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산실청” 에 대한 검색결과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

사전(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왕자나 왕손들이 태어날 때 궁중 내에 설치하였던 임시 관서. [내용] 창설된 시기는 불확실하나, 최초로 보이는 기록은 1603년(선조 36) 3월 중전(中殿)을 설치하고 의관(醫官) 3원(員)을 입직(入直)하게 하였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시대에 왕비와 세자빈의 출산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관청
    정의조선 시대에 왕비와 세자빈의 출산을 위해 임시로 설치한 관청 | 문광부표기Sansilcheong | MR표기Sansil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출산(王室出産) 중전(中殿) 내의원(內醫院), 산실(産室), 호산청(護産廳) 정치행정/관청|왕실/왕실문화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지영 1603년(선조 36...
    상위어왕실출산(王室出産) | 동의어중전산실청(中殿産室廳) | 관련어내의원(內醫院), 산실(産室), 호산청(護産廳)
  • 범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상감 소속의 지관(地官). [내용] 범철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방위를 정하는 일을 말한다. 왕실의 산릉(山陵)이나 묘자리를 선정하고 매장시에 방위를 감독하며, 궁중의 출산 때 ()을 설치하고, 왕족의 신주(神主)용 밤...
  • 호산청(護産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산청 호산청 護産廳 왕실출산(王室出産) (), 세태의식(洗胎儀式), 권초제(捲草祭) 왕실왕실문화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지영 [168...
    상위어왕실출산(王室出産) | 관련어산실청(産室廳), 세태의식(洗胎儀式), 권초제(捲草祭)

고서·고문서(11)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12)이 이 설치되어 闕內에 入直하였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1)에서 채록하였다. 은 조선시대 왕비나 세자빈의 출산을 위해 설치하던 임시기구이다. 1873년 공주를 출산하였던 민비를 위해 설치된 기구로 보인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호산청소일기(護産廳小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의례의 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실에서는 비빈(妃嬪)들의 출산이 임박하면 분만업무를 담당하는 임시관청을 마련하였는데 이를 () 혹은 호산청(護産廳)이라 불렀다. 이 일기는 출산 당일 산청이 설치된 날부터 기록이 시작되었...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以此充補戶曹, 而常定米, 用於給代似宜。 但臣等, 不及古人, 至於軍制, 終難變通矣。 晩曰, 臣考見前例, 則前期一月排設, 嬪宮, 今當排〈設〉, 故敢達。 上曰, 欲下敎矣。 其已擇日乎? 晩曰, 今月十二日最吉云, 使觀象監以此日推擇以入, 何如? 上曰, 依爲之。 仍下敎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3005942014300594_001 李熹公實錄資料 3 자료제383호 李熹公從宦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52 03 73 1873년 2월 19일(음력) 이 撤罷된 후 李載冕(改名...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辛苦矣。 是故日前自內設酌於慈殿時及懿昭入廟時, 欲用鰒魚, 而以有弊止之。 尙魯曰, 供上是不得已之事, 豈顧些少之弊乎? 上曰, 大臣所達如此, 鰒魚若干使之封進, 可也。 命承旨書之曰, 莫重御供, 其涉不謹, 當該封進帥臣, 從重推考。 尙魯曰, 嬪宮, 前期三朔而設, 例也。 今則何...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왕자나 왕손들이 태어날 때 궁중 내에 설치하였던 임시 관서. 1603년(선조 36) 3월 중전(中殿)을 설치하고 의관 3원을 입직시켰다. 뒤에 은 호산청(護産廳)으로 명칭이 개칭된 것으로 여겨진다. 1688년(숙종 14) 12월 왕자가 탄생

  • 범철관 / 泛鐵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상감 소속의 지관. 범철은 나침반을 사용하여 방위를 정하는 일을 말한다. 왕실의 산릉이나 묘자리를 선정하고 매장시에 방위를 감독하며, 궁중의 출산 때 을 설치하고, 왕족의 신주용 밤나무를 벌채할 때는 그 방위의 길흉을 측정하기 위하여 매년 충청·전라

  • 조인희 / 趙寅熙 [정치·법제/정치]

    실책을 범하면서 전체적인 타협을 보았다. 같은해 7월 5일 조일수호조규부록 및 무역규칙을 체결하였다. 1878년 부제조와 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