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6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영친왕이은황태자책봉사양상소문
연구성과물(10,452)
사전(4,222)
- 수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단(壇)‧묘(廟)‧원(園)‧능침(陵寢)‧전(殿)에서 청소하는 일을 맡은 사람. [내용] 고려시대 이래 단묘‧능침 등에서 청소하는 사람을 상소(上所)라 하였는데, 1438년(세종 20)에 그것이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의정부의 건의...
- 상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 [내용] 대개 건의‧청원‧진정 등의 내용이며, 봉장(封章)‧주소(奏疏)‧진소(陳疏)‧장소(章疏) 등으로도 불린다. 상소문은 문집에 전재(轉載)된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경우에이칭별칭봉장|주소|진소|장소
- 상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미확정재판에 대하여 상급법원에 그 취소나 변경을 구하는 불복신청. [내용] 상소는 미확정재판에 대한 불복신청이라는 점에서 확정재판에 대한 비상구제절차인 재심(再審), 또 <형사소송법>상의 비상상고(非常上告)와 구별되며, 또한 상급법원에의...
- 상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정의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so | MR표기sang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桑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1_D_0004 桑疎 시간분할 朴貞齋 首夏 D_02_03_36 대동운부군옥 2권 3장 3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3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9. 別論 10. 論告 11. 訓書 12. 綸音 13. 上疏‧批答 14. 狀啓 15. 論報 16
논문(2)
- 朝鲜朝使臣赵宪对明代中国的想象与塑造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양신 | 게재정보 : 东疆学刊유형논문
- 동아모델 디지털 무역규칙 관련문제 분석 중일한협력의 시각으로 “东亚模板”数字贸易规则相关问题探析——基于中日韩合作的视角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Cui Yan | 게재정보 : Japanese Research
고서·고문서(4,536)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상소(上疏)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구술자료(43)
- 행상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성찬의 <<평토소리>>에 이어 구연하였다. 다함께 &받는 소리&를 하였다.조사일시2009.03.23 | 조사장소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안동 노인회관 | 제보자강석진
- 행상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행상소리&를 요청하니 &행상소리&는 집안에서 하지 않는다고 하여 밖으로 나와 구연하였다. 현덕선, 이원녀가 받는소리를 하였다.조사일시2010. 6. 18 (금)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북촌리 높은물 근처 야외에서 | 제보자윤삼례외 2명
- 행상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요청하여 구연하였다. 김영옥이 받는소리를 하였다.조사일시2010. 7. 16 (금)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야외 | 제보자허정봉(#), 김영옥(#1)
- 행상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요청하여 구연하였다. 허정봉이 받는소리 하였다.조사일시2010. 7. 16 (금)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야외 | 제보자김영옥(#), 허정봉(#1)
- 상여 소리(행상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에게 상여소리를 권했더니, 동회관에서 그런 소리를 하면 안된다고 하는 분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보자는 ?하면 하지 모할 꺼 머 있노??라고 했다. 그러니 ?기침없이 해야 된다.?고 양보를 하는 것 같았다. 조용하게 해야 된다는 것이다. 제보자는 이 마을의...조사일시1981-07-26 | 조사장소경상북도 안동군 일직면 조탑동 | 제보자권학문
기초학문(28)
- 剡溪 李潛의 丙戌年 上疏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1356506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3 剡溪 李潛의 丙戌年 上疏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중국이체자형의 통시적 변화양상소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애영, 게재일 : 200537136 김애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05 중국이체자형의 통시적 변화양상소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5
- 災異 관련 應旨上疏文의 관습과 수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1446895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災異 관련 應旨上疏文의 관습과 수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1146448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1 사직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6․17세기 庶孼 許通 上疏文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1944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3 16․17세기 庶孼 許通 上疏文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112)
