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운보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삼운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박두세(朴斗世)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내용] 5권 2책. 목판본. 발문에 의하면, 편자가 1702년(숙종 28) 진주에서 해직하고 돌아온 뒤로 편찬에 착수, 3년만에 겨우 완성하여 울산에 부...
- 박두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풍자하였다. [저술활동] 저술로는『삼운보유(三韻補遺)』와 그것을 증보한『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가 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이칭별칭 사앙(士仰)
- 박두세(朴斗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요로원 야화기(要路院夜話記)』, 『삼운보유(三韻補遺)』, 『증보삼운통고(增補三韻通考)』 [총론] [1650년(효종 1)~1733년(영조 9) = 84세]. 조선 후기 숙종 때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 행직(行職)은 중추부(中樞府)...
- 삼운통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삼운통고』에 자수를 더 증보하고 상세한 자해를 한 것이 1702년(숙종 28) 박두세(朴斗世)가 간행한 『삼운보유(三韻補遺)』이며, 이를 숙종 때 김제겸(金濟謙)과 성효기(成孝基)가 다시 증보하여 『증보삼운통고』를 지었는데, 자해는 다시 2, 3자로 간략해졌다. ...
주제어사전(2)
-
삼운보유 / 三韻補遺 [언어/언어/문자]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박두세(朴斗世)가 『삼운통고(三韻通考)』를 수정, 증보한 책. 5권 2책. 목판본. 현존하는 『삼운통고』에는 크게 보아 임진왜란 이전의 간본과, 그보다 표제자의 수효가 늘어난 무신자본(戊申字本)의 두 이본이 있는데, 이 책은 후자를 저본으로 하였
-
박두세 / 朴斗世 [종교·철학/유학]
주목사를 거쳐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저술로는『삼운보유』와 그것을 증보한『증보삼운통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