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산해경” 에 대한 검색결과 2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9)

사전(12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최고(最古)의 지리서(地理書).
    정의중국 최고(最古)의 지리서(地理書).[두산백과] | 문광부표기Sanhaegyeong | MR표기Sanhae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5_J_0017 서적-문집 古健有法, 文字, 高古, 本經, 先秦人, 古人, 無稱道之者 王弇州, 岐伯 穆天子傳, 素問 J_08_01_01 지봉유설 8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8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청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리 나라의 별칭. [내용] 맨 처음 나오는 기록은 『()』이다. 『()』 권9 청구국조에 “군자국 북쪽에 있으며 이 나라에서는 아홉 개의 꼬리가 달린 여우인 구미호(九尾狐)가 있다.”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 근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리 나라의 별칭. [내용] 근(槿)은 무궁화로, 우리 나라에는 예로부터 무궁화가 많이 자라 근역이라 하였다. 서기전 3세기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중국과 그 변방의 지리ㆍ풍속ㆍ산물 등에 관하여 기술한 『』 권9에 다음과 같은
  • TD_D8_J_0023 刑天 신이 舞干戚, 猛怒, 刑天獸名, 好啣干戚而舞, 形天無千歲, 古書, 訛誤處 陶淵明 詩, J_10_01_03 지봉유설 10권 1장 3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0권 1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61)

  • 萬物門1_涅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涅石 子曰: “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 涅者, 礬石也. 《》云: “女牀山, 其陰多涅石.” 郭註: “秦人名羽涅, 一名羽澤.” 《淮南子》所謂“以涅染緇, 則黑於涅; 以藍染靑, 則靑於藍”者, 是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詩文門1_啓棘賓商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啓棘賓商 楊誠齋《與朱子書》云: “諏及‘啓棘賓商’之義, 卽問焉於益公. 益公報以二說, 錄在別紙.” 此句見屈原《天問》, 蓋朱子註《楚詞》時問及, 而楊亦未通, 轉訪周益公也. 其二說未知如何, 而今註作“啓夢賓天”, 或是其一也. 舊註引《》: “夏后氏上三嬪于天, 得《九辯》、《九...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書 鮫韅 注徐廣云 鮫魚皮 可以餙服器 說文云 鮫海魚皮可餙刀 此皆指今之鏟鯊也 云 漳水東南流注于睢 其中多鮫魚皮 可飾刀劒 口錯治材角 李時珍曰 皮有珠 可飾刀劒 治骨角 口錯者 口裏之錯皮也 今鏟鯊 ...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8635 B028635 교어피 鮫魚皮 수산물 『玆山魚譜』 卷一 鱗類 鯊魚 鏟鯊 ... 以餙器物 堅滑而有文 星星可愛 味薄 猶可鱠食 ○[田+靑]案 荀子 議兵篇云 楚人 鮫革犀兕 以爲甲 史記禮書 鮫韅 注徐廣云 鮫魚皮 可以餙服器 說文云 鮫海魚皮可餙刀 此皆指今之鏟鯊也 云...
    출처전거『玆山魚譜』 卷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唐鑑》、《管子文苑》、《英華文章正印》等冊, 廣求道內民間, 上送。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와, , 나타, 반고, 개천, 하늘, 땅, 신체, 중국, 조림, 한족, 서울, 광진구, 화양동, 신화 [조사자3: 그런데 혹시 그 중국에 홍수가 나서 남매만 살아남은 이야기. 그 남매가 복희랑 여와라고 하는 이야기는 못 들어보셨어요?] 그게 제가 찾으면서 복희가
    국가중국 | 제보자조림 [중국,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울음으로 만리장성 무너뜨린 맹강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한 가지. [조사자3: 그 쌓아놓은 다리 위에서?] 쌓아놓은 다리 위에서 네. [조사자1: 그 성이 만리장성 인거죠?] 네. 이게 이라는 그 거기에서 전해진 이야기라고 [조사자3: 에서?] 네. 실제로 뭐 산해관(山海關, Shanhaiguan)중국 허베이성[
    국가중국 | 제보자조림 [중국,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중국 전통시기 《》의 비교학적 맥락과 위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현수, 게재일 : 2007
    50225 임현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7 중국 전통시기 《》의 비교학적 맥락과 위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신화를 생산하는 신화학자: 교량으로서 袁珂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윤희, 게재일 : 2012
    46957 홍윤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어중문학회 2012 신화를 생산하는 신화학자: 교량으로서 袁珂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5)

