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일신고” 에 대한 검색결과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종교(大倧敎)의 성전(聖典). ≪천부경 天符經≫‧≪팔리훈 八理訓≫‧≪신사기 神事記≫와 더불어 대종교의 계시경전(啓示經典)에 속하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근원이 되고 중심이 되는 보경(寶經)이다. 특히 ≪≫의 ‘三一’은 삼신일체(三神一體)‧삼진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종교에서, 단군이 한울‧한얼‧한울집‧누리‧참이치의 다섯 가지를 삼천단부에게 가르친 말씀을 적은 책
    정의대종교에서, 단군이 한울‧한얼‧한울집‧누리‧참이치의 다섯 가지를 삼천단부에게 가르친 말씀을 적은 책 | 문광부표기Samil sin-go | MR표기Samil sin’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회삼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서일(徐一)이 지은 대종교(大倧敎) 경전의 하나. [내용] 1923년에 출판되었다. 『()』의 진리훈(眞理訓)을 불교의 묘법, 유가의 역학(易學), 도가의 현리(玄理)에 바탕을 두고 풀이한 것으로, 대종교 교리에 유‧불‧도...
  • 조화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였다. 하나인 한얼님으로부터 한울과 땅과 사람이 나왔다는 뜻을 숫자로 풀이한 우주의 조화설(造化說)이다. ≪천부경≫과 체용(體用)관계에 있는 ≪ ≫에서는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전개시키고 있다. “한얼님께서는 위에 없으신 첫자리에 계...
  • 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곳이고, 자선원은 자선사업을 담당하는 곳이다. 도원의 궁극적인 목표는 『()』에 담긴 ‘한얼말씀’을 널리 펴서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하늘나라인 천궁(天宮)에 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인간세계를 ‘한울나라’로 변하게 하는 데 있다. 즉, 성통공완(...

고서·고문서(1)

  • 〈동양사상사전〉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제반학설에서는 중국 고대의 제자백가는 물론 한국철학, 인도철학, 일본철학, 불교철학까지 광범위하게 설명하였다. 본문에 수록된 표제어는 모두 철학 개념과 용어로 인명과 서명은 표제어 선정에서 제외되었다. (‘천부경’과 ‘’는 예외적으로 포함되었다.) 저자는 철학...
    대표표제어〈동양사상사전〉 해제 | 편저자유정기 | 권수1책

신문·잡지(1)

  • 민세안재홍전집 : 『』 註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151 1944 3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 註 문서류 미상 논문 역사 직접자료 4권 D19440300미상01
    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신리대전>,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

  • 단군신앙 / 檀君信仰 [종교·철학]

    우리나라 고유 신앙 가운데 하나. 환인, 환웅, 단군 등을 숭배하는 신앙이다. 천신과 산천신을 숭배하는 민족신앙의 대표적인 예이다. 단군신앙이 의존하는 경전으로는 <천부경> <><참전경> 등이 있다. 근세에 와서 단군신앙은 여러 가지 이름의 교단이 창립되어 분

  • 서일 / 徐一 [종교·철학/대종교]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종교가(1881-1921). 호는 백포(白圃). 1911년 중광단을 조직하였고, 1919년 서로군정서를 개편하여 총재에 취임하였다. 1920년에는 청산리전투를 이끌었다. 대종교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저서로는 <강의>, <회삼경> 등

  • 신리대전 / 神理大全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나철이 <>의 신훈편을 설명한 책이다. 신위, 신도, 신인, 신교의 4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종교의 신관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 서일이 한문으로 주를 달았으며, 1923년 김교헌이 간행하였다. 그 뒤 윤세복이 한글로 번역

  • 단군교부흥경략 / 檀君敎復興經略 [종교·철학/유학]

    薰謨)의 서언(緖言)이 있고, 권말에 김재웅의 발문이 있다. 권수의 목차에 수록된 편차는 단군강세(檀君降世)·비서갑씨급사황자(匪西岬氏及四皇子)·단군세기(檀君世紀)·천부경(天符經)·()·향사예식절차(享祀禮式節次)·찬송문(贊頌文)·단성전건축(檀聖殿建築)·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