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사” 에 대한 검색결과 14,8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17)

사전(3,662)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국사(國事), 또는 왕사(王事). 弟今十八辭朝 爲治葬事 留滯龍仁 昨日始還弊寓 氣力委頓 脅痛兼發 而因急 來初六日 曳病就途, 정언황(丁彦璜), 21(義)-28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정사(正使)‧부사(副使)‧서장관(書狀官)의 삼사신 가운데 정사를 가리킴. 六寸族生前典醫奉事朴霽 今隨使之行, 송인(宋寅),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성균관 유생(儒生) 중 상재(上齋)에 기숙하며 공부하는 학생을 일컬음. 昨聞令.當歷此境郵亭 卽令文弘獻 持書馳候 到昏虛還 不審何故馳擾事, 최경회(崔慶會), 21(仁)-19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때마다 돌아오는 제사. 此中奄經 俯仰靡極 只欲無生而已, 김정희(金正喜), 33-11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국학(國學)인 국자감(國子監)의 교육과정. [개설] 구체적으로는 예종 때 국학에 설치된 7재(七齋)를 가리킨다. 흔히 삼사제(三舍制)라 하여 외사(外舍)‧내사(內舍)‧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중 최고위 과정을 일컫는데, 이 과...

단행본(2)

  • 신라 화엄사 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오영... | 출판사 : 사회과학문헌출판사 | 출판일 : 2014.06.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 조선후기 과학사-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전북대학교]
    저자 : 문중양...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60930

논문(6)

고서·고문서(7,868)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37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05391 창가 최신창가집 부악전 22028 〈mn〉오선악보 있음. 악보 안에는 1절 가사가 적혀있다.〈/mn〉 〈#58〉 [ 一、 ] 나의 친구 리별한 후 편안하신가 우리 서로 놀든 졍은 잊기 어럽소 [ 二、 ] 죠흔 일을 만날 째나 어러...
    구분창가
  •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240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歌 [174] 一別郞君 난 後에 九十春光 계워 간다 弱水 三千里 멈도 멀 靑鳥消息 쳐 잇(졋)다 南北이 相隔여 獨思 단장 쇽졀 업다 羅裙掩濕 풀쳐혀여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書 春間委進 旅次,浹旬陪誨,足償仰慕之忱, 而但彼時行色甚忙,不能穩承 緖餘,茹恨在心,盖只今未沫, 卽此本官回禠,伏承 下書,盥手拜展,若承警咳 於屛几之側,而其所以憫念 眷恤之意,溢於辭表,自惟無 狀何以得此,感戢之極,罔知攸 答,伏審庚炎, 旅中台軆候神相愷悌,不至 大損,是用伏慰,...
    분야문학 | 유형문헌
  • 00358 잡가 증보신구잡가 12008 1915 노익형 한성서관 노익형 방성식 三十錢 별곡 [4] 인간리별 만 즁의 독슉공방이 더옥 슬다 불견 이 진졍을 뉘라셔 알리 친 셔름 이렁저렁이라 흣터진 근심 다 후리쳐 던져...
    구분잡가 | 편저자노익형

구술자료(974)

기초학문(444)

  • 한국사학의 성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6
    69131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회 2016 한국사학의 성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한일 뱀(蛇) 설화의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영숙, 게재일 : 2014
    49768 송영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한일 뱀(蛇) 설화의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천주교가 조선 후기 사에 끼친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사순, 게재일 : 2002
    10468 윤사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2 천주교가 조선 후기 사에 끼친 영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강유위의 세계의식과 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규성, 게재일 : 2003
    08938 이규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3 강유위의 세계의식과 이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근현대 중국 이회론의 철학적 탐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연도, 게재일 : 2012
    40381 이연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2 근현대 중국 이회론의 철학적 탐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246)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대신 죠즁응씨 작일 졍오에 비로소 부에 진얏 그 보호로 츄죵 일슌샤십여명과 슌검명은 모다 인력거타고 기타 구죵등이 다슈야 도로상 위의와 경위가 극히 엄밀더라
    게재일1907년 7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대신 죠즁응씨 빈의 방문을 일졀졀고 하나도 졉견치 안이다 그리유 빈즁에 혹협잡심을 가진쟈잇셔 무삼쳥쵹일이 잇에 그부탁을 들으면협 불공 질터이오 만일쳥죵치 안이면 인졍에불근터이니 당쵸에 졉견치안일이 가다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대신 리병무씨 작일오젼팔시에 이등통감을 방문후 군산식힐일노 오 상의고 각에잠시 들어갓다가 오후칠시경에 농상대신 숑병쥰씨집에가셔 류슉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안북도 관하십칠군슈의 포폄을 부에슈보얏 기즁에 상이 삼군이오 즁이 군이오그남아 모다하등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대신 리하영씨가 신병으로 여러날 진시무치 못더니 작일부터 부에진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214)

