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존불비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납석삼존불비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忠南燕岐石像調査)」(황수영, 『한국불상의 연구』, 삼화출판사, 1973) 「공주석조불상(公州石造佛像)의 조사(調査)」(황수영, 『동국사학』6, 동국대학교사학회, 1960) 삼존불비상 통일신라시대...연계항목납석삼존불비상(蠟石三尊佛碑像)
- 비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존불비상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32.5㎝, 너비 20.5㎝. 보물 제742호.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이 불비상은 연기 지방의 불비상과 같은 양식 계열에 속하지만, 본존불의 양감 있는 표현과 보살상...
- 동국대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 2점과 납석삼존불비상(蠟石三尊佛碑像: 보물 제742호)ㆍ민애대왕사리호(敏哀大王舍利壺: 보물 제741호) 등 보물 9점을 비롯한 총 3,1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경주캠퍼스는 5개 대학원(일반대학원 1, 전문대학원 1, 특수대학원 3), 9개 단과대...이칭별칭동국대|동대
- 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사유상 삼존불비상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높이 32.5㎝, 너비 20.5㎝. 보물 제742호.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이 불비상은 연기 지방의 불비상과 같은 양식...
주제어사전(1)
-
삼존불비상 / 三尊佛碑像 [예술·체육/조각]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보물 제742호.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에 유존되어 오던 석상이다. 충청남도 연기군 일대에서 출토된 불비상(佛碑像)과 같은 계열의 양식에 속한다. 깊은 돋을새김[高浮彫]으로 표현된 본존불좌상은 얼굴이 마멸되었으나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상체는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