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운성휘” 에 대한 검색결과 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규범음으로 표시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중국 본토자음은 대개 사성통해음을 따랐다. 보편(補篇)인 『옥편』은 자획순으로만 되어 있고, 한글로 표음되지는 않았다. 『』의 범례에는 언자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가 실려 있어서, 18세기에 쓰이고 있던 한글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문국어 문헌 한국 조선 영조 성낙수 박종국 2014 홍계희(洪啓禧) 1751년(영조 27) 3책 () 장서각, 세종대왕기념...
  • 규장전운의례관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따른 상이점에 대한 견해와 그 중 입성에 있어서는 유운미(有韻尾)인 양성(陽聲)과 입성과의 관계를 ㄱ‧ㄴ‧ㄹ‧ㅁ‧ㅂ‧ㆁ의 종성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통적인 36자모(字母)의 기원과 『()』에 부재된 『홍무정운(洪武正韻)』의 31자모도...
  • 운학본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에 의거하여 두 장 반에 걸쳐 횡도 안 한자의 한음(漢音) 운모음(韻母音)을 한글로 표기하였다. 이어서 「운법직도(韻法直圖)」를 26장에 걸쳐 전재하고, 역시 『』에 의거하여 한 장 반에 걸쳐 직도 하지 않은 한자의 한음 운모음을...
  • 광견잡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례(合字例)’라 하여 음절자(音節字) 구성의 원리를 말하고 있다. 셋째 훈민정음의 자모도(字母圖)를 도시하였고, 넷째 『()』(洪啓禧, 1751)의 초성통용팔자‧초성독용육자‧중성 11자, 합중성이자도(合中聲二字圖)를 들었으며, 다섯째 ‘자모총도(字...

고서·고문서(6)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운서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矣。 金光震之處義是矣。 上曰, 王孫敎傅相見禮, 在明日, 將納名王孫, 將錫名則元孫之名, 當先定矣。 字用何邊爲好耶? 上曰, 注書出去, 字彙持入。 臣師海趨出, 字彙持入。 上曰, 仙源畫像, 使其子孫持入事, 注書出傳, 臣師海出傳還入。 上曰, , 注書持入, 臣師海持入。 又...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세기 국어사전(상,하)〉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 ① 우리글로 표기되어 있는 문헌(『雅言覺非』 등 제외) ② 운서는 제외(『』 등 제외) ③ 복각본 제외(초간본을 대상으로 함) ④ 개간본은 포함(『改修捷解新語』 등 포함) ⑤ 간기가 분명하지 않은 문헌 제외(『諺解臘藥症治方』 제외) ⑥ 필사기가 분명하지 않은...
    대표표제어〈17세기 국어사전(상,하)〉 해제 | 편저자 홍윤표, 송기중, 정광, 송철의 | 권수 2책(1책 'ㄱ-ㅅ', 2책 'ㅇ-ㅎ/부록')

기초학문(1)

  • 文化史的觀點에서의 韓日韻書의 比較對照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승영, 게재일 : 2009
    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7343&local_id=10022038 文化史的 觀点에서의 韓日韻書의 比較對照硏究-『』와 『聚分韻略』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8)

  • /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1769년(영조 45) 2책(영본), 全2권, 補1권 3책. 홍계희가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사성통해(四聲通解)》,《삼운통고(三韻通考)》등을 참고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서미(書眉)에 두주(頭註)가

  • 보 /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홍계희(洪啓禧) 저, 목판본. 불분권 1책(68장). 중국의《홍무정운(洪武正韻)》,《삼운통고(三韻通考)》,《사성통해(四聲通解)》등을 참고하여 이용하기 쉽도록 편찬한 운서이다.

  • 운학본원 / 韻學本源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기의 학자 황윤석(黃胤錫)이 지은 한자음 관계 운서(韻書). 『이수신편(理藪新編)』 권20에 수록되어 있다. 『이수신편』 권20에는 ‘운학본원’이라는 큰 제목 아래 「운법횡도(韻法橫圖)」(李世澤)를 14장에 걸쳐 전재하고, 『()』에 의거하여 두

  • 훈음종편 / 訓音宗編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의 학자 이사질(李思質)이 지은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서. 이사질의 문집인 ≪흡재고 翕齋稿≫에 들어 있다. 이 책은 홍계희(洪啓禧)의 ≪ ≫가 나온 직후에 이루어졌으며, 서론·본론·부론의 3편으로 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훈민정음의 기원을 도시하여

  • 규장전운의례관견록 / 奎章全韻義例管見錄 [언어/언어/문자]

    성에 있어서는 유운미(有韻尾)인 양성(陽聲)과 입성과의 관계를 ㄱ·ㄴ·ㄹ·ㅁ·ㅂ·ㆁ의 종성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통적인 36자모(字母)의 기원과 『()』에 부재된 『홍무정운(洪武正韻)』의 31자모도(字母圖)를 보이고, 『』의 주(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