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산릉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7)
사전(167)
- 산릉도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국장 때 왕과 왕비의 능을 만드는 일을 하기 위해 임시로 마련된 관서. 왕이나 왕비가 졸(卒)한 직후 왕릉이나 왕비릉의 조성을 총괄한 관서로 능이 완성될 때까지만 존속하였다. 以典設司所上受去進排爲白乎矣一路乙良國葬都監山陵則山陵都監專掌檢飭施行爲白齊, (빈전173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산릉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능침을 조성을 관장하였던 임시 관서. [내용] 고려말∼조선 초기는 조묘도감(造墓都監)이라 불렀으나, 1419년(세종 1) 정종의 국상 때부터 산릉도감으로 호칭하였다. 산릉도감은 왕이나 왕비의 사망 직후 조직되...이칭별칭조묘도감
- 산릉도감(山陵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산릉도감 산릉도감 山陵都監 도감(都監) 노야소(爐冶所), 대부석소(大浮石所), 번와소(燔瓦所), 보토소(補土所), 별공작(別工作), 삼물소(三物所), 소부석소(小浮石所), 조성소(造成所) 공조(工曹), 국장도감(國葬都監), 묘소도감(墓...상위어도감(都監) | 하위어노야소(爐冶所), 대부석소(大浮石所), 번와소(燔瓦所), 보토소(補土所), 별공작(別工作), 삼물소(三物所), 소부석소(小浮石所), 조성소(造成所) | 관련어공조(工曹), 국장도감(國葬都監), 묘소도감(墓所都監), 빈전도감(殯殿都監),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선공감(繕工監), 원묘도감(園墓都監), 조묘도감(造墓都監)
- 산릉도감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에 왕이나 왕비의 능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의식‧절차와 행사의 경위 및 전말 등을 기록한 책. 현재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산릉도감의궤≫는 모두 28종인데, 연대순으로 보면 1600년대 8종, 1700년대 7종, 1800년대 12종, 1900년대 1종
- 방목주(方木柱)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된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용례는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에서 윤여(輪輿)의 구성재 중 도르래를 세우기 위해 윤여머리에 설치하는 기둥을 방목주로 표기하고 있다. [용례] 戶曹啓 各道監司轉報雨澤 已有成法 然土性燥濕不同 入土淺深 亦難知之 請於書雲觀作臺 以...관련어목주(木柱), 방주(方柱), 석주(石柱), 원주(圓柱)
단행본(1)
- 숙종대왕 자료집 1 - 의궤, 등록, 일기 -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정만조, 이근호, 최진덕...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4.10.30분야생활 | 유형단행본山陵都監儀軌一冊 山陵都監儀軌二冊 練祥橝謄錄 祔廟都監都廳儀軌 明陵日記 탈초 庚子年國恤草日記 해제 숙
고서·고문서(112)
- 산릉도감초등록(山陵都監草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광무 4년인 1900년 8월부터 10월까지 홍릉(洪陵)을 옮기는 과정에서 산릉도감(山陵都監)에서 타 기관과 주고받은 문서, 진행절차, 논의과정 등을 기록해 놓은 등록이다. 표제에 ‘초등록(草謄錄)’이라고 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성본이 아니라 초고본으로 보인다. 홍릉...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산릉도감사찬 발기(山陵都監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산릉도감 사찬 발기(山陵都監 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산릉도감 사찬 발기(山陵都監 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산릉도감 사찬 발기(山陵都監 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기초학문(6)
-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경희, 게재일 : 200709845 장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속원 2007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fb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고종초 哲宗의 國葬과《[哲宗]睿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래, 게재일 : 200301468 김경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고종초 哲宗의 國葬과《[哲宗]睿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78년(고종 15) 哲宗妃 哲仁王后의 國葬과《[哲仁王后]睿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경래, 게재일 : 200301403 김경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78년(고종 15) 哲宗妃 哲仁王后의 國葬과《[哲仁王后]睿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05년(순조 5) 英祖妃 貞純王后 國葬과 《[貞純王后]元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301523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3 1805년(순조 5) 英祖妃 貞純王后 國葬과 《[貞純王后]元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03
