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림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8)
- 삼림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약탈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법이었다. 그 뒤 1910년 8월 농상공부에서 <삼림령>과 그 부속법령을 조사‧심의하여 1911년 1월 27일 농상공부안을 결정했다. 이것이 조선총독부안으로 결정되어 6월 20일 제령(制令) 제10호로 <삼림령>이 공포되고 9월 1일...
- 삼림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11년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의 임야를 ‘국유임야(國有林野)’로 강제 편입시켜 경제적으로 약탈할 목적으로 제정한 법령정의1911년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의 임야를 ‘국유임야(國有林野)’로 강제 편입시켜 경제적으로 약탈할 목적으로 제정한 법령 | 문광부표기Samnimnyeong | MR표기Samnimn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어부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참느릅나무‧느티나무‧이팝나무‧후박나무 등 각종 나무가 들어서 있고, 바닷바람을 막으며 어족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어서 오래 전부터 보호를 받고 있다. 어부림에 관한 법률상의 내용은 1908년에 발포한 <삼림령 森林令>에서 비로소 찾아볼 수 있다. 즉, 제5조에 농...
- 보안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뒤 일제의 <삼림령>에 따른 보안림 면적은 계속 늘어나서 1910년에 9,366ha였던 것이 1939년에 45만 3948ha가 되었다. 광복 후 황폐해진 산림의 녹화와 사방공사를 위하여 많은 사방지를 보안림으로 편입시켜 왔으며, 보안림 면적은 1964년 103만...
- 한국임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었는데, 1907년부터 1931년 사이가 이에 해당한다. 즉, 국유림 수탈은 영림창이, 또 요존림(要存林) 일부의 수탈은 산림과 출장소가 담당하였다. 1908년 <삼림법>을 <삼림령>으로 고쳐 수탈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제9‧10장에서는 1931년부...
고서·고문서(22)
- 임갑진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林甲辰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1113-0077 昭和13年刑公第11号 국가기록원 공주지방법원 강경지청 林甲辰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임갑진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38.01.21. 판사 미야케(三宅修一) 삼림령위반 임갑진(34세, 날품팔이) 충청남도 논산군 상월면 산성리 2...제목임갑진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林甲辰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양종호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梁種鎬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1621-0796 昭和13年刑公第593号 국가기록원 대구지방법원 경주지청 梁種鎬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양종호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38.11.13. 판사 키자키(木崎末藏) 삼림령위반 양종호(34세, 농업) 경상북도 영일군 달전면 초곡동 33...제목양종호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梁種鎬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임명달ㆍ이병옥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任命達ㆍ李炳玉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1021-0212 / CJA0000659-0002 昭和13年刑公第157号ㆍ昭和14年刑公第8号/昭和14年刑控第44, 45号/昭和14年刑上第51, 52号 국가기록원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청 / 경성복심법원 / 고등법원 任命達ㆍ李炳玉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임명달ㆍ이병옥...제목임명달ㆍ이병옥 삼림령 위반사건 판결문(任命達ㆍ李炳玉森林令違反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 김동식 외 삼림령위반, 수뢰, 배임, 도박 피고사건 판결문(金東植外 森林令違反、收賂、背任、賭博被告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655-0025 / CJA0000509-0052 昭和11年刑控第417号 / 昭和11年刑上第188号 국가기록원 함흥지방법원 원산지청 / 경성복심법원 / 고등법원 金東植外 森林令違反、收賂、背任、賭博被告事件判決文 김동식 외 삼림령위반, 수뢰, 배임, 도박 피고...제목김동식 외 삼림령위반, 수뢰, 배임, 도박 피고사건 판결문(金東植外 森林令違反、收賂、背任、賭博被告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위반, 수뢰, 배임, 도박 | 소장처국가기록원
- 신학균 삼림령, 사유임야시업제한규칙 위반사건 판결문(申鶴均森林令, 私有林野施業制限規則違反事件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582-0014 昭和14年刑控第342号, 昭和14年刑上第138号 국가기록원 경성복심법원, 고등법원 申鶴均森林令, 私有林野施業制限規則違反事件判決文 신학균 삼림령, 사유임야시업제한규칙 위반사건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39.08.29. / 1940.01.29...제목신학균 삼림령, 사유임야시업제한규칙 위반사건 판결문(申鶴均森林令, 私有林野施業制限規則違反事件判決文) | 사건유형삼림령 위반, 사유임야시업제한규칙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신개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터 손님이 있었다. 그 밤은 몇 번 울었는지 아무리 울어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는 것밖에 없고 우는 것만이 허용된 유일한 길이다. “오늘 밤은 어떻게 지내나. 오늘밤은 어떤 손님이 오게 될까.”」 「내가 경찰에 있던 때에 매일처럼 들어오는 사람은 대개 삼림...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신개지 | 출판물명신개지(新開地)
주제어사전(3)
-
삼림령 / 森林令 [역사/근대사]
들의 식민적 산림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정한 것이었다. 1910년 8월 농상공부에서 '삼림령'과 그 부속법령을 조사, 심의하여 1911년 1월 27일 농상공부안을 결정했다.
-
어부림 / 魚付林 [경제·산업/산업]
물고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물가에 나무를 심어 이룬 숲. 어부림에 관한 법률상의 내용은 1908년에 발포한 <삼림령 森林令>에서 비로소 찾아볼 수 있다. 현행 우리나라의 <산림법> 제56조에는 보안림의 지정근거로서 제4항에 어류의 유치와 증식이 지
-
임야조사사업 / 林野調査事業 [역사/근대사]
1908년에는 '삼림법'을 제정, 공포하여 국유·민유의 구분에 의하여 대부분의 임야를 국유림화 한 사업. 1911년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창출된 국유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리, 경영하기 위한 조처로서 '삼림령'을 발포하였다. '조선임야조사사업보고'의 실질적인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