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군도총제부”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다. 당시 이성계(李成桂)는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로 임명됨으로써 병권 장악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는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이어서 1401년(태종 1) 사병(私兵) 혁파와 함께 승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있었던 상급 군령 기관.
    정의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있었던 상급 군령 기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mgun Dochongjebu | MR표기Samgun Toch’ongje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조전원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4)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가 정권을 장악한 뒤 1390년(공양왕 2) 각 도 원수의 인장을 회수하고 이듬해 ()를 설치하여 원수직제를 혁파함에 따라 없어지게 되었다. 『고려사(高麗史)』
  • 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의 사령관. [내용] 는 전ㆍ후ㆍ중ㆍ좌ㆍ우의 5군(軍)을 1391년(공양왕 3)에 으로 개편한 것으로서, 이성계가 군권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하여 설치한 기구이다. 3군에 총제사 각 1인이 있었으며, 성재(省...
  • 부총제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의 관직. [내용] 1391년(공양왕 3) 전군(前軍)‧후군(後軍)을 폐지하고 중군(中軍)‧좌군(左軍)‧우군(右軍)으로 구성된 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都摠制使), 삼군총...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국방]

    고려 말 조선 초에 있었던 상급 군령 기관. 조선 건국 후 최고 군령 기관인 는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 1401년(태종 1) 승추부로 개편되었다. 1403년 를 설치했다. 1405년 승추부는 병조에 흡수되어 병조의 속아문으로 규정되었

  • 부총제사 / 副摠制使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의 관직. 1391년(공양왕 3) 전군·후군을 폐지하고 중군·좌군·우군으로 구성된 를 설치할 때 두어졌다. 도총제사, 삼군총제사 다음의 관직으로 통헌대부 이상의 관리가 임명되었다.

  • 도총제사 / 都摠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의 최고지휘관. 는 1391년(공양왕 3)에 이성계가 당시 중앙 및 지방의 여러 원수에게 분할되어 있던 병권을 통합하여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종래의 전투군 편제인 오군에서 전군과 후군을 없애고 삼군으로 편성한 것이다. 이성계가 초대

  • 삼군진무소 / 三軍鎭撫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군사상의 일을 맡아보던 관서. 1419년(세종 1) 의건부를 에 합속시키고 따로 삼군진무소를 두었는데, 여기에 점차 문신들이 들어가게 되고 또 군령상으로도 병조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1457년(세조 3) 군사조직이 오위로 고정됨에 따라 오위진

  • 의흥삼군부 / 義興三軍府 [정치·법제/국방]

    조선 초기 군령과 군정을 총괄하던 관서. 고려 말기인 1391년(공양왕 3) 종래의 오군체제를 삼군체제로 바꾸어 를 두었는데, 이를 조선 초기인 1393년(태조 2) 9월에 개칭한 것이다. 이 관서가 설치되면서 태조의 친위 부대인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