  • 민세안재홍전집 : 國號私議③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712 1948 7 8 4 3 安民世 안재홍 國號私議③ 大韓民國의 可否 신문 한성일보 1면 2단 논단 역사 직접자료 4권 大韓民國 朝鮮上古史鑑 A19480708한성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국명의 유래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국명의 유래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2호 國名의由來 1907. 01. 01. 아동고사 40 120~121 편집부 대한제국 국명의 유래에 대한 글 조선, 󰡔동사보감󰡕, 󰡔󰡕, 󰡔방언...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백두산 고적(白頭山古蹟)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고적, 󰡔동국문헌비고󰡕, 「장백산부(長白山賦)」, 󰡔팔역지(八域誌)󰡕, 󰡔󰡕 서우번역문.pdf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녀색무한 4 북촌 251 <>의 신화적사유, 문학사건의 의의 257 아고라 258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3
  • 探鑛奬勵金と探鑛請負に就て 穗積眞六郎 95 穀物檢査令と競馬令に就いて 鹽田正洪 97 の倭と蓋國に就て 大原利武 115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기타자료(3)

  • ;松;김해경;金海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2382 일본 京都 京都帝國大學 京都帝國大學朝鮮學生同窓會 제6호 1941―12―30 243면 송;松;김해경;金海庚 京城 都染町 44 학부학생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京都帝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 문무왕이 安勝을 고구려왕으로 책봉한 책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8월 1일 신축일에 신라왕은 고구려 嗣子 안승에게 명령을 내린다. 公의 태조 中牟王 中牟王 : 고구려의 鄒牟王인 朱蒙을 말한다. 은 덕을 北山에 쌓고 공을 南海에 세워 위엄 있는 풍모가 靑丘 靑丘 : 우리나라의 별칭으로 이 말은 『』 9 靑丘國條에 “군자국의 북쪽...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安勝을 고구려왕으로 책봉한 책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발해왕 大虔晃이 일본 淸和天皇에게 보내는 왕계와 중대성이 태정관에 보내는 牒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을 받자오니, ‘扶桑 扶桑 : 중국의 東海 가운데 있었다는 큰 神木이다. 『』 海外東經에는 “湯谷之上 有扶桑 十日所浴”이라고 하여 해가 뜨는 곳이나 그 곳에 있는 나라를 일컫는다. 여기에서는 일본을 가리킨다. 은 파도가 높고 해 뜨는 곳은 너무나 멉니다. 바람을...
    대표표제어발해왕 大虔晃이 일본 淸和天皇에게 보내는 왕계와 중대성이 태정관에 보내는 牒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

    중국 고대의 지리서. 작자 미상. 18권으로 되어 있다. 진한대의 지명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전국시대 이후 책으로 추정된다. 책 구성은 <오장산경><해외사경><해내사경><대황상경><해내경>의 5부로 구성되어 있다. 낙양을 중심으로 각 지역의 지리, 산맥, 하천을 설명하

  • 홍매기 / 紅梅記 [문학/고전산문]

    기이하고 천상세계와 인간세상을 자유자재로 넘나들고 있어 『수신기(搜神記)』 『()』 등 역대 지괴고사(志怪故事)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가촌문집 / 佳邨文集 [종교·철학/유학]

    200여 수, 권2에 소 5편, 장(狀) 8편, 묘명 2편, 발 1편, 기 4편, 잡저 1편, 설 2편, 축사 6편, 부록으로 언행잡록·가장·묘표·신도비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이 중 시에는 주자가 『 』을 읽고 지은 시를 차운(次韻)한 장편의 연작시를 비롯하

  • 열상방언 / 冽上方言 [문학/구비문학]

    조선시대 영조·정조 때 이덕무(李德懋)가 수집, 한역한 속담집.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제62권에 「서해여언(西海旅言)」·「윤회매십전(輪回梅十箋)」·「보(補)」와 함께 실려 있다. 총 99편이 거두어져 있는데 매 편마다 6언으로 된 속담구를 앞세운 뒤

  • 청장관전서 / 靑莊館全書 [종교·철학/유학]

    아람, 권27∼31에 사소절, 권32∼35에 청비록, 권36∼47에 뇌뇌낙락서(권36∼41은 결본), 권48∼53에 이목구심서, 권54∼61에 앙엽기, 권62에 서해여언·윤회매십전·보, 권63에 열상방언·천애지기서·선귤당농소·병정표, 권64·65에 청정국지, 권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