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례편람”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참고자료가 되고 있다. / 각설찬의도설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필사본. 규장각도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金鼎柱, ?-?)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정의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金鼎柱, ?-?)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nye pyeollam | MR표기Sangnye p’yŏll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소눌선생문집책판외오십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국씨족고 東國氏族攷≫, 교육용 교과서인 ≪여사수지 女士須知≫, 실천적 예서인 ≪ 便≫, 역사지리책인 ≪강역고 疆域攷≫ 등 수십 권의 저술을 남겼다. ≪소눌문집≫은 저자가 서거한 뒤 1934년에 밀양 노곡에서 문인들에 의해 간행된 것이다. 이 문집...
  • 광례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893년(고종 30) 쓰여진 것이다. 엮은이는 서문에서 이재(李縡)의 ≪사례편람 四禮便覽≫과 김정계(金鼎桂)의 ≪ 便≫ 등이 너무 번잡하여 급할 때는 찾아보기 힘들 뿐 아니라, 흔히 쓰이는 예법에 대해서는 너무 소략한 감이 있어, 이 책을 만들게 되...

고서·고문서(1)

  • 가정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義士 崔永元의 의로움과 충성심을 영원히 기록해 남긴다는 뜻을 밝혔다. 便序(6) 『便』의 序文으로, 저자 金鏶의 지극한 효성과 학문에 대한 깊은 조예 및 책의 성격에 대해 간략히 소개했다. 당시 喪禮에 관한 책 중에는 『溫公書儀』에서 비롯된『喪禮備要』가 가장...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便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김정주가 편찬한 상례와 제례에 관한 책. 2권 1책. 필사본. 김정주의 서문에 의하면 1829년(순조 29)에 착수하여 1831년에 완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본은 1869년(고종 6)에 필사한 것이다. 제1권에 초종·성복·오복·상상·강복·조·분

  • 광례람 / 廣禮覽 [사회/가족]

    『사례편람 四禮便覽』과 김정계(金鼎桂)의 『 便』 등이 너무 번잡하여 급할 때는 찾아보기 힘들 뿐 아니라, 흔히 쓰이는 예법에 대해서는 너무 소략한 감이 있어, 이 책을 만들게 되었다는 편찬동기를 밝히고 있다. 각 권별로 권두에 목록이 있다. 권1은 상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