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삼각기”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簿), 어장(御葬)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白紬),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로,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石紫黃七分眞粉三兩紅眞絲六分修補所入二角端旗二龍馬旗二玄鶴旗一白鶴旗一旗葉改備每件所入, (국장1834/138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근대신어 : 트라이(트리폳)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9599 트라이 타항 트리폳 tripod 三脚臺, 三脚架, 삼각대, 삼각가,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526 생활용품 영화...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생활용품 [예술감각] 영화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트라이포드 (트리폳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9616 트라이포드 타항 트리폳드 tripod 三脚臺, 三脚架, 삼각대, 삼각가,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526 생활용품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생활용품 [예술감각] 영화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페넌트(페난트)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1310 페넌트 파항 페난트 pennant 狹長한旗, 長旒, (檣頭)長旗, 좁고 기다란 깃발, 폭이 넓고 길이가 긴 깃발, (돛대의 맨 꼭대기)긴 깃발,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통신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각단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기 바탕은 백주(白紬)를,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를 중앙에 두고 ()와 용마기(龍馬旗) 사이에 좌우로 선다. 黑紬八尺纓子紅紬一尺五寸角端旗一五幅付火焰脚哛改造所入質白紬二十尺火焰脚紅紬十八...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

  • 02064 잡가 조선고전가사집 12039 1946 朴寅秀 낙동서관 泰平聖代 [19] 鎭國名山 萬丈峰이요 靑天削出 金芙蓉이라 巨壁은 屹立하야 北主 岩은 徒起 南案은 蠶頭로다 左龍駱山 右虎仁旺 瑞色蟠空凝象關이요 淑氣鍾英出人傑이라 美哉...
    구분잡가 | 편저자朴寅秀
  • 推服俾爲都統號貴曰矮張(矮倚□切矬也)順曰竹園張出 令日此行有死而已汝軰或非本心宜亟去母敗吾事人人感奮及漢水方生乘順流發舟百艘稍進圌山下(圌市全時規二切)越二日進高頭港口結方陣各船置火槍火砲熾炭巨斧勁弩夜漏下矴出江(矴丁定切與碇同□舟石)以紅燈為號貴先登順殿之乘風破浪徑犯重圍至磨洪灘以上元兵...
    서명歷代兵要 | 저자정인지(鄭麟趾)‧유효통(兪孝通)‧이석형(李石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2)

  • 을 개조함으로써 무연탄으로 대용케 하면서 1,500도의 정상적 인연을 보지케 하였다. 이와 함께 리성연 동무는 구랑크샤후트 제작 능률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꾸준히 노력한 결과 종전에는 구멍을 뚫고 정으로서 따던 것을 리로서 제작하여 100여공수의 로력과 많은 자재...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24_03 | 책임주필강길모
  • 뒤이어 라이프치히에서는 일대 경축대회가 벌어졌다. 경축대회는 동부 독일지대 각주 및 베를린과 또한 서부지대로부터 온 대표를 포함한 약 12만명의 군중이 참가한 데모로부터 시작되었다. 시위자들은 각각 자유 독일 청년 동맹의 푸른 세계 민청의 깃발들과 흑 적 금 3...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14_04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뿔이 셋 달린 삼각수가 그려진 흰색 사각기로 삼각수 주변에 청ㆍ홍ㆍ황ㆍ백의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고, 노란색의 화염각과 기각이 달려 있다. 대가 노부ㆍ법가 노부ㆍ소가 노부, 어장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과 영자는 홍주로, 깃은

  • 각단기 / 角端旗 [정치·법제]

    를, 화염각과 영자는 홍주, 깃은 흑주를 쓴다. 천하태평기를 중앙에 두고 와 용마기 사이에 좌우로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