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서창부”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상서탁지(尙書度支), 금조를 상서금부(尙書金部)로 고쳤다. 이 상서호부에 예속되었던 ㆍ상서탁지ㆍ상서금부는 뒤에 모두 폐지되었다. 『고려사(高麗...
  • 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쳐져 호구(戶口)‧공부(貢賦)‧전량(錢粮 : 돈과 곡식)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으며, 그 예속기관으로 상서탁지(尙書度支)‧상서금부(尙書金部)‧()를 두었다. 『고려사(高麗史)』
  • 금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倉曹)가 있었다. 금조는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칠 때 상서금부로 바뀌었으며, 아울러 사탁은 상서탁지로, 창조는 로 바뀌었다가 뒤에 모두 없어졌다. 이와 같이 속관을 없앤 것은 곧 상서호부의 독자적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 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두었으며, 속관(屬官)으로 사탁(司度)‧금조(金曹)‧창조(倉曹)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중앙관제를 정비하면서 상서호부(尙書戶部)로 고쳤으며, 속관인 사탁을 상서탁지(尙書度支)로, 금조를 상서금부(尙書金部)로, 창조를 ()로...
    이칭별칭민관

고서·고문서(2)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 산하의 관서. 고려 초기 호구 및 재정을 담당하던 민관에 사탁·금조·창조의 세 관청이 예속되어 있었는데, 995년(성종 14) 민관을 상서호부로 고치면서 그 예속기관인 창조를 로 고쳤다. 그 밖의 예속기관인 사탁을 상서탁지, 금조를 상서금부

  • 민관 / 民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상서금부·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