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서탁지”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상서호부 산하의 관서. [내용] 982년(성종 1) 3월 당제를 본떠 3성 6부제를 실시하면서, 형관(刑官)의 속사로 두었던 사탁(司度)을 995년(성종 14) 상서호부의 속사인 로 명칭을 바꾸었다.
  • 상서창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상서창부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 금조를 상서금부(尙書金部)로 고쳤다. 이 상서호부에 예속되었던 상서창부ㆍㆍ상서금부는 뒤에 모두 폐지되었다. 『고려사(高麗...
  • TD_E2_D_0769 司度 관직 麗制, 戶部, 金曹, 倉曹, 成宗 百官志 D_19_06_46 대동운부군옥 19권 6장 4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쳐져 호구(戶口)‧공부(貢賦)‧전량(錢粮 : 돈과 곡식)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상서금부(尙書金部)‧상서창부(尙書倉部)를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 금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倉曹)가 있었다. 금조는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칠 때 상서금부로 바뀌었으며, 아울러 사탁은 로, 창조는 상서창부로 바뀌었다가 뒤에 모두 없어졌다. 이와 같이 속관을 없앤 것은 곧 상서호부의 독자적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고서·고문서(2)

  • 宋名臣言行錄 外集 卷十一 朱松 韋齋先生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42 朱松 韋齋先生 字喬年徽之婺源人政和八年同上捨出身授建州政和尉丁外艱服除調南劍州尤溪尉監泉州石井鎭紹興四年召試館職除正字丁内艱服闋召對改左宣教郎秘書省校書郎遷著作佐郎員外郎兼史舘校勘歷司勲吏部兩曺兼史職...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校勘集賢校理兼判官告院嘗爲英宗實錄檢討官不踰月罷出通判越州厯知齊襄洪州進直龍圖閣知福州兼福建路兵馬鈐轄賜緋衣銀魚召判太常寺未至改知明州徙亳州又徙滄州不行留判三班院遷史館修撰管句編修院兼判太常寺元豐五年四月擢試中書舍人賜服金紫九月丁母憂明年四月丙辰終於江寧府享年六十有五自大理寺丞五遷員外郞換朝...
    국가중국 | 서명원풍유고 | 왕대기타  

기타자료(1)

  • 주원욱(朱元旭)이 고구려 사신으로 자주 파견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박사(太學博士)·원외산기시랑(員外散騎侍郎)이 되었다. 자주 고(구)려에 사신으로 가 낭중(郎中)에 제수되었다. 신구(神龜; 518~520) 말년에 낭(郎)직의 선발이 정밀하지 못해 크게 옳고 그름을 바로잡게 되었다. (󰡔魏書󰡕 72 列傳 60 朱元旭)...
    대표표제어주원욱(朱元旭)이 고구려 사신으로 자주 파견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18년(戊戌/신라 법흥왕 5 建元 3/고구려 문자명왕 27/백제 무령왕 18/梁 天監 17/倭 繼體 12)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 산하의 관서. 982년(성종 1) 3월 당제를 본떠 3성 6부제를 실시하면서, 형관의 속사로 두었던 사탁을 995년(성종 14) 상서호부의 속사인 로 명칭을 바꾸었다.

  • 상서창부 / 尙書倉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 산하의 관서. 고려 초기 호구 및 재정을 담당하던 민관에 사탁·금조·창조의 세 관청이 예속되어 있었는데,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로 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상서창부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 금조를 상서금부

  • 민관 / 民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전기 호구 및 재정을 담당하던 관청. 장관으로 어사를 두고 그 아래 시랑·낭중·원외랑을 두었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사탁·금조·창조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상서호부로 고쳐져 호구·공부·전량(돈과 곡식)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그 예속기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