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살수” 에 대한 검색결과 8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3)

사전(1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 조선의 중앙군과 지방군은 각각 1593년(선조 26)‧1594년부터 속오제(束伍制)에 의해 편제되어 삼수기(三手技)를 훈련받기 시작하였다. 조총의 등장으로 종전과 전혀 다른 전투양상이 전개됨으로써 포수(砲手)가 가장 중시되었으나, 근접전에서는 에 의지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칼‧창 등 단병기(短兵器)를 들고 싸우는 군대조직.
    정의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칼‧창 등 단병기(短兵器)를 들고 싸우는 군대조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lsu | MR표기sal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14_D_4053 인물 甲科, 文名, 淸顯, 賜暇讀書, 檢束, 參判 仁州 耆之, 懶齋, 我睿宗, 曹偉, 權健 D_17_04_56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5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5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1_D_0077 전쟁 高勾麗, 淸川江 隋煬帝, 宇文述, 乙支文德 勾史 D_09_04_79 대동운부군옥 9권 4장 7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4장 7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수병(三手兵) 창검(槍劍), 포수(砲手), 사수(射手), 훈련도감(訓鍊都監) 정치군사·국방/편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노영구 [정의] 조선후기 등패(籐牌), 장창(長槍)...
    상위어삼수병(三手兵) | 관련어창검(槍劍), 포수(砲手), 사수(射手), 훈련도감(訓鍊都監)

고서·고문서(539)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있으면 조 남자 베이징시(北京市) 4 4 있으면, 사서보내면, 돈, 부치거나, 선생님, 중국, 오시계되면, 드려도되는것,...
    대표표제어살수있으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먹고있다 박 남자 경상북도 의성군 요녕성(辽宁省) 대련시(大连市) 국제선원구락부 2 2 먹고있다, 고향,
    대표표제어먹고살수있다 | 성씨
  • 【卽淸川】ㆍ淀水 【卽大寧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510 大東水經 其三 ITKC_MP_0597A_1510_000_0010 【卽淸川】ㆍ淀水 【卽大寧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大東水經 其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范縣令批語 貞婦逼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70 欽欽新書 卷三 ITKC_MP_0597A_1370_010_0080 范縣令批語 貞婦逼嫁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欽欽新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사형선고를 받은간첩 貞(채수정)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사형선고를 받은간첩 貞(채수정)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3952일 창간 ...
    대표표제어사형선고를 받은간첩 蔡洙貞(채수정)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침투

구술자료(15)

  • 왜 내가 여기 와서 수용소에 있었는고 하니 집들을 가 없어. 돈이 있어 도 가 없더라고. 지금같이 건축사업이 잘 돼서 집이라도 지어주고 하면은 집이라도 짓고 살았 을 텐데 그게 없었거든. 집 날 때 기다렸다가 집이 여기하나 나서 그걸 내가 사가지고 거기 살다 가
    조사지역충남 보령 | 조사일2014년 4월 11일
  • 금도 어떻다고 하는 거 보면. 땅속에 파묻고. 내가 그 수량을 다 해도 옆에 사람이 못 하면. 와서 베만 나오면 다 가져가요. 수량만 다 하면 좀 낳은데 안 그런 사람은 힘들어요. 다 하고 가 없었지 하도 가져 가니까. [조사자 : 그때 주로 농사를 지으셨어요?
    조사지역강원 춘천 | 조사일2013년 2월 19일
  • 님이다.” 라고 그랬잖아요. 근데 이제는 몇 년 있다가 마음이 좀 안 드는 거야. 그러다보니 좀 지나가 록 이제 언제 언제 이젠 편하게 동서 불렀어요. [조사자: 이제 편하게 동서라고 부르셨어요?] 네. 근데 한 몇 년 동안에 동서 소리는 잘 못 불렀어요. [조
    국가필리핀 | 제보자수맘퐁엠마 [필리핀, 여, 1970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사람들은 나가고 그냥 사는데. 우리집 할아버이 가 우리 형님하고 같이 살아야한대요. 나는 누님이 아니고 내 부모 그런게, 같이 살아야지 떨어져 가 없다. 그러라고. 부모 모시고 사는데 뭐. 부모하고 다를 바가 없는데 같이 살면 어떠냐고, 같이 살자고. 같이 몇 해
    조사지역충남 태안 | 조사일2014년 3월 31일
  • 돼지, 돼지도 한 천평되지. 농촌에서도 이 제주도 돼 지 천평 갖는 사람 더러 있지만은 유지 몰라! [청중 : 직장도 다니면 다 소도커요 밭을 물러주나] 그러나 할망이 고생을 안 할 수가 없거든. [청중 : 고생문이 활짝 열렸네 짜짠짜짠(노래) 살다보니 또 가 있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신문·잡지(121)