- 英祖代《國朝喪禮補編》의 편찬과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진영, 게재일 : 200314086 김진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英祖代《國朝喪禮補編》의 편찬과 《[英祖]元陵山陵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20)
- 경효뎐뎨됴 민응식은 산릉도감뎨됴를 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효뎐뎨됴 민응식은 산릉도감뎨됴를 명고 특진관 민죵묵은 쳔릉도감뎨됴를 명고 산릉뎨됴 리근명과 쳔릉도감 뎨됴 김영목은 샹환고 홍문관 시독 민후식과 시강원시독 김유흥은 샹환고 경긔삼졍감리 졍긔봉은 임고 목릉참봉 손지현에 리보샹으로 임고 경효뎐뎨됴 김만슈와게재일1900년 8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산릉도감에셔 경부로 죠회기를 오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산릉도감에셔 경부로 죠회기를 오셔에잇 목슈 낫낫치 젹간야 역소로보고 각문에신칙야 짐 싯지아니 챠부 츌입것을 금단라 엿더라게재일1901년 4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산릉도감에셔 금곡 릉녁을 시작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산릉도감에셔 금곡 릉녁을 시작에 양쥬군 셩으로 응력케고 그고가 양쥬군 공젼으로 츌급케 엿더니 양쥬군에셔 엇지야 그돈을 발급지아니엿던지 양쥬군 미음 셩들이 부에 호소야 고가를 달나고로 부에셔 양쥬군으로 지령엿다더라게재일1901년 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쳔산릉도감은 아즉 뎡지고 영졍모샤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쳔산릉도감은 아즉 뎡지고 영졍모샤 도감과 진뎐 즁건도감을 합셜야 거데 탕젼 오만원을 도감으로 하셧다더라게재일1900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쳔산릉도감 쟝이하 원역 구십구인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쳔산릉도감 쟝이하 원역 구십구인과 각공쟝 일 팔십오명 합 삼팔십명을 전호궤로 돈일십이량너돈을 분급엿더라게재일1900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신국토 기행15) 산릉도감에 차하되셨소이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신국토 기행15) 산릉도감에 차하되셨소이다 (신국토 기행15) 산릉도감에 차하되셨소이다 (신국토 기행15) 山陵都監에 差下되셨소이다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영훈,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王陵 擇地의 과정과 風水: 17-18세기를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박권수 | 충북대학교 | 2013 | 국내 | 충북
주제어사전(7)
-
산릉도감 / 山陵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능침을 조성을 관장하였던 임시 관서. 1419년(세종 1) 정종의 국상 때부터 산릉도감으로 호칭. 산릉도감은 왕이나 왕비의 사망 직후 조직되어 장례가 끝나고 능침과 그 부대시설이 완성될 때까지 약 5∼6개월간 존속하였다. 여기서는 산릉 일대의
-
김영목 / 金永穆 [종교·철학/유학]
1835(헌종 1)∼1910. 조선 말기의 문신. 주요 내직에 임명되다가, 1898년에 궁내부특진관에 칙임관 3등으로 올랐으며, 홍릉제조에 임명, 1899년에 전주 오목대비문 서사관, 인조대왕옥책문의 악장문제술관이 되었다. 1900년부터 2년 동안은 산릉도감 및 천릉
-
윤치담 / 尹致聃 [종교·철학/유학]
과 급제하였다. 순천부사, 산릉도감도청, 호조참의, 성균관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
임홍망 / 任弘望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 기 증손, 할아버지는 희지, 아버지는 환, 어머니는 신방헌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소속되었다가 도원찰방·가례도감 감조관·전적을 거쳐 현종이 죽자 산릉도감낭청
-
능원천봉도감의궤 / 陵園遷奉都監儀軌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능과 원의 천장에 관한 의식과 절차 등을 기록한 의궤. 이 의궤는 크게 『천봉도감의궤(遷奉都監儀軌)』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로 구분되는데 모두 22종이 있다. 천장한 연대순으로 본 능·원의 명칭과 능·원별 의궤의 수는 선조목릉(宣祖穆陵) 2종,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