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설” 에 대한 검색결과 2,6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06)

사전(89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내시부(內侍府)의 종7품 관직. [내용] 내명부(內命婦)에 소속된 전설(典設)과 그 임무가 같았다. 즉, 휘장‧인석(茵席)‧쇄소(灑掃)‧장설(張設) 등에 관한 일을 맡았다. 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정원은 6인이다. ...
  • TD_D3_O_0025 도교 三淸, 法身, 報身, 肉身, 報身, 眞武, 玄武, 曉子, 八關會, 佛事, 道醮, 每歲十一月十五日, 祈福, 毬庭, 輪燈, 香燈, 綵棚, 百戲歌舞, 四仙樂部, 龍鳳象, 馬車船, 燈八關 高麗睿宗時, 宋朝 仁宗時, 新羅, 新羅...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O0_D_0109 음식 기타 橡木, 負戴, 舂屑, 凶年, 粟粒 淸凉山, 花山 D_19_05_01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논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규장각도서한국본총목록(奎章閣圖書韓國本總目錄)』(서울대학교동아문화연구소 편, 1966)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현상윤, 1949) 논어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합간하고 오직 『역』만은 이상정(李象靖)의 감정을 거쳐 1편으로 따로 간행한 것이다.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역’이라는 제명에 있어서는 그의 행장이나 신도비문 등에는 모두 ‘역상추설(易象推說)’이라고 되어 있는데, 본래 저자 자신이 명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칭별칭역상추설(易象推說)

단행본(2)

  • 역주 광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동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박사급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2.28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광릉지》상 권1 1. 산릉 2. 옥첩 3. 《광릉지》상 권2 1. 침전 2. 포진 3. 기명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8. 존호를 올릴 때의 악장 19. 시책문 20. 애책문 21. 존호를 추상하는 옥책문 Ⅱ.《헌릉지》권2 1. 2. 정자각

고서·고문서(1,339)

  • 冠峯 玄尙璧(1673-1731)이 辛卯에 지은 '五常說'이다. 그 내용은 中庸의 天命之謂性의 주에 五常之德은 갑을이 있다. 갑이라는 것은 우리가 홀로 오상의 덕을 얻는 것인데, 물건은 얻은 바의 이치가 온전하지 못하다. 을이라는 것은 사람과 물건이 모두 오상의 덕이...
    분야문학 | 유형문헌
  • 3844 2297_01 鄭行狀 01 문화ㆍ생활 문헌 미상 정문부 종가, 일상생활, 종가 문중생활, 시문류, 행장 한자 고문서 JMB202-1.JPG 鄭行狀 行狀 鄭相點 22.7 177.3 1 정문부 종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3845 2297_02 鄭行狀 02 문화ㆍ생활 문헌 미상 정문부 종가, 일상생활, 종가 문중생활, 시문류, 행장 한자 고문서 JMB202-2.JPG 정문부 종가 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3846 2297_03 鄭行狀 03 문화ㆍ생활 문헌 미상 정문부 종가, 일상생활, 종가 문중생활, 시문류, 행장 한자 고문서 JMB202-3.JPG 정문부 종가 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3842 2296_01 鄭墓碣銘 01 문화ㆍ생활 문헌 미상 정문부 종가, 일상생활, 종가 문중생활, 시문류, 묘문 한자 고문서 JMB201-1.JPG 鄭墓碣銘 墓碣銘 權龍鉉 25.2 105.7 1 정문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2)

  • 조통달 수궁가 완창판소리 공연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악당에서 조통달 완창판소리가 공연되었음. 1984년 12월 신재효의 타계 100주년 기념 공연을 시초로 다음해인 1985년 성창순, 조통달, 오정숙 명창이 4일간 릴레이 형식으로 판소리를 완창하면서 이후로 완창판소리 공연이 국립극장의 공연으로 자리잡음.경향신문 19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통달
  • 조통달 수궁가 완창판소리 공연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립극장의 공연으로 자리잡음.경향신문 1985년 7월 26일 기사 인용 광복 40돌 경축문화행사 풍성 (생략) 31일에는 지난해 흥보가를 완창했던 조통달의 완창판소리 수궁가가 공연되고 9월 3~10일에는 대극장에서 85년 무용예술제큰잔치가 열린다.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통달