  • 極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졔쥬민요 건에 야 법공가 손금을 쳥말은 루 긔 엿거니와 그 대졍군슈 귀셕씨가 면관이되여 평리원에 피슈엿더니 판즉 군슈가 민요건에 여 소범이 업는고로 방면즉 법공가 론박되 군슈를 긔어히 죠률라야 평리원에셔  착슈엿는데 지금 ...
    게재일1903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光(人力車 ) 수원 光 人力車 本町 1町目 6 - - 인력거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蔡洙光(人力車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인력거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光(本町食料品店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光(本町食料品店 ) 수원 光 本町食料品店 本町 1町目 6 - - 식료품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蔡洙光(本町食料品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식료품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前主事蔡貞珍改名洙康字寧汝知舊照亮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前主事蔡貞珍改名洙康字寧汝知舊照亮 康 告白
    게재일1902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광고
  • 販賣, 購買組相對로 朝鮮에도 反組運動? 中小商工業者가 업다고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販賣, 購買組相對로 朝鮮에도 反組運動? 中小商工業者가 업다고 1935년 5월29일 대전 대전 대전상공회의소는 24...
    대표표제어販賣, 購買組相對로 朝鮮에도 反組運動? 中小商工業者가 살수업다고 | 연월일1935년 5월29일 | 지역대전

기타자료(21)

  • 채수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457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63-1면 채수익;益 제14회 1939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1605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5면 ㅁ1. 신입회원;ㅁ1) 1학년 채수흥;興 경기 포천군 군내면 직두리 346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강습과(舊사범과와 동일한 과정에 의한) 졸업자 채수강;崗 (현주소)충남 보령군 藍浦普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120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7면 2. 제15회 졸업증서교부자명부 채수방;芳 1927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채수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8608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36-1943) n.r. 51면 채수창;昌 충남 25회(連37回) 1939년 3월 4일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 [정치·법제/국방]

    해 편제되어 포수, , 사수 등의 삼수병으로 구분하여 훈련을 하였다. 이 중 들은 창과 도검류 및 도수무예 등을 익혀 근접전에 대비하여 실전에 배치된 군사들이었다.

  • 채수 /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15(중종10). 조선 중기의 문신·중종반정공신. 영의 증손, 할아버지는 윤, 아버지는 신보이다. 어머니는 유승순의 딸이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 1469년(예종 1)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70년(성종

  • 채수반 / [역사/근대사]

    1900-1955.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영변 출신. 흥사단(興士團) 단원으로 농우회(農友會)를 중심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이다. 3·1운동 이후 전국으로 확산된 민족계몽운동의 일환인 독서회(讀書會)를 통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다가 1920년 일본경찰에 붙잡혀

  • 나재채수신도비 / 懶齋神道碑 [예술·체육/서예]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인 나재 채수의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1998년 8월 3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로 지정되었다. 이 비는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높이는 360㎝이다. 이수는 화강암을 높이 65

  • 홍의동자 / 紅衣童子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활자본. 청천강가 칠불사에 일곱 부처가 모셔진 것은 홍의동자가 을지문덕에게 그려주고 간 그림으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한다. 일명 ‘을지문덕전’이라 할 만큼 을지문덕의 대전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대전을 승리로 이끌게 한 결정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