  • 국가 비태 선언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국가비태 선언을 알리는 영상이다. 윤주영 문화부장관이 기자회견을 열고 박정희 대통령의 국가비태 선언을 낭독하는 장면과 김성진 청와대대변인이 특별담화문을 대독하는 모습, 문화공보부 관계자가 외신기자들 앞에서 국가비태 선언을 발표하는 화면 등을 비추면서 여섯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1년 12월 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발굴중간보고 cc2-0187_#1 유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_실 발굴조사 중간보고_건물지 1 cc2-0187_1_2015-05-20_3345_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_실 발굴조사 중간보고_건물지 1.jpg cc2-0187_#2 유
    제목실상사 발굴중간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부안 실지 발굴조사 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부안 실지 발굴조사 보고서 cc2-0149_#1 유구 7. 제1건물지 발굴전경(동에서) 2015-01-07_0.2707788_7. 제1건물지 발굴전경(동에서).jpg cc2-0149_#2 유구 9. 제1건물지 제1차 서측 초석적심
    제목부안 실상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남원 실 백장암-시굴 및 금당지 주변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남원 실 백장암-시굴 및 금당지 주변 발굴조사보고서 cc2-0111_#1 유구 [도판 3] 금당지 및 동편건물지 발굴상태 2015-01-02_0.2517359_[도판 3] 금당지 및 동편건물지 발굴상태.jpg cc2-0111_#2 유
    제목남원 실상사 백장암-시굴 및 금당지 주변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함안 말산리 101-2번지 유적 – 함안합동 신축예정지 –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함안 말산리 101-2번지 유적 – 함안합동 신축예정지 – ss1-0298_#1 유구 도면 1. 시굴조사 위치 및 주변유적 2014-11-26_0.356106_도면 1. 시굴조사 위치 및 주변유적.jpg ss1-0298_#2 유구
    제목함안 말산리 101-2번지 유적 – 함안합동상사 신축예정지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201)

  • 김상혁;金相赫;김;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87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28면 김상혁;金相赫;김;金 황해도 해주부 사영정(자동차부) 제15회 192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cc2-0187 유구 2014-01-07_0.6417353_실 발굴중간보고 표지.JPG 실 발굴중간보고 實 發掘中間報告 199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91 최맹식,김용민,지병목,김지연,조귀형,김미란,정성목 최맹식,조귀형,김미...
    발행연도1999 | 발굴기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전라북도
  • 태와 주체의식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태와 주체의식 비태와 주체의식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우성 | 사료철명부산교육
  • 국가 비태 선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가 비태 선언 국가 비태 선언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잡지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경남
  • 신라가 왜에 하등극사(賀騰極使)와 조(弔使)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왜에 하등극사(賀騰極使)와 조(弔使)를 보내다 교류담당 642년(壬寅/신라 선덕왕 11 仁平 9/고구려 영류왕 25, 보장왕 1/백제 義慈王2/...
    대표표제어신라가 왜에 하등극사(賀騰極使)와 조상사(弔喪使)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2년(壬寅/신라 선덕왕 11 仁平 9/고구려 영류왕 25, 보장왕 1/백제 義慈王2/唐 貞觀 16/倭 皇極 1)

연구과제(35)

주제어사전(177)

  • /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국학인 국자감의 교육과정. 예종 때 국학에 설치된 7재를 가리킨다. 1109년(예종 4)에 예종이 국학에 7재를 설치하면서 로 하고 종래의 국자학·태학·사문학 과정을 내사로 편제했던 것이다. 에 진학하기 위해 내사생들은 6년 동안의 재학 기간 중에

  • 상식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5품 내명부의 궁관직. 궁관의 하나로 반찬의 품종을 갖추어서 공급하는 일의 총책임을 맡은 관직이다.

  • 곡 / 古 [문학/고전시가]

    벗어난 예는 한 행도 없다. 가집(歌集)들에 ‘고곡(古曲)’이란 명칭의 노래와, ‘고별곡(古別曲)’이란 유사 명칭의 노래가 있어 같은 노래로 혼동하기 쉬운데, 다른 노래이다.

  • / 吉 [예술·체육/건축]

    ) 아래에 서발한사당(舒發翰祠堂)을 건립하였으나 1922년 대홍수로 무너져, 1926년 현 위치에 재건하고 길라 하였다. 1954년에는 『길지(吉誌)』를 발간하였으며, 1957년에 흥무대왕신성비(興武大王神聖碑)를 세웠다. 1959년에 전면 개축하고, 1975

  • / 農 [역사/근대사]

    1882년에 설치된 통리군국사무아문 산하 관서. 1882년 11월 편민이국에 관한 일체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통리내무아문이 같은해 12월 통리군국사무아문으로 개칭될 때 산하 관청의 하나로 설치되었다. 독판 1인, 협판 3인, 참의 3인, 주사 4인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