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강행실도” 에 대한 검색결과 2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8)

사전(8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은 모두 편찬관(編纂官)들이 나누어 지었다.”고 밝히고 있다. ≪≫의 밑그림에는 안견(安堅)의 주도 아래 최경(崔涇)‧안귀생(安貴生) 등 당시의 유명한 화원들이 참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동국신속삼강행실찬집청의궤 東國新續三綱行實撰集廳儀軌≫에...
    연계항목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434년 조선과 중국의 문헌에서 삼강에 모범이 될만한 인물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
    정의1434년 조선과 중국의 문헌에서 삼강에 모범이 될만한 인물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mgang haengsildo | MR표기Samgang haengsilt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4년(중종 9) 대제학 신용개(申用漑) 등이 『』의 속편으로 편찬한 책. [내용] 1책. 필사본. 『』는 본래 1434년(세종 16)에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언해는 성종 때에 이루...
  • (續)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국어학/윤리 문헌 한국 조선 중종 성낙수 박종국 2014 신용개(申用漑) 1514년(중종 9) 1책 서울대학교 일사문고,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유학/교육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정일영 박종국 2014 설순(偰循), 정초(鄭招), 권채(權採) 등 1434년(세종 16) 3권 1책 목판 ...

고서·고문서(117)

  • (續)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동국신속삼강행실찬집청의궤(東國新續三綱行實撰集廳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구성되어 있는데, 원집의 권1∼8은 효자, 권9는 충신, 권10∼17은 열녀에 대하여 다루었다. 속부는 『()』‧『속(續)』에 실려 있는 72인을 취사하여 부록으로 싣고 있다. 이 책의 편찬은 특히 임진왜란(壬辰倭亂)을 통하여 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三綱行實孝子圖 楊香搤虎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楊香南鄕縣楊豐女也隨父田間穫粟豐爲虎所噬香年甫十四手無寸刃乃搤虎頸豐因獲免太守孟肇之賜資穀旌其門閭焉 父遭虎噬愴心顔命在當時頃刻間虎頸搤持寧顧死致令嚴父得生還 幼齡體弱氣軒昻父命能令虎不傷靑史尙留名姓在至今誰不道楊香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三綱行實孝子圖 郭巨埋子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郭巨家貧養母有子三歲母常减食與之巨謂妻曰貧之不能供給子奪母膳可共埋之妻從之掘地三尺見黃金一釜上有書云天賜孝子郭巨官不得奪人不得取 郭巨家貧養親竭力母憐幼孫每分其食謂兒若在恐母或飢呼妻掘地擧將埋之得金滿釜上有刻書天賜孝子人...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기초학문(6)

  • 의 다성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은경, 게재일 : 2009
    25064 신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의 다성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동국신속〉 언해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71241 한국연구재단 진단학회 2011 〈동국신속〉 언해의 성격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東國新續』 의 언해문의 방언반사론에 대한 재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경민, 게재일 : 2013
    55911 유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13 『東國新續』 의 언해문의 방언반사론에 대한 재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중국 북경대 도서관 소장 〈〉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향실, 게재일 : 2004
    33927 장향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4 중국 북경대 도서관 소장 〈〉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의 폭력성 재고―열녀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70826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09 〈〉의 폭력성 재고―열녀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6)

  • / [언론·출판]

    저자 설순(?-1435). 목판본. 1책(영본). 책의 구성은 1책 56장이다. <>는 한문본과 언해본으로 나누어진다. 이 책은 세종의 명에 의하여 설순 등이 1434년(세종 16)에 한문본을 먼저 간행했다. 언해본은 실록 기록에 따라서 대략 1490년(성종

  • 동국신속 / 東國新續 [언론·출판/출판]

    1617년(광해군 9) 왕명에 의하여 홍문관부제학 이성(李惺) 등이 편찬한 책. 18권 18책. 목판본. 원래 1615년에 그 편찬이 완성되었으나, 간행에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각 도의 경제력에 비례하여 전라도 6책, 경상도 4책, 공홍도(公洪道 : 충청도)

  • 오륜행실도 / 五倫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797년(정조 21)에 이병모(李秉模) 등이 왕명에 의하여 ≪≫와 ≪이륜행실도≫를 합하여 수정, 편찬한 책. 5권 4책.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의 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당초에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 여행도놀이 / 女行圖─ [생활/민속]

    로 70㎝, 세로 90㎝의 장방형 대지에 119항목으로 짜인 행마도면(行馬圖面)은 마치 ≪ ≫·≪내훈 內訓≫·≪여사서 女四書≫ 등을 도식화(圖式化)한 것 같다. 내용은 인물·선행목·악덕목의 셋으로 구분하였다. 인물은 악녀 난정(蘭貞, 尹元衡 첩)·열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