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상례” 에 대한 검색결과 4,9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06)

사전(1,77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상중(喪中)에 행하는 의례. 는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로서, 사람이 태어나서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이다. [내용]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죽음을 단순히 인간의 생물학적인 활동의 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3월 육조(六曹)의 분직 및 소속을 상정할 때는 예조에 소속되더니, 1466년(세조 12) 1월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승격하고 관제를 『경국대전』과 같이 고치면서 지사를 로 개칭하였다. 그 뒤 는 변함없이 조선 말기까지 존속하였다. 『고려사...
  • TD_J3_D_0032 脯醯, 夫人之喪, 流俗, 驚駭 柳夏亭 文公家禮, 行狀 D_10_04_15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1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1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직(實職), 좌·우통례(左·右通禮), 참상관(參上官) 봉례(奉禮) 가(假), 대치사관(代致詞官), 섭(攝), 알자(謁者), 음서(蔭敍), 지사(知事),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院) 정치행정/관직...
    상위어실직(實職), 좌·우통례(左·右通禮), 참상관(參上官) | 하위어봉례(奉禮) | 관련어가상례(假相禮), 대치사관(代致詞官), 섭상례(攝相禮), 알자(謁者), 음서(蔭敍), 지사(知事), 통례문(通禮門), 통례원(通禮院)
  • 고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유성룡(柳成龍)이 지은 관계의 책. [내용] 주자(朱子)의 『가례(家禮)』에서 를 『예기』와 결부시켜 상제(喪制) 3편과 상제에 따른 상복을 도식화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주자의 『가례』가 중심이...

단행본(6)

  • 정본 여유당전서 18-사전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四箋 卷一 2.四箋 卷二 3.四箋 卷三 4.四箋 卷四 5.四箋 卷五
  • 정본 여유당전서 19-사전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四箋 卷六 2.四箋 卷七 3.四箋 卷八 4.四箋 卷九 5.四箋 卷十
  • 정본 여유당전서 20-사전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四箋 卷十一 2.四箋 卷十二 3.四箋 卷十三 4.四箋 卷十四 5.四箋 卷十五 6.四箋 卷十六
  • 정본 여유당전서 21-외편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外編 卷一 2.外編 卷二 3.外編 卷三 4.外編 卷四
  • 영조 자손 자료집 3-사도세자, 혜빈홍씨-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근호(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2.05.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정조대 사도세자의 추숭 사업과 관련 자료 《顯隆園謄錄》 《顯隆園謄錄》 《顯隆園謄錄》 《惠慶宮進饌所儀軌》 《惠慶宮日記》 《獻敬惠嬪儀註

고서·고문서(2,766)

구술자료(15)

  • (東)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19에 이어서 마지막으로 한 이야기다. 해는 이미 져서 저녁밥 때가 되고 너무 많은 이야기를 시킨 것 같아서 조사자가 스스로 물러났는데, 제보자는 한 자리에서 30편 가까운 설화를 구술하여도 미진한 듯한 표정을 지었다. 이 설화의 전반부는 본래 이야기의 줄거리...
    조사일시1979-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하청면 | 제보자임봉진
  • 의 유래와 왕희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1-07-30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밀양읍 | 제보자안성수
  • 때 죽은 신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력이 좋은 제보자여서 조사자가 유도할 필요도 없이 많은 이야기를 구술하였다.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로서, 동상례하다 사람이 죽은 후로는 동상례가 없어졌다고 한다.*
    조사일시1984-05-19 | 조사장소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 | 제보자백금문
  • 공주 민속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공주 민속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52 3340 충남 대담조사자료 1) 공주시 교동부락의 및 혼례에 관한 대담조사자료이다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기동
  • 공주 민속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공주 민속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52 3340 충남 대담조사자료 1) 공주시 교동부락의 및 혼례에 관한 대담조사자료이다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흥수

기초학문(9)

  • 通載의 禮學史적 位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동우, 게재일 : 2014
    59168 장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4 通載의 禮學史적 位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 서술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선희, 게재일 : 2009
    26292 정선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소설학회 2009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 서술의 변모양상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고려 초 卽位儀禮와 를 통해 본 권위의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지연, 게재일 : 2016
    60936 장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사학회 2016 고려 초 卽位儀禮와 를 통해 본 권위의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윤하정삼문취록에 나타난 사대부가의 양상과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영신, 게재일 : 2015
    57716 정영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연구소 2015 윤하정삼문취록에 나타난 사대부가의 양상과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진도지역 를 통해서 본 의례와 놀이의 연행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윤선, 게재일 : 2009
    28716 이윤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09 진도지역 를 통해서 본 의례와 놀이의 연행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22)