기초학문(7)

  • 학림도(鶴林島)의 장례 운영과 상계()의 기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1424 한국연구재단 한국도서(섬) 2015 학림도(鶴林島)의 장례 운영과 상계()의 기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에 대한 심신가치론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병석, 게재일 : 2006
    21834 손병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회 2006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에 대한 심신가치론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퍼지수리 모형 적용에 의한 경주세계문화엑스포공원의 행사장 가치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7935 한국연구재단 한국관광학회 2002 퍼지수리 모형 적용에 의한 경주세계문화엑스포공원의 행사장 가치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조호익 『易』의 해석틀 분석(Ⅰ)- 卦氣와 卦變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석민, 게재일 : 2013
    64790 윤석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13 조호익 『易』의 해석틀 분석(Ⅰ)- 卦氣와 卦變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아동돌봄 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영아기 돌봄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상설, 게재일 : 2012
    58013 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아동돌봄 유형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영아기 돌봄유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97)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대신셩기운씨 작일상오구시에 본뎨에 신년경하연을 셜고 각부대신과 일본모모씨 쳥요연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대신 민영긔씨 작일하오일시에 즌고 일본구락부에셔 오찬회를 셜고 일본특 일과 통감부관리며 졍고문부소속관리와 각부대신을 일쳬로쳥요연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대신죠즁응씨 작일오후일시에 부관리와 평한 량 일반관리 그부로 회동고 법상에 더욱 쥬의 필요뎜을들어 일쟝셜유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하오 칠시에 부대신 리지용씨가 그뎨에만찬회를 셜고 일본득일과 통감대리 장곡쳔씨 이하고등관리와 각부대신과 기타례식관리를 쳥요연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대신 리지용씨난 작일하오일시에 그본뎨에 음력신년회를고 통감리 장곡쳔씨와경무고문환산씨외에고등관리를다슈히 쳥요연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62)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12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6면 이;李 경기 利川;경성부 통의동 136 재학생 제4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947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39면 이;李 경기 제13회 1935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716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4면 1. 3. 각 과별 졸업생;9) 제9회 졸업생 (1927년 3월 졸업);(2) 상과 박;朴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63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78면 1. 3. 각 과별 졸업생;9) 제9회 졸업생 (1927년 3월 졸업);(2) 상과 박;朴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0579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24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8) 제18회 64명(1922년 3월 졸업) 이;李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7)

주제어사전(58)

  • / [예술·체육/건축]

    석물. 능(陵)·원(園)·묘(墓)에 설치한 여러 석물(石物)을 가리킨다. 조선왕릉의 제도는 기본적으로《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속오례의(續五禮儀)》,《춘관통고(春官通考)》등의 전범을 따랐으나 시대의 형편과 피장자의 위상에 따라 적잖은 차이를 보인다.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부의 종7품 관직. 내명부(內命婦)에 소속된 전설(典設)과 그 임무가 같았다. 즉, 휘장·인석(茵席)·쇄소(灑掃)·장설(張設) 등에 관한 일을 맡았다. 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정원은 6인이다.

  • 논어 / 論語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어유봉이 『논어』에 대한 논평과 해설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주석서. 유학서. 이 책은 본래 김창협(金昌協)이 편찬을 계획하여 목록과 편찬체제를 만들고, 문인 김시우(金時佑)와 함께 편찬을 시작했는데, 불과 수 편을 정리하고는 김창협이 세상을 떠나자 일

  • / 李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독립운동가(1870∼1917). 고종의 밀지를 받아 이준·이위종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로 참석하려 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거부당했다. 1914년 이동휘·이동녕·정재관 등과 중국과 러시아령 안에서 동지들을 규합해 대한광복군정부를 세워 정통령에 선임

  • 박제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 박제상에 관한 설화.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잡혀간 왕자를 구하고 자신은 죽음을 당한 박제상의 인물전설이다. 그의 아내가 기다리다가 죽어 망부석이 되었다는 아내의 죽음 설화도 포함된다. 『삼국유사』에는 김제상으로 되어 있다. 이 설화에는 역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