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산학박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25)
- 산학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 국학(國學)에서 산술교육을 담당한 교수직. [내용] 신라는 682년(신문왕 2) 국립교육기관인 국학을 설립하였고, 717년(성덕왕 16) 산학박사 1인을 두어 산술을 교육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산학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에 국자감에서 산술을 교육하거나 각 관청에서 회계사무를 담당하던 관직. [내용] 992년(성종 11)에 설립된 국자감에는 산술을 전문으로 가르치는 산학이 설치되었는데, 그 교수관을 산학박사라 하였으며, 이밖에 각 관청에 산학박사가...
- 산학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관청에서 회계사무 등 기술직에 종사한 관직. [내용] 1419년(세종 1) 한성부(漢城府)에서는 산학박사 두 사람 중 지리와 산수를 겸해서 통하는 자 한 사람은 본부(本府)의 토지측량사무를 겸임하게 해달라는 뜻을 조...
- 산학박사(算學博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산학박사 산학박사 算學博士 산박사(算博士) 계사(計士), 산사(算士), 산학(算學), 산학교수(算學敎授), 산학별제(算學別提), 산학훈도(算學訓導), 호조(戶曹), 회사(會士)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동의어산박사(算博士) | 관련어계사(計士), 산사(算士), 산학(算學), 산학교수(算學敎授), 산학별제(算學別提), 산학훈도(算學訓導), 호조(戶曹), 회사(會士)
- 산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임하였으며, 문종 때 직제를 고쳐 종9품의 산학박사 2인을 두어 산술을 가르쳤으며 이어 인종 때 식목도감(式目都監)에서 학식(學式)을 상정하여 그 체제를 정비하였다. 『고려사(高麗史)』 『한...
고서·고문서(2)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343 神宗 元豐七年二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029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140 선종(宣宗) 1 1084 2 17 續資治通鑑長編343 神宗 元豐七年二月 丙戌 詔 高麗王子僧統從其徒三十人來遊學 非入貢也 其令禮部別定儐勞之儀 吏部乞於四選補算學博士闕 從之 [御集二事今附此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선종(宣宗) 1
- 문정집_文定集22 吏部郞樊茂實墓誌銘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蓋將用之而茂實不能造朝遂以不起識與不識皆爲之流涕也然茂實强學力行更閲世變操履如一顧念平生無一可愧恨者其志得矣他何言哉有尙書解三巻禮記講義二巻梅窻雜著十巻藏于家娶陳氏算學博士從道之女封安人子男三人擴左修職郞抑左迪功郞饒州浮梁縣主簿撝將仕郞女一人許嫁將仕郞陸邈孫男七人致堯拱舜贊禹曁湯憲武保成規宣孫女一人...국가중국 | 서명문정집 | 왕대기타
주제어사전(5)
-
산학박사 / 算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청에서 회계사무 등 기술직에 종사한 관직. 1419년(세종 1) 한성부에서는, 산학박사 두 사람 중 지리와 산수를 겸한 한 사람은 본부의 토지측량사무를 겸임하게 해달라는 뜻을 조정에 올려 그대로 실시되었다. 1423년에 앞으로는 산학박사는 사족의 자제로서
-
산사 / 算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 소속 산학의 종7품 관직 관직.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산학을 호조에 부속시키면서 산사로 개칭하였다. 처음에는 정원이 2인이었으나 ≪경국대전≫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1인으로 조정되었다. 산사는 종8품 계사(計士) 1인, 종9품 회사(會士)
-
산학훈도 / 算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 소속의 종9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호조부설의 산원 양성기관이던 산학의 교관이었다. 산학은 고려 성종 때 국자감 안에 처음 설치되어 종9품 산학박사 2인을 두었는데, 조선 초기까지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1466년(세조 12) 관제개정 때 산학박사가
-
산학교수 / 算學敎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호조의 종6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호조부설의 회계사 양성기관이던 산학의 최고책임자. 산학은 고려 성종 때 국자감이 설치되면서 이른바 경사육학의 하나로 설치, 종9품 산학박사 2인을 두었다.1466년(세조 12) 관제개정 때 산학이 호조에 예속되면서 산
-
산학 / 算學 [교육/교육]
고려시대 국자감에 편제된 경사육학의 하나. 취학자의 신분에 따른 학과선택으로 8품 이상의 자제와 서인이 입학, 7품 이상으로서 원하는 자도 들어올 수 있었다. 설치 초기는 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수에 임하였으며, 문종 때 직제를 고쳐 종9품의 산학박사 2인을 두어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