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서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
사전(50)
- 상서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종친 뿐 아니라 일반 관리들에게도 주어졌던 것과는 달리, 상서령은 문종 때 최유길(崔惟吉)이 수사공섭상서령(守司空攝尙書令)에 임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관리에게 제수된 사례가 전혀 없다. 따라서,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은 그 아래의 좌우복야(左右僕射)가 맡게 되...
- 尙書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442 尙書令 관직 地峻 李奎報文 D_15_02_48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4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4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왕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 수태위겸 상서령 상주국 상당후(守仁輔德佐理功臣開府儀同三司檢校太保守太尉兼尙書令上柱國上黨侯)에 책봉되었으며, 식읍(食邑) 2,000호(戶), 식실봉(食實封) 300호가 하사되었다. 시호는 순상(順殤)이다. 『고려사(高麗史)』이칭별칭 순상(順?)
- 강유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촉한(蜀漢) 상서령으로, 금산사 창업연에서 제갈량이 모든 군신들의 반열을 정하면서 자신에 대한 언급이 없자 그에게 억울함을 호소하다가, 반론을 듣고 물러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현향태수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먹’을 의인화한 것이다. 묵씨의 먼 후예. 소하와 알게 돼, 서로 시사를 논의해 상서령 벼슬에다가 은전을 누린다. 이후 현향태수의 직임을 받아 청렴과 간결로 이름이 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68)
- 梁武帝時,南徐ㆍ江ㆍ郢,兩年黃籍不上。帝納尙書令沈約之言,詔改定百家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180 經世遺表 卷十三 ITKC_MP_0597A_1180_010_0090 梁武帝時,南徐ㆍ江ㆍ郢,兩年黃籍不上。帝納尙書令沈約之言,詔改定百家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黃香扇枕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孝子圖 黃香扇枕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黃香年九歲失母思慕憔悴殆不免喪鄕人稱其孝獨養其父躬執勤苦夏則扇枕席冬則以身溫被太守劉護表而異之自是名聞於世後官累遷至尙書令至子瓊及孫皆貴顯 黃香行孝自髫年扇枕溫衾世共傳寒署不令親體受誠心一念出天然 江夏黃童志異常當時已道...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요사휘편_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2 統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176 중국 총서 요사휘편 043 목종(穆宗) 9 1006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2 統和二十四年丙午[景德三年] 遣耶律延貴加冊高麗王誦守尙書令兼政事令 以二月至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 統和二十四年丙午은 요 聖宗 統和 24년(1...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목종(穆宗) 9
- 人事門2_使星廚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使星廚傳 漢 順帝 陽嘉元年, 尙書令左雄言: “俗漸彫敝, 巧僞滋萌, 謂聚斂整判爲賢能, 以治己安民爲劣弱, 視民如寇讐, 斂之如豺虎. 監司項背相望, 見非不擧, 觀政亭傳.” 註: “長吏飾亭傳, 以夸使客.” 此古今通弊也. 國法, 凡使星之過郡縣, 饌品不豐, 例皆啓罷其職, 故守宰惟...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卞門忠孝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卞門忠孝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蘇峻擧兵反陷姑孰濟自橫江臺兵屢敗成帝詔尙書令卞壼都督大桁東諸軍及峻戰于西陵大敗峻攻靑溪柵壼又拒擊峻因風縱火燒臺省諸營皆盡壼背癰新愈瘡猶未合力疾苦戰而死二子眕盱隨之亦赴敵死眕母撫二子尸哭曰父爲忠臣子爲孝子夫何恨乎贈侍中驃騎...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타자료(1)
- 북연의 후주(後主) 풍문통이 고구려로 도망하자 그를 맞아들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그 장수 갈로·맹광을 파견해 무리 수만을 거느리고 양이를 따라 화룡에 이르러 북연왕을 맞이하게 하였다. 고구려가 임천(臨川)에 주둔하자, 북연의 상서령(尙書令) 곽생(郭生)은 백성들이 도망가기를 두려워하므로 성문을 열고 북위 군대를 맞이하였다. 북위 군대가 그것을 의심...대표표제어북연의 후주(後主) 풍문통이 고구려로 도망하자 그를 맞아들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36년(丙子/신라 눌지마립간 20/고구려 장수왕 24/백제 비유왕 10/劉宋 元嘉 13/倭 允恭 25)
주제어사전(4)
-
상서령 / 尙書令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장관. 정원은 1인, 품질은 종1품으로 중서령·문하시중과 더불어 고려의 최고관직이었다. 그러나 실무직이 아니라 종친에게만 수여되는 명예직이었다. 따라서,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은 그 아래의 좌우복야가 맡게 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 중
-
문하시중 / 門下侍中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종1품 중서문하성의 수상직. 중서문하성의 장관으로, 정원은 1인이었다. 같은 종1품직인 상서령과 중서령이 종친이나 원로 재상에게 주는 영예직 또는 치사직·증직이었으므로 명실상부한 고려의 최고관직으로서 수상이 되었다. 1369년 도첨의부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
도병마사 / 都兵馬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변경의 군사문제를 의논하던 회의기관. 도평의사사의 전신이다. 기원은 989년(성종 8)에 설치된 동서북면병마사의 판사제에서 비롯되었다. 이 때 서북면과 동북면에 파견된 병마사를 중앙에서 지휘하기 위해 문하시중·중서령·상서령을 판사로 삼았는데, 이 병마판사제
-
상서도성 / 尙書都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중앙정치기구인 상서성의 상층관서. 995년(성종 14) 이전의 어사도성이 개칭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상서령(종1품) 1인, 좌우복야(정2품) 각 1인, 지성사(종2품) 1인, 좌우승(종3품) 각 1인, 좌우사낭중(정5품) 각 1인, 좌우사원외랑(정6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