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8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12)
사전(2,391)
- 우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에 고려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 이하의 관원을 편제하면서 비롯되었다.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 등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우승(左右丞), 하위의 좌...
- 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 삼사(三司) 소속의 정5품 관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좌‧우에 각1인씩 두었다. 1392년(태조 1) 7월 조선 건국 후 관제 제정 때 고려의 삼사를 그대로 두면서 판관(判官, 정5품) 2원을 장사로 개편한 것이다.
- 좌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와 조선 초 전곡(錢穀)의 출납‧회계사무를 총괄하던 삼사(三司)의 정2품 관직. [내용] 문종 때 사(使)를 2인 두었는데 충렬왕 때에 좌우사로 나뉘었다. 1356년(공민왕 5) 삼사가 혁파되면서 함께 혁파되었다가 1362년 삼사가
- 좌자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 삼사에 소속된 정4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1392년(태조 1) 고려 말의 삼사를 계승하여 영사(領事) 이하의 관원을 두면서 비롯되었으며, 영사‧판사‧좌복야‧우복야의 지휘를 받으면서 상위의 좌승‧우승, 하위의 좌우...
- 중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삼사(三司)의 서리직(胥吏職). [내용] 2인이 배속되었다. 구복원(勾覆院)에도 소속되었는데 이는 권무직(權務職)의 성격을 띠었으며, 경제적 처우는 녹(祿) 8석에 해당되었다. 『고려사(高麗史...
단행본(2)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 국역 〈요사〉 하 [<요사> 번역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김위현(단국대학교), 이성규(단국대학교), 이상훈(단국대학교), 김한기(단국대학교), 변... | 출판사 : 단국대학교 출판부 | 출판일 : 2012.12.31권116 국어해(國語解) 부록 1. 수삼사조(修三史詔) 부록 2. 구제연호(九帝年號) 부록 3. 거란황실세계도(契丹皇室世系圖) 부록 4. 서요황실세계도(西遼皇室世系圖)
논문(1)
- 唐의 祀典 체계와 신라의 祀典 정비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저자 : 박남수 | 게재정보 : 신라사학보
고서·고문서(4,512)
- 삼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삼사 리 여자 경상북도 영덕군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진교향(镇郊乡) 영안촌 장발대 3 3 삼사, 후...대표표제어삼사 | 성씨리
- 行三獻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40_0110 行三獻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三獻哭泣之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l_0007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虞祭 三獻哭泣之節 三獻哭泣之節 이익(李瀷, 1681~1763) 答 DRAC_4:1:6:1 虞祭, 自降神止哭之後, “初獻”只云“主人哭”, 則餘在位者, 似當不哭. 終獻, 親賓爲之, 而禮亦如初. 親...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9_三司數遷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三司數遷 常人之情, 趨避利害而已. 利亦恥之, 害猶樂焉者, 中人以上之性, 不可以多得. 故有利而無害者, 慈父或不能禁其子; 有害而無利者, 仁君或不能勸其臣. 君人者, 知天下之通情. 故不責其難, 而導其勢, 使人樂就而不知也. 後世, 不正本源, 而憂其末流, 弊精勞神, 法終不可立矣...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三사단 전사들이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三사단 전사들이여! 대한민국(남북한) DMZ박물관 문헌자료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공산, 인민군,...대표표제어三사단 전사들이여! | 저작권자DMZ박물관 | 자료구분문헌자료 | 키워드공산, 인민군, 자유, 유엔군, 평화
구술자료(29)
- 삼사월 긴긴해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 제보자한덕고
- 제주의 전쟁을 말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들어와 사는데, 주인이 월세를 내라고 했더니 총을 쏴 죽였다. 큰아들이 황달에 걸려 죽을 위기에 처했는데, 여수에서 온 군의관이 처방을 해주어 살 아났다. [1] 이복녀; 4.3사건 때 겪은 가족들의 죽음 우리 스물셋 나는 해에 사삼사건 나는 해에 불이 타부렀어. 우리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02월 06일
- 박춘재 재담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무당노랫가락(박춘재): 독창. 가사(서울서 또 노랫가락을 이렇게 하니/~/그런데 장삼사는 이렇게 하였다/~) pdf F-310.jpg jpg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춘재
- 집단학살 현장에서 오빠 시신을 찾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지서 있은 때여. 그때가. 것이 왜정시대여. 그서 인자 왜정시대 이제 손을 들 르지 않았어. 왜정시대 손들르기 전이 저거 오름있지요. 섬오름이라구 해요 저거. 저거 우리 것이 허구 함덕이 저가요. 그니까 함덕에서 똑똑헌 이가 둘이 허너는 사삼사건을 허녔어. 거 몰라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01월 21일
- 김조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구, 서울 돈암동, 보쌈김치, 우메기, 음성 공장, 전야, 조랭이떡국, 지가증권, 캄비숀 연고, 탕평채, 한독약품 상봉동 공장, 홍해삼, 훼스탈(Festal), 『개성지』, 『송도』, 『한국인삼사』, 농지개혁, 인천상륙작전 1984년 상봉동 공장 인사 사고, 6.25구술자김조형 | 직업사업가 | 지역경기도
