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례비요” 에 대한 검색결과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0)

사전(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주(神主)‧의금(衣衾)‧최질(衰絰)‧오복제(五服制)‧상구(喪具)‧발인(發靷)‧성분(成墳)‧입비(立碑)‧수조(受弔)‧진찬(進饌) 등의 도설(圖說)을 책머리에 실었다. 이 『』는 비록 분량은 많지 않지만 상례관계의 요긴한 부문을 요령 있게 설명하였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정의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 문광부표기Sangnye biyo | MR표기Sangnye pi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례편고급별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상례‧제례 및 국휼 때의 의절에 관하여 『()』의 순서에 다시 우리나라 선유의 예설을 추가하여 엮은 책. [내용] 7권 6책. 필사본. 필자와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건중(朴建中)이 편술한, 『』의 증보판. [내용] 12권 8책. 사본. 1806년(순조 6)에 완성되었다. 『비요보해(備要補解)』라고도 하며, 13권 8책본이 있기도 하다. 박건중은 송환기(宋煥箕)‧김정...
    이칭별칭비요보해(備要補解)
  • 사계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經書辨疑) 8편, 권17∼20에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권21‧22에 전례문답(典禮問答) 15편, 권23∼30에 가례집람(家禮輯覽), 권31∼34에 (), 권35∼41에 의례문해(疑禮問解), 권42에 의례문해‧습유(拾遺)가 있다. 권43∼45는...
    이칭별칭사계선생유고(沙溪先生遺稿)

고서·고문서(20)

  • 1808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08년(순조8)2월 5일에 하백원이 동문 안수록에게 답한 서간이다. 안수록에게 빌린한서(漢書)의 책값은 갚는다고 하고,()를 찾아오도록 부탁했으나 얻지 못했다는 내용을 담았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순천 죽산안씨 송매정
  • 1807년 안수록(安壽祿)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807(순조7)11월 22일에 안수록이 동문 하백원에게 답한 서간이다.를 가까운 시일 안에 빌려볼 수 있는지를 물었고, 면보가 일전에 속히 만나보고 싶다는 서신을 보내왔다고 전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화순 이서 진주하씨 하상래
  • 1809년 하백원(河百源)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했다.()는 아직 인쇄하지 못했고,한수재집(寒水齋集)은 다음 인편을 통해 돌려받을 수 있는지를 물었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순천 죽산안씨 송매정
  • 持《家禮》來問于羽良曰: “中月而禫云者, 何謂也?” 羽良不能對。 史官洪昌漢曰: “《》, 爲東方禮家三尺。 王家亦當遵用矣。” 上曰: “其冊比《家禮》尤詳備, 在潛邸時見之, 闕內無印本矣。” 命中官, 頒柑橘一盤于諸臣。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設冒未當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nk_0002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二 喪禮_襲 設冒未當 設冒未當 이익(李瀷, 1681~1763) 冒制甚好 不可不用 DRAC_2:1:7:11 按, 《》云“若設冒, 結其帶”, 至“小斂”條, 因《家禮》之舊, 乃云: “未結以絞, 未掩...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상례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가례』의 상례관계의 본문을 중심으로, 『예경』과 여러 학자들의 이에 관한 해석을 참고, 유취하여 초상에서 장제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요령 있게 찬술하였다. 그리고 사당·신주·

  • 보 / [사회/가족]

    조선후기 학자 박건중의 『』를 증보하여 저술한 예서. 12권 8책. 사본. 1806년(순조 6)에 완성되었다. 『비요보해(備要補解)』라고도 하며, 13권 8책본이 있기도 하다. 박건중은 송환기(宋煥箕)·김정묵(金正默) 등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정통을 이어오던

  • 상석 / 床石 [사회/가족]

    )으로, 일반사대부의 대표적 예서인 『 』와 『사례편람』에는 석상(石床)으로 각각 표기하고 있다. 그 숫자와 크기에 대하여 『국조오례의』에는 봉분 앞에 하나를 설치하는데, 길이 아홉 자 아홉 치, 너비 여섯 자 네 치, 두께 한 자 다섯 치라고 규정하고

  • 김해 / 金楷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 - 1716(숙종 42). 아버지 김광현, 어머니 청주한씨이다. 경사에 두루 섭렵하여 약관도 안 되어 이미 주역을 읽어 심오한 이치까지 깨우쳐 <계몽복역>을 저술하였다. <>도 의심나고 잘못된 곳을 고정하였다. 또한 농암 김창협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