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삼례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잡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삼례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儀禮)』를 소경(小經)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學式)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국자감시(國子監試)가 있어 일련의 체계를 이루었다. → 과거
- 잡업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명법업(明法業)‧명산업(明算業)‧명서업(明書業)‧의업(醫業)‧주금업(呪噤業)‧복업(卜業)‧지리업(地理業) 등의 잡업(雜業)에 종사하던 사람. [내용] 고려시대에는 삼례업(三禮業)‧삼전업(三傳業)‧하론업(何論業) 등 유교 과목도이칭별칭잡술인|잡학인
- 예부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明經業)이 양대업(兩大業)을 이루었는데, 제술업이 가장 중시되었다. 그 밖에 잡업(雜業)이 있었다. 잡업으로는 명법업(明法業)‧명산업(明算業)‧명서업(明書業)‧의업(醫業)‧주금업(呪噤業)‧복업(卜業)‧지리업(地理業)‧하론업(何論業)‧삼례업(三禮業)‧삼전업(三傳業)‧정...이칭별칭예위|춘당시|춘위|동당시
- 잡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 시대 전문기술관을 뽑는 과거시험의 하나. [개설] 고려시대에는 잡업(雜業)이라 하여 그 종류로 명법업(明法業)‧명산업(明算業)‧명서업(明書業)‧의업(醫業)‧주금업(呪暆業)‧복업(卜業)‧지리업(地理業)‧하론업(何論業)‧삼례업(三...이칭별칭잡업
- 과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蕭氏書 三禮業 禮記 周禮 儀禮 三傳業 左傳 公羊傳 穀粱傳 何論業
주제어사전(2)
-
삼례업 / 三禮業 [교육/교육]
고려시대 과거 가운데 잡업의 한 과. 시험방법은 첩경과 독경으로 치렀는데 ≪예기≫를 대경, ≪주례≫와 ≪의례 ≫를 소경으로 삼았다. 1136년(인종 14)에 제정된 학식에 빠진 것으로 보아 그에 앞서 폐지된 듯하다. 삼례업도 잡업의 다른 업과 같이 국자감시가 있어
-
잡과 / 雜科 [정치·법제]
고려·조선 시대 전문기술관을 뽑는 과거시험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잡업이라 하여 명법업·명산업·명서업·의업·주금업·복업·지리업·하론업·삼례업·삼전업·정요업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문무과 이외에 잡과로서 이과·역과·의과·음양과 등 4과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과 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