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복사”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반포된 『경국대전』에는 가 추가되어 있다. 이는 세종 때에 확립된 금부삼복법(禁府三覆法 : 사형죄는 재판의 신중을 위하여 세 번 심리를 하도록한 제도)과 관련하여 패역(悖逆)이나 강도와 같이 무거운 죄를 범하여 사형의 판결을 받은 자에 대하여, 그 죄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기(禮記)》의 편명.
    정의《예기(禮記)》의 편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ngbok saje | MR표기Sangbok sa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심(覆審), 삼복(三覆), 상일방(詳一房), 상이방(詳二房)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강석화 1430년(세종 12) 형조(刑曹) [정의]
    관련어복심(覆審), 삼복(三覆), 상일방(詳一房), 상이방(詳二房)
  • 구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내용]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覆奏)를 관장하는 (),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장금사...
  • 상복검상사(詳覆檢詳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복검상사 상복검상사 詳覆檢詳司 () 형조(刑曹), 복심(覆審), 옥안(獄案)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종~중종 정순옥 [정의] 조선시대 사형 죄인의 서류를 심사하...
    동의어상복사(詳覆司) | 관련어형조(刑曹), 복심(覆審), 옥안(獄案)

고서·고문서(50)

  • 50584 B050584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4月 10日_020 ○申琰爲內禁衛將, 金弘濟·李泰燁爲五衛將, 梁國昇爲景福將, 尹就殷爲昌德將, 禹弘圭爲慶尙左兵使, 白兌起爲德浦僉使, 李興胤爲同知副護軍, 鄭怍一·尹命彦·李錫直, 具善行·金時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615 B050615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6年 4月 10日_020 ○申琰爲內禁衛將, 金弘濟·李泰燁爲五衛將, 梁國昇爲景福將, 尹就殷爲昌德將, 禹弘圭爲慶尙左兵使, 白兌起爲德浦僉使, 李興胤爲同知副護軍, 鄭怍一·尹命彦·李錫直, 具善行·金時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呈聲副摠管, 許秩·元萬里五衛將, 李鳳齡訓鍊副正, 南龍翼都摠管, 金阜榮安興僉使, 金益炅·張善瀓·吳斗憲·尹拯副護軍, 崔天燁·崔仁錫副司果, 李昌彧·鄭士㻣·韓用良折衝, 閔昕僉知, 李時直。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奎曰, 陽村集可考也。 上曰, 注書出去, 陽村集取來。 恒齡, 出去問於弘文館, 則館吏, 以爲本館書冊, 在於昌德宮云。 恒齡還奏, 使昌明出去, 命館吏取來。 昌明持陽村集還奏。 上使元淳讀之。 本集碑文中, 允字以元字書之, 而又有盛德字。 上曰, 誌狀新本, 似考此集也。 宅奎曰, 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3763 B063763 도인 島人 도서 도인(島人) 承政院日記 仁祖 14年 8月4日_011 有此規, 五六字缺中之人, 旣爲出來三四行缺飭耶? 敏求曰, 七八字缺乎? 如議註一事, 臣昨者伻人問于該曹, 則缺日始爲回報, 而往復之際, 語意差訛, 此等缺誠可悶也。 詔使時禮單, 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죄자에 대한 복심을 담당한 형조 소속의 관서. 원래 1405년(태종 5) 육조의 기능 강화를 위한 관제개혁 때 형조 안에는 장금사(掌禁司)·장례사(掌隷司)·고율사(考律司)의 3부서를 두었으나, 성종 초에 반포된 ≪경국대전≫에는 가 추가되어 있다.

  • 구방 / 九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를 관장하는 (),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장금사(掌禁司), 노비와 포로를 관장하는 장례사(掌

  • 방장 / 房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형조의 업무를 분장하는 방을 책임지는 관직. 4개의 사에 각각 두개의 방을 갖추었는데, 이들 방을 책임지는 담당관을 일컫던 칭호이다. 형조의 분사는 ·고율사·장금사·장례사로 이들 각 사의 해당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마다 두개의 방을 분설하여 모두 8개

  • 형조 / 刑曹 [정치·법제/법제·행정]

    왕 1) 형조로 개칭된 것이 그대로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경국대전≫에는 ·고율사·장금사·장례사 등 4사의 체제로 나타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