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삿무늬토기”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내용]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이칭별칭승석문토기(繩蓆文土器)
  • 산청강루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 않다. 현재의 지표에서 45㎝ 정도 깊이까지 이르는 표토층에서는 청동기시대의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조각과 붉은간토기〔紅陶〕조각, 그리고 초기철기시대의 와질〔瓦質繩蓆文土器〕조각 등이 채집되었다. 표토층의 이러한 교란상태는 유적이 오랜 기간 밭으로 경작...
  • 새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인 포장재료였다. 새끼의 흔적과 형태가 나타난 것은 로, 우리 나라에서는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부터의 회색경질토기에서 주로 보인다. 토기를 두드리는 두들개(방망이)에 새겨진 무늬나 혹은 두들개에 감은 삿자리(새끼) 등에 의해 부차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주제어사전(1)

  •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토기 표면에 두들개를 이용해 돗자리무늬가 시문되어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토기. 이 토기에 보이는 새로운 기법으로는 정선된 바탕흙[胎土]의 사용과 더불어 기존의 노천요(露天窯)와는 다른 폐쇄요(閉塞窯), 즉 지붕을 가진 실요(室窯) 또는 터널식 요의 사용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