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별초” 에 대한 검색결과 3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1)

사전(1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많아지므로 이를 나누어 좌별초와 우별초라 하였다. 또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 온 자들로써 편성된 신의군과 함께 ()라 하였다. 의 정확한 설치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 보면, 야별초에 대한 기록은 1232년(고종 19) 처음으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로, 최씨 정권의 사병인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지칭
    정의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로, 최씨 정권의 사병인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지칭 | 문광부표기Sambyeolcho | MR표기Sambyŏlch’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H3_D_0060 군제 施私惠, 權臣, 相繼, 國柄, 爪牙, 爭先效力 崔忠獻, 崔瑀 麗史 D_14_02_50 대동운부군옥 14권 2장 5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2장 5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3_D_0068 군제 勇士, 每夜巡行, 夜別, 分爲左右, 國人, 神義軍, 權臣, 執柄, 爪牙, 私惠, 脅掠士庶, 乘舟南下, 叛據, 官府, 討平 國中, 蒙古, 珍島 崔瑀, 林惟茂, 金方慶 麗史 D_16_03_20 대동운부군옥 ...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3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3_D_0074 군제 船畫怪獸 珍島 金方慶 行狀 D_17_04_21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2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2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19)

  • 5820 중국 정서 원고려기사 (元 世祖) 122 원종(元宗) 11 1270 6 1 六月一日 承化公 以軍叛也 몽원특수관계, 사신왕래, 앞의 기사가 원 세조 지원 7년으로 편년되어 같은 해로 편년하였다. 원 세조 지...
    국가중국 | 서명원고려기사 | 왕대원종(元宗)  11
  • 18175 B018175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高麗史節要 卷之十九 元宗 十三年 十一月 十一月 寇安南都護府 執府使孔愉及其妻 又寇合浦 焚戰艦二十艘 執蒙古烽卒四人遣中書舍人權㫜 如元賀正⁄ 寇巨濟縣 焚戰艦三艘 執縣令⁄王 聞賊船來泊靈興島 請五十騎于元帥忻都 宿...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九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187 B038187 다구 茶丘 인물 東史綱目第十一下 庚午十一年 夏五月 _ ... 南二十二里洪文系等赴行在群臣表賀又遣兪千遇等⁄迎駕壬戌宰樞會議復都舊京榜示畫日有二心不從擅發府庫王⁄遣上將軍鄭子璵入江都敦諭丙寅王至舊京御沙坂宮妃嬪亦自⁄江都至時新還故京衣冠未備王及百官皆戎...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下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659 B025659 고여림 高汝霖 군사교통 新增東國輿地勝覽 全羅道 靈光郡 名宦 高麗金須 以知郡從將軍高汝霖討先登沒陳不還 金縝爲知郡以政最入爲右補闕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7221 B077221 동래 東萊 정치행정 『高麗史』 27卷, 世家27 元宗3 元宗[辛未]十二年 三月 甲申 寇東萊郡
    출처전거『高麗史』 27卷, 世家27 元宗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군과 망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04.24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381-2 | 제보자편완범

기초학문(1)

  • 오키나와 구스쿠의 축조 배경 - 세력의 이주 관련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영진, 게재일 : 2012
    42670 임영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호남학연구원 2012 오키나와 구스쿠의 축조 배경 - 세력의 이주 관련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

  • 민세안재홍전집 : 鳴梁海碧波津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仲孫, A19340920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蒙古亂壬辰役!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39 1934 9 21 15 10 安在鴻 安在鴻 忠武遺跡(十) 蒙古亂壬辰役! 血淚에어린西南海島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조간 기행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珍島, 江華島, 裵仲孫, , 蒙古亂, 濟州,...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7)

  • (교육논단) 의 항전과 제주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의 항전과 제주도 (교육논단) 의 항전과 제주도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승준 | 사료철명교육제주
  •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수난의역사현장교육도장학화사업추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문서 문화재관리국 1982 9 16 몽고항쟁기록화 전시관건립(1) BA00044...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문화재관리국 | 사료철명삼별초 몽고항쟁기록화 전시관건립(1)
  • 규모나 개축이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없었고 보도도 일부만 남아있다. 이상과 같이 건물지의 양상은 복잡하다고 할 수 있ㄷ. 이들 건물지의 성격은 와 관련된 궁지일 가능성이 고려된다. 이들 건물지가 와 관련된다는 것은 출토되는 자기 등의 유물과 역사적인 기록에...
    발행연도1990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진도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 신안 신용리 건물지-신안군민체육관 진입도로개설공사 구간내 시굴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의 활동시기를 고려할 때 13세기 초반~14세기 초반의 계묘년은 1183년(명종 13), 1243년(고종 30), 1303년(충렬왕 29) 가운데 1243년(고종 30)으로 보아 크게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한편 14세기 초반의 것으로 밝혀진 청자 잔은 전세...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신안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 군이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았던 산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용장산성의 성벽 규모에 대해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모든 지리지에는 둘레 38,741尺으로 밝히고 있다. 이를 영조척(營造尺, 31.24cm)으로 환산할 경우 12.1km, 포백척(46....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목포대학교박물관/진도군 | 발굴지역전라남도

주제어사전(10)

  • /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경찰 및 전투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의 명칭. 최씨 정권의 사병으로 좌별초·우별초·신의군을 말한다. 그것이 경찰·전투 등 공적 임무를 수행했으므로 공적인 군대에 준하는 것이다. 최우(崔瑀) 집권기에 나라 안에 도둑이 들끓자 용사를 모아 매일 밤에 순찰, 단속하

  • 임회 / 臨淮 [지리/인문지리]

    4년 행정구역개편 때 부근 지역을 합쳐서 임회면이 되었다. 임회의 치소(治所)는 진도 남쪽해안에 발달하였다. 이곳은 고려시대 이후 난(亂)을 위시하여 왜구로 인하여 세 번씩이나 내륙으로 피난을 갔던 적이 있었다.

  • 좌별초 / 左別抄 [정치·법제/국방]

    고려 무신정권기에 설치되었던 사병. 최이(崔怡) 집권기에 도둑 소탕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야별초의 수가 점차 많아지자 후에 좌·우별초로 분리되었다. 여기에 대몽항쟁 과정에서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 온 자들로 편성된 신의군(神義軍)을 합하여 흔히 라 불렀는데,

  • 가조 / 加祚 [지리/인문지리]

    거창으로 환속하였다. 1271년(원종 12) 거제현(巨濟縣)이 란(亂)을 피하여 객지인 이곳에서 정사를 보게 되어 곧 거제(巨濟)라 칭하였다. 조선 세조 때 거제를 거제도로 돌려 보내고 가조현도 그 전과 같이 거창군의 속현으로 예속시켰다. 언제 폐현이 되었는

  • 고려첩장불심조조 / 高麗牒狀不審條條 [역사/고려시대사]

    1271년 일본의 가마쿠라막부에서 의 진도(珍島) 정부가 보낸 외교문서를 12조목으로 정리한 문서.외교문서. 진도 정부가 일본에 보낸 원문서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 주체의 의문 대상이 된 부분만을 단편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래서 전후 문맥을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