기초학문(1)
- 20世纪三四十年代中共在陕甘宁边区与哥老会关系论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수, 게재일 : 200542987 박상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5 20世纪三四十年代中共在陕甘宁边区与哥老会关系论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793)
- 森社上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일량국 졍부에셔 합자야압록강연변에삼림회샤를졍부에쳥의말은 이왕 긔엿거니와 통감부에셔 셩화독쵹고로 작일 졍부회의에셔 다른의안은 결뎡치못고 삼림회샤건만 결뎡야 당일어젼회의를 셜고 상 쥬엿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森社組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학부대신 리완용씨가 졍부삼림회샤를 쥬관야 됴직난데 이등통감을 루방문야 젼후 방침을 상의엿다더라게재일1906년 8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鴨江森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에셔 쳥국과 회동야 본금 이만원으로 의쥬 압록강 삼림벌회사를 챵립기로 결뎡 얏 량국간에 교셥이 임의 완결된고로 오지아니야 칙령으로 그회사규측을 반포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三使歸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공 쥬이뎐씨와 이리공 모락고씨 슈유고 슈히 환국다 영공의 귀국은 잠시단여오거시 아니오 영국졍부 방침을 인야 다시나오지안을 모양이라고 일공 림권조씨난 잠시단여오기로 일간나간다더라게재일1905년 10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森事交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평안북도 삼림회샤 건에야 거월이십삼일에 외부대신이 아공에게 공함기를 삼림됴약 뎨이됴 뎨삼됴를 의지야 룡암포 경영을 쳘거고 일변으로 위원을 셔로차뎡야 그건을 협의타뎡자고지라 이십칠일에 아공가 회답기를 아인 스불구씨로 야금 그일을 협의 타뎡케쟈...게재일1903년 6월 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3)
- 최택침;崔澤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314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3면 최택침;崔澤沈 함남 영흥군 洪仁面 三思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진린;魯鎭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250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29면 노진린;魯鎭麟 함남 영흥군 洪仁面 三思里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허정의;許程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989 중국 용정 大成中學校 제4회졸업동창생 졸업앨범 1930―03 0 허정의;許程義 함경북도 무산군 삼사면 창평동 4회 1930년학교소재지역용정 | 학교명大成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최택침;崔澤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6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100면 최택침;崔澤沈 함남 영흥군 洪仁面 三思里 32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영남;金營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6581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2면 김영남;金營南 함북 무산군 三社面 延岩洞 359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임선빈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4)
-
삼사 / 三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언론을 담당한 사헌부·사간원·홍문관을 합하여 부른 말. 사헌부는 백관에 대한 감찰·탄핵 및 정치에 대한 언론을, 사간원은 국왕에 대한 간쟁과 정치 일반에 대한 언론을 담당. 홍문관은 궁중의 서적과 문한을 관장, 경연관으로서 왕의 학문적·정치적 고문에 응하는
-
삼사석 / 三射石 [지리/자연지리]
(梁宗昌)이 석각(石閣)을 만들어 보호하였다. 석각의 높이 149㎝, 앞너비 101㎝, 옆너비 67㎝ 이며, 거기에 목사 김정이 삼사석비를 세웠는데 높이 113㎝, 너비 43㎝ 이다. 비 옆면에는 ‘毛興穴古矢射石留神人異蹟交暎千秋(모흥혈고시사석류신인이적교영천추)’라 새겨
-
삼사명행록 / 三士明行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상하 2권 2책. 총 109장. 국문필사본. 주인공이 천상에서 적강(謫降)한 인물로 그려진 이원론적 소설이지만, 다른 이원론적 소설처럼 천상과 지상의 뚜렷한 구분이 없다. 태학산이라는 곳은 지상에 존재하는 천상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주인
-
삼사황입황천기 / 三士橫入黃泉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본. 이 「삼사횡입황천기」는 「왕랑반혼전」이나 「당태종전」 같은 불교환생설화(還生說話)를 한국적인 행복관과 결부해서 본 전기소설(傳奇小說)로, 당시 한국인이 생각하고 있는 행복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있어 좋은 본보기가 된
-
선덕왕지기삼사설화 / [문학/구비문학]
신라 선덕여왕의 지혜로움에 얽힌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1 기이편(紀異篇)에 수록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설화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첫째는 향기 없는 모란꽃 이야기로, 당나라 태종이 붉은색·자주색·흰색의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란의 그림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