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존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대각사
- 불교
- 해인사 영산회상도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삼존불비상
연구성과물(414)
사전(392)
- 삼존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본존불(本尊佛)과 좌우에서 시립하는 보처불보살(補處佛菩薩)을 합하여 부르는 명칭. [내용] 보통, 우리 나라의 사찰 전각 안에는 대부분 주불(主佛)이 좌우보처를 거느린 삼존불의 형태로 봉안되어 있다. 석가모니를 본존불로 모신 대...
- 삼존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본존불(本尊佛)과 좌우에서 시립하는 보처불보살(補處佛菩薩)을 합하여 부르는 명칭.정의본존불(本尊佛)과 좌우에서 시립하는 보처불보살(補處佛菩薩)을 합하여 부르는 명칭.[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mjonbul | MR표기samjonb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마애삼존불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암벽이나 구릉 등의 자연 암벽에 부조(浮彫)나 선각(線刻)의 기법으로 삼존불을 조각한 불상.정의암벽이나 구릉 등의 자연 암벽에 부조(浮彫)나 선각(線刻)의 기법으로 삼존불을 조각한 불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maae samjonbul | MR표기maae samjonb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무위사목조아미타삼존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 극락전에 봉안된어 있는 조선 전기의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개설] 이 삼존불상은 본존상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왼편에 관음보살과 오른편에 지장보살으로 구성된 아미타...
- 금동삼존불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불감. [내용] 높이 18㎝. 국보 제73호. 간송미술관 소장. 불각(佛閣)의 형식을 취한 감(龕) 내부에 금동의 삼존불을 봉안한 것으로,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의 목조건축 양식과 조각 수법을 보여 주는 귀중한 예이다.연계항목금동삼존불감(金銅三尊佛龕)
고서·고문서(9)
- 신묘명금동삼존불입상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200신묘명금동삼존불입상KakaoTalk_20200910_174030407.gif KakaoTalk_20200910_174322831.jpg [1면] 景四年在辛夘比丘道■須共諸善知識那婁■■賤奴阿王阿崌五人■■共造无量壽像一軀■■願亡師父母生生心中常值諸佛善知識䒭值■■遇弥勒㪽...연대571년 | 서체해서 | 소재지삼성미술관 Leeum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계미명 금동삼존불입상 명문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088계미명 금동삼존불입상 명문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jpg 명문.bmp [1면] 癸未年十一月一日寶華為亡■■父趙■人造■■대한민국563년 / 623년금속국보 제72호전체 높이 17.5cm, 광배 높이 12.5cm해서간송미술관계미명금동불입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일광삼존상...연대563년 / 623년 | 서체해서 | 소재지간송미술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서산 출토 갑오명금동일광삼존불상 명문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087서산 출토 갑오명금동일광삼존불상 명문noname01.jpg 전면.jpg 전체.jpg [1면] 歳在甲午九月十六日淨法寺和丘侍■為大慈世尊壽釋■迦文伲佛一切侍■尊衆生成願寶■■대한민국574금속전체 높이 17㎝ 광배 중앙 폭 7㎝, 높이 13㎝ (문자기록)해서미상갑오명금동...연대574 | 서체해서 | 소재지미상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65_박통사신석언해(3)_내 밥 반찬을다가 아직 날호여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三尊佛을 드라 正히 금 올려 빗내려 더니 혜아리지 아닌 그적 三更은 여 도적이 드러와편명1765_박통사신석언해(3)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77_박통사언해(下)_져기 茶芽 달혀 오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박통사언해 376 1677_박통사언해(下) 져기 茶芽 달혀 오라 1677박통사언해下2b.jpg 져기 茶芽 달혀 오라 내 먹쟈 長老ㅣ아 佛象을 디웟다 三尊佛을 디워 내 마 금을 올리려 더니 그젓긔 三更은 여 도적이 드러와 내 二三年 布施여 온 金銀鈔錠을다가...편명1677_박통사언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2)
-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336999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03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카니시카탑 사리기 금동삼존불상과 간다라불상의 기원문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문명대, 게재일 : 200404183 문명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4 카니시카탑 사리기 금동삼존불상과 간다라불상의 기원문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4
