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6)
사전(122)
- 상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서사를 설치하였다. 부인(符印)과 제수(除授) 등의 일을 관장하였으며, 관직으로는 판사‧윤(尹)‧소윤(少尹)‧승(丞)‧주부‧직장(直長)‧녹사(錄事) 등을 두었다. 그 뒤 1466년(세조 12) 상서원으로 개칭되고, 관직도 윤을 정(正), 승을 판관(判官), 녹...이칭별칭상서사
- 상서원(尙瑞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상서원 상서원 尙瑞院 이조(吏曹) 상서사(尙瑞司), 새보(璽寶), 부패(符牌), 절월(節鉞)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성인근 1466년(세조 12) 1894년(고종 31) 이조(...상위어이조(吏曹) | 관련어상서사(尙瑞司), 새보(璽寶), 부패(符牌), 절월(節鉞)
- 고문상서원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청(淸)나라 사상가 모기령(毛奇齡, 1623-1716)의 저서.정의중국 청(淸)나라 사상가 모기령(毛奇齡, 1623-1716)의 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omun Sangseo wonsa | MR표기Komun Sangsŏ wŏ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부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상서원(尙瑞院)의 정8품 관직. [내용] 조선시대 상서원은 새보(璽寶 : 옥새와 옥보)‧부패(符牌 : 병부‧순패‧마패)‧절술(節鉥 : 신표와 대부)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상서사(尙瑞司)는 본래 판사‧윤‧소윤‧승‧주부 및
- 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각 관서의 전곡‧비품 등의 출납실무를 주관하던 종7품 관직. [내용] 1392년(태조 1) 7월 관제제정 때 고려의 제도에 따라 사옹원‧내의원‧상서원 등 많은 부서에 1∼3인씩 설치하였다. 이들은 주로 궁궐내의 재정‧물품담당 관...
고서·고문서(73)
- 尙瑞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180 尙瑞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73년 안전(安{山/全})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73년(현종14)7월 12일에 이조에서 안전을 통덕랑(通德郞) 행(行) 상서원직장(尙瑞院直長)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덕랑은 정5품의 문관의 품계이다. 상서원은 보새(寶璽)․부인(符印)을 관장하였던 정3품 아문(衙門)이며, 직장은 종7품 관직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672년 안전(安{山/全})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72년(현종13)12월 21일에 이조에서 안전을 통덕랑(通德郞) 행(行) 상서원부직장(尙瑞院副直長)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덕랑은 정5품의 문관 품계이다. 상서원은 보새(寶璽)․부인(符印)을 관장하였던 정3품 아문(衙門)이며, 부직장은 정8품 관직...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1514년 손중돈(孫仲暾)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14년(중종9)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을 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도승지는 조선시대 왕의 비서기관인 승정원의 장이다. 예문관(藝文館)의 직제학(直提學)과 상서원(尙瑞院)의 정(正)은 도승지가 의례적으로...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72년 이숭원(李崇元)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72년(성종 3) 12월 9일 성종이 이숭원을 純誠明亮佐理功臣嘉▣大夫行承政院都承旨兼經筵參贊官尙瑞院正弘文館直提學春秋館修撰官延原君으로 봉하는 문서이다. 이숭원은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고, 1471년(성종 2) 성종 즉위에 공을 인정받아 좌...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익산 삼기 연안이씨 현동사 어서각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080호 대동신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항자는 극히 볼 일이 드물다고 하기보다는 그림자까지도 숨긴 모양이다. 그런데 증명을 내어주는 도항계(渡航係)에는 변함없이 수백 명이 큰물과 같이 모여들고, 수상서원(水上署員) 등의 짬을 허락하지 않는 상태다. 결국 도항하려 하는 자의 수는 수일(遂日)[축일(逐日)?]...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0호 대동신보 | 출판물명대동신보(大東新報) 1935년 4월 6일
주제어사전(11)
-
상서원 / 尙瑞院 [정치·법제/법제·행정]
판관이 없어지고, 부직장도 1인으로 줄었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상서원의 직장은 새보·부패·절월을 관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폐지되었다.
-
마패 / 馬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마의 지급을 규정하는 패. 조선시대에는 공무로 출장가는 관원은 주로 역마를 이용하였다. 이 때 상서원으로부터 발급하는 마패를 증표로 삼았다. 마패의 한 면에는 대소 관원의 등급에 따라 마필의 수효를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자호(字號)와 연·월 및 상서원인(尙瑞院印
-
부직장 / 副直長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상서원의 정8품 관직. 조선시대 상서원은 새보(옥새와 옥보)·부패(병부·순패·마패)·절술(신표와 대부)을 관장하던 기관이다. 1466년(세조 12) 1월의 관제개혁에서는 상서사가 상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윤을 정(正)으로, 승을 판관으로, 녹사를 부직장으로 고
-
김종서 / 金宗瑞 [종교·철학/유학]
1383(우왕 9)∼1453(단종 1).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평 태영, 아버지는 도총제 추, 어머니는 대사헌 배규의 딸이다. 1405년(태종 5) 식년 문과에 동진사로 급제해 1415년 상서원직장을 지냈다. 우정언, 이조정랑, 함길도도관찰사, 우의정을
-
이승증 / 李承曾 [종교·철학/유학]
1515(중종 10)∼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계간, 어머니는 영천이씨이다. 김대유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여 추천으로 건원릉참봉, 사옹원제조, 상의원제조, 상서원직장, 종부시첨정, 사도시직장을 지냈다. 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