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산뽕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5)
- 묘향산산뽕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산뽕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88호. 산뽕나무는 묘향산 보현사의 뜨락에서 자라고 있다. 산뽕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며 습기와 거름...
- 궁간상(弓幹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940 물품도구 궁간상(弓幹桑) 궁간상 弓幹桑 목궁(木弓)의 재료가 되는 특수한 나무. 산뽕나무를 가리킨다. 궁간상(弓幹桑)은 목궁(木弓)의 좋은 재료가 되는 산뽕나무의 별칭이다. 특히 산뽕나무는 활짱(활의 몸체)의 뼈대를 이루는...유형분류물품도구
- 목궁(木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목궁 목궁 木弓 호(弧) 각궁(角弓)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곽낙현 무예 훈련 산뽕나무[弓幹桑] [정의] 조선시대에 각궁을 보완하거나 혹은 민간에서 활쏘기...동의어호(弧) | 관련어각궁(角弓)
- 육량궁(六兩弓)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육량궁 육량궁 六兩弓 궁시(弓矢) 무과(武科) 육량전(六兩箭) 정량궁(正兩弓), 대궁(大弓)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곽낙현 무과 시험 과목, 무예 훈련 짐승 뿔, 산뽕나무...상위어궁시(弓矢) 무과(武科) | 하위어육량전(六兩箭) | 동의어정량궁(正兩弓), 대궁(大弓)
- 호시(弧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호시 호시 弧矢 목궁(木弓)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곽낙현 무예 훈련 산뽕나무, 대나무, 벚나무 [정의] 나무로 만든 활과 화살. [개설] 호시(...관련어목궁(木弓)
멀티미디어(2)
- 15세기 중반 산뽕나무[柘]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04_토의_15세기_중반_산뽕나무[柘] 경제_15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활만드는산뽕나무[弓幹桑]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908_18세기_중반_활만드는산뽕나무[弓幹桑]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2)
-
산뽕나무 / 山─ [과학/식물]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산뽕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산기슭, 논둑, 밭둑의 양지에서 잘 자란다. 추위에는 잘 견디지만 공해나 건조에는 약하며 햇볕이 부족한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꽃은 4∼5월에 암수
-
묘향산산뽕나무 / 妙香山山뽕나무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산뽕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88호. 산뽕나무는 묘향산 보현사의 뜨락에서 자라고 있다. 북한 산뽕나무 가운데서 가장 크고 오래 자란 나무이다. 산뽕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모래메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