멀티미디어(1)
- 도판32.삼존불 대좌 근경(북에서) 2013-12-17_0.8423578_도판32.삼존불 대좌 근경(북에서).jpg l6-0168_#5 유구 도판51.대형석재 전경(남에서) 2013-12-17_0.4781458_도판51.대형석재 전경(남에서)제목당진 안국사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0)
- (신국토 기행22) 영원한 백제의 미소, 서산마애삼존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신국토 기행22) 영원한 백제의 미소, 서산마애삼존불 (신국토 기행22) 영원한 백제의 미소, 서산마애삼존불 (신국토 기행22) 永遠한 百濟의 微笑, 瑞山磨崖三尊佛 교육 문헌 교...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 당진 안국사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토기, 자기, 철기, 석기류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유물의 출토양은 기와류가 가장 많았고 교란층에서 자기, 토기, 철기, 석기 유물은 소량이 수습되었다. 이번 안국사지 발굴조사는 삼존불을 중심으로 한 주변일대의 일부분만을 조사하였다. 발굴조사를 통해 안국사...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충청남도역사문화원/당진시 | 발굴지역충청남도
- 증평 남하리사지 지표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인한,최혜경,오원진,김인한,박성상,박상일,장준식,박경식,허인욱 충청대학교박물관 충북 증평 남하리 충청북도 증평군 ㎡ 이번의 조사는 충청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141호인 남하리 3층석탑과 주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삼보사의 옛절터 및 마애삼존불산...발행연도1994 | 발굴기관충청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가지산 보림사 정밀지표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조 비로자나불좌상 (2)대웅전 삼존불좌상 (3)천왕문 목조 사천왕상과 복장전적 (4)천왕문 목조인왕상 (5)장흥읍 원도리 석불입상 (6)장흥읍 충열리 석불입상 3.삼층석탑과 석등 (1)대적광전 앞 남‧북 삼층석탑 (2)석탑지와 사리구 (3)석등 4.보조선사영탑비 5.부...발행연도1995 | 발굴기관순천대학교박물관/가지산 보림사 | 발굴지역전라남도
- 서산 보원사지2006 백제문화를 찾아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정자영,탁경백,전용호,김성남,전창기,이태규,안보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356-833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1 충청남도 서산시 101,836㎡ 서산보원사지(사적 제316호)는 주변에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서산마애삼존불상”이, 사지...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14)
-
삼존불 / 三尊佛 [종교·철학/불교]
본존불과 좌우 양편에 모시고 있는 불보살을 함께 일컫는 말. 우리나라의 사찰 전각 안에는 대부분 주불이 좌우부처를 거느린 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모든 본존불과 협시보살과의 관계는 본존불의 권능을 협시보살이 대변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삼존불로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
삼존불비상 / 三尊佛碑像 [예술·체육/조각]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보물 제742호.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에 유존되어 오던 석상이다. 충청남도 연기군 일대에서 출토된 불비상(佛碑像)과 같은 계열의 양식에 속한다. 깊은 돋을새김[高浮彫]으로 표현된 본존불좌상은 얼굴이 마멸되었으나 머리는 소발(素髮)이며, 상체는 당
-
부안 내소사 동종 / 扶安來蘇寺銅鍾 [예술·체육/공예]
을 갖추었다. 천판에는 입상화문대가 있고 상대와 하대는 당초문으로 장식하였다. 상대 아래에는 연곽이 있고 그 하단에는 당좌를 배치하였다. 당좌는 뾰족한 꽃잎을 이중으로 둘러싼 형태로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몸체의 중심에는 삼존불좌상이 네 군데 부조되었다. 활짝 핀 연꽃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康津無爲寺極樂殿阿彌陀如來三尊壁畵 [예술·체육/회화]
위로는 좌우에 각각 3명씩 총 6구의 나한이 구름 속에 상반신만을 드러낸 채 서 있다. 화면 상단부 좌우에는 작은 규모의 화불이 2구씩 배치되었다. 세로 270㎝, 가로 210㎝의 벽면에 아미타삼존불을 비롯하여 6구의 나한 및 2구의 화불이 배치된 아미타삼존도벽화로서,
-
강화 전등사 대웅전 / 江華傳燈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3칸 규모의 다포계 팔작집이다. 내부에는 석가여래삼존불(釋迦如來三尊佛)을 모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