  • 譴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 동지명일에 황태 뎐하셔 슈하례 실 에 샹례 셔긍슌씨가 진시 령치아니으로 궁부대신이 샹 쥬야 즁견에 쳐엿더라
    게재일1902년 12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河(江樂園) 서울 河 江樂園 本洞町 64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19.4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河商禮(江樂園)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鍾九(慶館) 서울 李鍾九 慶館 貫鐵町 193 여숙업 - 여관(旅舘) - 31.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鍾九(慶尙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石田モトヱ(村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石田モトヱ(村館) 서울 石田モトヱ 村館 南大門通 5-6 여숙업 - 여관(旅舘) - 11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石田モトヱ(村上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쟝례원 리죵영 갈닌에 시강원시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례원 리죵영 갈닌에 시강원시독관 송관헌宋觀憲으로임고 비셔원랑 류인쳘 리의국갈닌에 륙품 리죵영李鍾瀅 남쟝희南章熙로 임고 홍문관시독 남쟝희 송쥰헌 갈닌에 시강원시독관 리동李東宰 륙품변규창邊奎昌으로 임고 규쟝각직각 윤하영尹夏榮 규쟝각대졔 김용덕金容悳으로
    게재일1902년 3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61)

기타자료(54)

  • ;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787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39면 1. 동창회원록;4) 제4회 졸업생 1926년도 합계 22명 송;宋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218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5면 (학과)본과 전;田 7회 191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7969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25면 (학과)본과 전;田 7회 191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상려;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457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148면 김상려;金 함경북도 성진군 학중면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일본에 신라에 보낸 견신라가사 ()를 잃었음을 아뢰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일본에 신라에 보낸 견신라가사 ()를 잃었음을 아뢰다 교류담당 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대표표제어일본에 신라에 보낸 견신라가사 상례(常禮)를 잃었음을 아뢰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7년(丁丑/신라 성덕왕 36, 효성왕 1/발해 무왕 19 仁安 19, 문왕 1 大興 1/唐 開元 25/日本 天平 9)

연구과제(3)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최연식 | 연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도현철 | 연세대학교 | 2018 | 국내 | 서울

  •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창현 | 목포대학교 | 2023 | 국내 | 전남

주제어사전(125)

  • / [정치·법제/법제·행정]

    1466년(세조 12) 1월 통례문을 통례원으로 승격하고 관제를 ≪경국대전≫과 같이 고치면서 지사를 로 개칭하였다.

  • / [사회/가족]

    상중(喪中)에 행하는 모든 의례를 지칭하는 용어. 는 통과의례의 하나이다. 즉, 이 세상에서의 삶을 종식하고 또다른 세계로 이행하는 데 따르는 의례가 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관혼상제라고 하여 관례·혼례··제례를 중요한 의례들로 삼아 왔다. 그 가운데

  • 고증 / 考證 [사회/가족]

    조선시대 문신 유성룡이 에 관하여 저술한 예서. 주자(朱子)의 『가례(家禮)』에서 를 『예기』와 결부시켜 상제(喪制) 3편과 상제에 따른 상복을 도식화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은 주자의 『가례』가 중심이 되고 『예기』와 『의례』가 참고되었기 때문에 뛰어나

  • 비요 / 備要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신의경이 찬술한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2권 1책. 목판본. 이 책은『가례』의 관계의 본문을 중심으로, 『예경』과 여러 학자들의 이에 관한 해석을 참고, 유취하여 초상에서 장제에 이르는 모든 예절을 요령 있게 찬술하였다. 그리고 사당·신주

  • 언해 / 諺解 [언어/언어/문자]

    종실(宗室)인 덕신정(德信正) 이난수(李鸞壽)가 김장생(金長生)이 편찬한 『가례(家禮)』 중에서 ()의 초종지례(初終之禮)를 집록(輯錄)하고 언해한 책. 2권 1책. 필사본. 서문에는 ‘천계삼년계해시월일 사계노부 서(天啓三年癸亥十月日沙溪老夫書)’란 기록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