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운통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2)
- 삼운통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243에서는 『삼운통고』가 이 땅에서 출판된 최초의 운서라고 하였으나, 여러 기사로 미루어보아 조선 초기에 널리 쓰인 중국의 『예부운략』‧『홍무정운(洪武正韻)』 등의 뒤를 이어 조선 중기경에 편찬된 듯하다. 내용은 평‧상‧거‧입성 등 사성(四聲)순으로 한자...
- 김제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사형당하였다. 조성복(趙聖復)ㆍ김민택(金民澤)과 함께 신임사화 때 죽은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1725년(영조 1) 관작이 복구되고,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죽취고』, 편서로는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가 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칭별칭 필형(必亨)| 죽취(竹醉)| 충민(忠愍)
- 삼운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박두세(朴斗世)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내용] 5권 2책. 목판본. 발문에 의하면, 편자가 1702년(숙종 28) 진주에서 해직하고 돌아온 뒤로 편찬에 착수, 3년만에 겨우 완성하여 울산에
- 日本忠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G2_S_0003 日本忠義 외국정보 征夷大將軍 日本, 海島, 我國, 國中, 馬島, 遼瀋, 高麗, 近京, 東武, 西京, 西京, 東武, 東北, 蝦夷國, 黑龍江, 大鼻獺子, 中國 陳北溪, 山闇齋, 淺見齋, 許魯齋, 岳武穆 性理字義, 三韻通考, 李...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7권 1장 2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韻會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5_J_0012 韻會 서적-문집 一萬二千六百五十二字, 九千五百九十字, 十六萬餘字, 一覽輒盡, 考閱 契丹, 倭國 遼僧 禮部韻, 龍龕手鑑, 三韻通考, 畧韻 J_07_01_01 지봉유설 7권 1장 1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7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
-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운서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變於新語中所錄。 而譯科及取才, 專用新語, 故所習, 非所用, 雖習於誦讀, 而不能通語。 必與彼人, 同處學語然後, 可以通話, 新話亦不可不改正, 俾勿錯誤於彼人之行用言語矣。 倭譯崔鶴齡, 爲東萊館守差備時, 問於館倭等, 懸注於三韻通考, 彼人之字音及方言, 一開卷瞭然。 若依此釐正新語,...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人事門11_日本忠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日本忠義 日本雖居海島, 開國亦久, 典籍皆具. 陳北溪《性理字義》、《三韻通考》, 我人從倭得之. 至於我國之《李相國集》, 國中已失, 而復從倭來, 刊行于世. 凡倭板文字, 皆字畫齊整, 非我之比, 其俗可見. 馬島人, 詐諼特甚. 然深處民俗, 有忠信諒直, 雖國中陰事, 不諱. 意者,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六]論史門三_日本忠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日本忠義 日本雖居海島, 開國亦久, 典籍皆具. 北溪 溪: 규장각본에는 ‘海’로 되어 있다.《性理字義》、《三韻通考》, 我人從倭得之.【鼎福 鼎福: 성균관대본(나)에는 없다.按, 《考 考: 연세대본(가)에는 ‘故’로 되어 있다.事撮 撮: 국중본에는 ‘欉’로 되어 있다. 규...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훈지양선생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다. 書三韻通考後 『三韻通考』를 읽은 소감을 쓴 글. 이 책은 平聲 30韻, 上聲 29운, 去聲 30운, 入城 17운, 총 8829자로 구성되어 있다. ‘삼운’이라 한 이유는 입성이 상성과 거성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題傳燈錄後 1711. 『傳燈錄』을 읽은...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8)
-
삼운통고 / 三韻通考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에 편찬된 운서. 1책. 편자, 연대 미상. 내용은 평·상·거·입성 등 사성 순으로 한자를 배열한 106운계『예부운략』을 우리나라 사람이 이용하기 쉽도록 같은 운을 가진 평·상·거성 한자들을 한데 모아 3계단으로 나열, 입성자만 책 끝에 따로 모아 나열하는 방식
-
삼운성휘보 / 三韻聲彙補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불분권 1책(68장).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사성통해(四聲通解)》등을 참고하여 이용하기 쉽도록 편찬한 운서이다.
-
삼운성휘 / 三韻聲彙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1769년(영조 45) 2책(영본), 全2권, 補1권 3책. 홍계희가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사성통해(四聲通解)》,《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서미(書眉)에 두주(頭註)
-
삼운보유 / 三韻補遺 [언어/언어/문자]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박두세(朴斗世)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5권 2책. 목판본. 현존하는 『삼운통고』에는 크게 보아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과, 그보다 표제자의 수효가 늘어난 무신자본(戊申字本)의 두 이본이 있는데, 이 책은 후자를 저본으로 하
-
김제겸 / 金濟謙 [종교·철학/유학]
사간, 예조참의,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죽취고』, 편서로는『증보삼운통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