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례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상례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년병신맹추광산후인근직)’이란 기록이 있다. 이 책은 홍윤표소장본으로 앞에 ‘상례언해서’, 이어서 ‘상례언해범례’가 있고, 이어서 ‘상례언해 권1’의 본문이 나온다. ‘상례언해서’와 ‘상례언해범례’는 한문으로 되어 있고 언해를 하지 않았으나 본문은 한문 원문은 없...
- 춘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어수선한 국정과 백성들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될만한 편지가 많이 있다. 서(序)는 김하락(金河洛)의 『전정일기(戰征日記)』와 김영복(金永福)의 『상례언해(喪禮諺解)』 등 각종 서적에 대한 것이다. 기 가운데 「송경유행기(松京遊行記)」에는 고려시대의...
- 중의(中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안에 받쳐 입는 속저고리[中衣]나 속바지[單袴], 또는 최의(衰衣)의 받침옷. [개설] 안에 받쳐 입는 옷, 즉 중단(中單)이다. 『광재물보(廣才物譜)』에는 백삼(白衫)을 중의라고 하여 속저고리를 뜻하며, 『상례언해(喪禮諺解)』에는 단고(單袴)와 속...관련어상복(喪服), 속바지[單袴], 심의(深衣), 중단(中單), 최의(衰衣)
- 과두(裹肚)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감안하면 서피로 겉감을 한 과두일 수도 있다. 도(道) 절도사(節度使)에게 내릴 백주과두는 여우 가죽이 없어서 안을 넣지 못한다는 기록에서도 과두에 다양한 가죽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중종실록』 20년 10월 14일]. 또 『상례언해(喪禮諺解)』에 과두를...하위어백면주유과두(白綿紬襦裹肚), 백사면주유과두(白絲綿紬襦裹肚), 백유과두(白襦裹肚), 백주겹과두(白紬裌裹肚), 백주과두(白紬裹肚), 백주유과두(白紬襦裹肚), 백초과두(白綃裹肚), 서피과두(鼠皮裹肚), 정주과두(鼎紬裹肚), 주과두(紬裹肚), 주유과두(紬襦裹肚) | 관련어갑과두(甲裹肚), 요대(腰帶)
주제어사전(1)
-
상례언해 / 喪禮諺解 [언어/언어/문자]
, 그 뒤에 ‘숭정기원후팔십구년병신맹추 광산후인 근직(崇禎紀元後八十九年丙申孟秋光山後人謹識)’이란 기록이 있다. 이 책은 홍윤표소장본으로 앞에 ‘상례언해서’, 이어서 ‘상례언해범례’가 있고, 이어서 ‘상례언해 권1’의 본문이 나온다. ‘상례언해서’와 ‘상례언해범례’는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