- 上訴無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셩판소에셔 법부에질품기를 피고 김돌슝이가 일인을라 각쳐삼포에돌입야 각기 춍과칼을가지고 삼포슈직군을 위협야안치고 삼을다슈히여 간지라 그죄를죠률야 쳐교에 션고얏더니 피고김돌슝이 불북상으로 평리원에상소얏원에셔본소 판결이타당다고 그셔류를 도로...게재일1906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內相上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대신 리지용씨 금일직상소야 가례도감 당상무를 쳬임다더라게재일1906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上疏優 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 의졍대신 죠병호씨가 시폐를들어 상소엿더니 우비 봉승엿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港民上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인강야슈삼랑이가 평리원판장 리윤용씨의 리인으로 무안항 남교동 쥭동 만복동등디에셔 리씨의뎐장이라고 즁민의 뎐토를억지로 광졈며 가옥셰젼을 람봉다건으로 항감리 안긔현씨가 농상공부로 보고말은 임의긔얏거니와 항인민 조옥승 등 슈십여명이 과죡상경야 작일...게재일1906년 8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平院上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참셔관 유셩렬씨가 그빙부 리승업씨와 한셩판쇼에 판야 류참셔가 락과지라 다시평리원에 뎡쇼야 판을쳥엿데 만약 락과면 법부민국에지 판을 쳥터이라더라게재일1906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7)
- 경제 분야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 먼저 서울의 경제와 관련하여 중요 생산 시설이 위치한 영등포 일대의 공장 모습을 보여줌. 직물을 비롯한 일상소비품이 생산되는 모습. 공장뿐 만 아니라 시장에서 활발한 소비활동이 전개되는 모습도 등장함.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7년 | 제작영진 푸로덕숀
- 완구영화(玩具映畵)로 촬영 혹은 편집된 필름. 수집처의 정보에 의하면, 심상소학교 독본 권10 「경성의 친구에게서」, 및 12 「경성의 고모가」로 정리된 것이고, 전일본활영교육연구회가 감수하고, 우에노(上野幸清)이 쵤영, 아오지 츄조(靑地忠三)가 편집을 맡은 것이라고자료구분일본수집영상 | 제작년도1930년대 초 | 제작大毎キノグラフ
- 래입상 2015-01-05_0.7832605_도판8-1, 8-2, 8-3, 금동소여래입상.jpg kk4-0285_4 유물 도판11-1. 청동불상소편, 11-2 청동소탑상륜부 2015-01-05_0.9619257_도판11-1. 청동불상소편, 11-2제목천룡사탑지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심이 소설이외의산문에주어지기시작한것은1990년대에들어서이고, 2000년대 이후 연구 성과가 대폭 늘었다. 전근대 시기작가들은한시뿐아니라산문의창작에도 문학적 역량을쏟았으며, 실용의 목적으로 지은 산문에 대한 구체적인작품평과작가비평도활발하게이루어져왔다. 예컨대 상소문上疏文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심이 소설이외의산문에주어지기시작한것은1990년대에들어서이고, 2001년대 이후 연구 성과가 대폭 늘었다. 전근대 시기작가들은한시뿐아니라산문의창작에도 문학적 역량을쏟았으며, 실용의 목적으로 지은 산문에 대한 구체적인작품평과작가비평도활발하게이루어져왔다. 예컨대 상소문上疏文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기타자료(451)
- 최상소;崔相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346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9면 최상소;崔相韶 제3회 1943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상소;李相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5108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7면 1. 제12. 졸업생;34) 법과 제3회 졸업생 (1925년 3월 23일) 41인 이상소;李相韶 양산군 읍내;(원적)...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상소;李相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6941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9면 2. 제8. 졸업자;34) 제18회 법과 41인 (1925년 3월 23일) 이상소;李相韶 (원적)경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역과 음양사상소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역과 음양사상소고 역과 음양사상소고 易과 陰陽思想小考 교육 문헌 고등교육 연구 잡지범주1고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하필 | 사료철명경대학보
- (수상소감) 불행이 준 나의 희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수상소감) 불행이 준 나의 희망 (수상소감) 불행이 준 나의 희망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영미 | 사료철명충북교육
연구과제(2)
-
유충렬전, 전우치전, 방한림전
한국 학술 번역사업 | KIM ALYSSA SOOMI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간도 담론의 역사와 간도 문제의 식민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배성준 | 한경대학교 | 2021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22)
-
상소 / 上疏 [정치·법제/정치]
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 대개 건의·청원·진정 등의 내용이다. 상소문의 서식은 ≪전율통보≫에서 볼 수 있으며, 피봉에는 ‘上前開折(상전개절)’, 합금(合襟)하는 곳에는 ‘臣署名謹封(신서명근봉)’이라 쓰고, 연폭(連幅)한 뒷면에는 ‘臣
-
관상소 / 觀象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학부에 소속되어 천문·기상을 관측하는 관상, 측후, 역서조제 등의 사무를 관장하던 관청. 예조에 소속되었던 관상감이 1894년에 학무아문 소속의 관상국으로 바뀌고, 다시 1895년에 학무아문이 학부로 바뀌면서 관상소로 되었다. 관상소는 1907년에 측후소로
-
간의상소등록 / 諫議上疏謄錄 [역사/조선시대사]
1932년 이왕직실록편찬회에서 조선후기 사헌부·사간원에서 올린 상소를 초록한 등록.상소문. 7책. 필사본. 상소는 개인적인 일로 올린 일인소(一人疏)가 대부분인데, 상소의 제목이 두주(頭註)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즉, 뇌이사(雷異事)·선롱사(先壟事)·인피급징토사(引
-
신정심상소학 / 新訂尋常小學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학부편집국(學部編輯局) 편, 금속활자본(재주정리자), 1896년(건양 1), 1책(영본, 전3권 3책). 학부에서 1896년에 편간한 소학용교과서로 1895년에 편간된《심상소학(尋常小學)》을 신정(新訂)한 것이다. 국한문혼용본이다.
-
영친왕이은황태자책봉사양상소문 / 英親王李垠皇太子冊封辭讓上疏文 [정치·법제]
1907년(융희 1) 8월 7일 경 순종황제의 이복 아우인 영친왕 이은(李垠)이 황태자의 책봉을 받고 이를 사양하여 올린 상소문. 이 상소문에 대해 순종은 '내가 질병으로 후사를 두기가 어려우며, 조종조의 고사도 있으니 사양하지 말라'는 취지의 비답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