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서창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민관
연구성과물(6)
사전(4)
- 상서창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상서창부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상서탁지(尙書度支), 금조를 상서금부(尙書金部)로 고쳤다. 이 상서호부에 예속되었던 상서창부ㆍ상서탁지ㆍ상서금부는 뒤에 모두 폐지되었다. 『고려사(高麗...
- 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4)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쳐져 호구(戶口)‧공부(貢賦)‧전량(錢粮 : 돈과 곡식)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상서탁지(尙書度支)‧상서금부(尙書金部)‧상서창부(尙書倉部)를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 금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倉曹)가 있었다. 금조는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칠 때 상서금부로 바뀌었으며, 아울러 사탁은 상서탁지로, 창조는 상서창부로 바뀌었다가 뒤에 모두 없어졌다. 이와 같이 속관을 없앤 것은 곧 상서호부의 독자적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 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두었으며, 속관(屬官)으로 사탁(司度)‧금조(金曹)‧창조(倉曹)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중앙관제를 정비하면서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쳤으며, 속관인 사탁을 상서탁지(尙書度支)로, 금조를 상서금부(尙書金部)로, 창조를 상서창부(尙書倉部)로...이칭별칭민관
고서·고문서(2)
- 경구기구전_京口耆舊傳4 蘇頌子嘉等 攜 字季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民被實惠通判廬州去郡民相與遮留至於罷市因中丞蒋猷薦爲御史臺主簿三遷爲尙書倉部郞中[按浮溪集蘇公墓誌云中丞蔣公薦爲御史臺主簿遷光禄寺丞改大宗正尙書倉部郞中與此書所稱三遷可以互證] 외교일반, 5대ㆍ송, 작성시기를 파악할 근거를 찾을 수 없다. 蘇頌의 활동연대(1020~1101)로...국가중국 | 서명경구기구전 | 왕대기타
- 부계집_浮溪集25 誌銘 故徽猷閣待制致仕蘇公[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除緣兄入黨籍 差監兗州東岳廟 尋除丹陽縣丞 會令闕 行令事 陳力二年 如實為令者 徙通判廬州民便安之去郡相與遮留為之罷市中丞蔣公猷薦為御史臺主簿遷光祿寺丞改大宗正丞尚書倉部郎中經郊祀恩賜三品服擢衞尉少卿久之移光祿靖康初寇至京師公晝夜乘城素羸不勝暴露寇退即求去淵聖皇帝雅知公名謂執政曰如此等人可使之去朝...국가중국 | 서명부계집 | 왕대인종(仁宗)
주제어사전(2)
-
상서창부 / 尙書倉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 산하의 관서. 고려 초기 호구 및 재정을 담당하던 민관에 사탁·금조·창조의 세 관청이 예속되어 있었는데,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로 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상서창부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상서탁지, 금조를 상서금부
-
민관 / 民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상서금부·상서창부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