고인 2명은 1919년 10월 8일 자신들이 사는 마을의 독경산(獨慶山), 스미토모(住友吉右衛)에게 대여한 국유림에서 뿌리 둘레 1자 내외의 약 100그루를 도벌하였다. 이를 법률에 비춰보면 삼림령 제20조에 해당하여 함지락...
    제목함지락, 김산이 판결문(咸之洛, 金山伊 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김상학, 오석기 판결문(金尙學, 吳錫璣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유는, 상기 피고인 2명은 1919년 음력 8월 날짜 미상의 날에 그들이 사는 동네의 독경산, 스미토모(住友吉右衛)에게 대여한 국유림 내에서 뿌리 둘레 1자 반 내외의 약 50그루를 도벌하였다. 이를 법률에 비춰보면 삼림령 제20조에 해당하여 각각 징역 2개...
    제목김상학, 오석기 판결문(金尙學, 吳錫璣 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이순근, 박도백, 박달선 판결문(李順根, 朴道白, 朴達先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간여하에 각 피고인이 궐석한 채로 심리하여 각각 태 30에 처함. 그 이유는, 상기 피고인 3명은 1919년 음력 9월 날짜 미상의 날에 자신들이 사는 동네의 국유림으로 스미토모(住友吉右衛)에게 대여한 독경산에서 뿌리 둘레 1자 반 내외의 약 20그루를 도벌...
    제목이순근, 박도백, 박달선 판결문(李順根, 朴道白, 朴達先 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황도백 판결문(黃道白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의 국유림, 스미토모(住友吉右衛)에게 대여한 독경산에서 뿌리 둘레 1자 반 내외의 약 20그루를 도벌하였다. 이를 법률에 비춰보면, 삼림령 제20조에 해당하여 징역 1개월에 처해야 할 것이나 조선태형령 제1조, 제4조에 의거, 태형에 처...
    제목황도백 판결문(黃道白 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박기동 판결문(朴基東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여한 국유림에서 숯을 굽기 위해 인부를 사용해 150그루를 도벌한 사건 삼림령 위반 1. 제목 : 박기동 판결문 2. 내용 이 판결문은 1920년 4월 16일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청에서 작성한 박기동의 삼림령위반사건에 관한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목박기동 판결문(朴基東 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

기타자료(8)

  • 음성(주)IS하이텍 외 9개업체 공장조성부지내 음성 성본리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지표조사를 바탕으로 시굴조사는 유물산포지로 명명된 곳 중에 원주지방환경청에서 군락지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곳을 제외한 약 18,000m2이 실질적인 조사대상지역이다. 발굴전에는 조사지역의 주변으로 이미 상당 부분 형질 변경이 이루어진 상태...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 다량 출토되었다. 또 8호 단야로에서 출토된 목탄을 분석한 결과 연료는 소나무, , 졸참나무 등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유적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료였다. 폐기장 1기는 삭평이 심하여 규모나 형태는 알 수 없다. 무쇠솥 제작시 사용되었던 용범이나 철...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인천 원당동 유적(Ⅰ)-인천 원당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1‧2구역 문화유적 시‧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구 내부에서 확인된 일부 목탄시료에 대한 수종분석 결과 1구역 소성유구에서는 벚나무‧때죽나무류, 2구역2호 소성유구에서는 류의 목재로 판명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석관묘 4기, 통일신라~고려시대 소성유구 3기, 조선시대 이후 토광‧회곽묘 94기(토광...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굴지역인천광역시
  • 자유로 2단계 개설지역 문화 유적 발굴 조사 보고서-법흥리 발굴조사 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 이 지역에는 등의 관목이 지표를 덮고 있었다. 민묘에서 동쪽으로는 전차 보호형 구덩이가 골을 이루고 있고, 이 골 사이에 있는 능선에 석곽 2호분이 있다. 이 구역의 남쪽자락은 경사면의 끝에 있는 길에 이를 때까지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있고, 잡초로 덮여...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호암미술관 | 발굴지역경기도
  • 규모와 건물지에 대해 상세한 조사를 하게 되었다. 이번 발굴조사가 진행된 성벽은 잣고개에서 올라오는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고, 그 양쪽 경사면에는 소나무, 아카시아나무, , 도토리나무 등의 잡목이 우거져 있었다. 건물지는 현재 소나무가 드문드문 자라고 있고...
    발행연도1989 | 발굴기관전남대학교박물관/광주직할시 | 발굴지역광주광역시

주제어사전(4)

  • / Quercus acutissima CARRUTH.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평안도 및 함경남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수로서 높이 20∼25m, 지름 1m까지 자란다. 수피는 회흑색이고 소지(小枝)에는 잔털이 있으나 자라면 없어진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10∼20㎝로서 침상의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이 밤나무

  • 굴참나무 / Quercus variabilis BL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한 낙엽활엽교목. 높이는 25m, 지름은 1m까지 자란다. 와 비슷하지만 줄기에 코르크가 발달하고, 잎의 뒷면에 흰 성모(星毛)가 밀생한 것이 다르다. 꽃은 일가화(一家花)로 한 나무에 암수 두 꽃이 5월에 피어서 그 이듬해 9월에 열매가 익는다

  • 낙화놀이 / 落火─ [생활/민속]

    나무 또는 껍질을 태워 만든 숯가루를 한지주머니에 채우고 그것을 나뭇가지나 긴 장대 또는 추녀 끝이나 강가 절벽 위에 줄을 매고 매달아 불을 붙인다. 그러면 불씨주머니에 든 숯가루가 타면서 불꽃이 사방으로 흩어지는데, 이러한 모습이 마치 ‘불꽃’이 떨어져 날

  • 경주고양수 / 慶州高陽藪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에 있는 숲. 거의 평탄지이며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느티나무·회나무·참느릅나무, 그리고 키작은 소나무이다. 남쪽에는 가, 북쪽에는 소나무의 소경목이 빽빽한 숲을 만들고 있다. 고양수는 논호수(論虎藪)라고도 불렀는데, 이러한 숲은 조수(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