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산랑” 에 대한 검색결과 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37)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능참봉(陵參奉). 適逢 聊修片字 忙擾不能一一 只此謹拜, 이원익(李元翼), 16-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부의 관제가 고려 후기에 개변을 되풀이하면서 원외랑과 도 여러 번 이름이 바뀌었다. 즉, 국초 이래 원외랑이라 일컬어지다가 1275년(충렬왕 1) 10월 좌랑, 1298년 1월에 다시 원외랑, 곧 다시 좌랑, 1308년 6월 , 충숙왕 때 좌랑, 1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076년(문종 30) 종7품의 하계(下階)로 정하여져, 전체 29계 중 제21계였다. 충렬왕 때까지 존속하였다. → 문산계 『고려사(高麗史)』 ...
  • 언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고 형조의 장인 판서(判書)를 전서(全書)라 하고 2인으로 늘리는 한편, 다른 관직도 개편하였다. 그리하여 시랑(侍郞)을 의랑(議郞)으로 바꾸고 2인으로 하였으며, 낭중(郎中)은 직랑(直郞), 원외랑(員外郞)은 ()이라 하여 모두 3인을 두었다. 뒤에 전법사...
  • 원외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랑에서 ()으로, 1356년(공민왕 5) 원외랑으로, 공민왕 11년 원외랑에서 좌랑으로, 공민왕 18년 좌랑에서 으로, 공민왕 21년 에서 좌랑으로 바뀌었으며, 그뒤 조선시대에는 좌랑으로 계속되었다. 『고려사(高麗史)』...

고서·고문서(42)

신문·잡지(3)

  • 년젼에 일본사 소봉 복씨가 인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년젼에 일본사 소봉 복씨가 인쳔 부산 원산 등디에 무항산야 노사 이륙십여명을 유인야 달이고 일본을 들어가셔 셕탄광에 너어 역를 식히대 역 즁고 삭을 젹게주 긔한에 골몰야 쥭은자가 삼분에 일이오 남은 자들도 그 고초를 견지 못야 모다 쥭을...
    게재일1899년 1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芝罘行 90 濟州島の遣利 (2) 久光生 91 충남시찰 (2) 群人 99 カル...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4
  • 鴨綠江を下る記 松濤山人 59 충남북부 시찰기 群人 62 余の見鐵原平野 曠谷盧主人 6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4

기타자료(5)

  • 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天成 1/日本 延長 4) 신라 후당→고려 【번역】 (동광) 4년 정월에 이르러 한신일(韓申一)에게 조산대부(朝散大夫)·시전중감(試殿中監)을, 박암(朴巖)에게 조(朝)·시비서랑(試秘書郞)을 제수하였다. (󰡔五代會要󰡕 30 高麗) 【원문】 (同光)至...
    대표표제어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 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天成 1/日本 延長 4) 신라 후당→고려 【번역】 (동광) 4년 정월에 이르러 한신일(韓申一)에게 조산대부(朝散大夫)·시전중감(試殿中監)을, 박암(朴巖)에게 조(朝)·시비서랑(試秘書郞)을 제수하였다. (『五代會要』 30 高麗) 【원문】 (同光)至四年...
    대표표제어후당이 고려의 한신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26년(丙戌/신라 경애왕 3/발해 애왕 26/후백제 견훤 27/고려 태조 9 天授 9/後唐 同光 4, 天成 1/日本 延長 4)
  • 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후당→발해 【번역】 (장흥) 4년 7월에 앞서의 입조사(入朝使)인 성문각(成文角)을 조산대부(朝散大夫)·우신무군장사(右神武軍長史)로 삼고 주사우록사(奏事右錄事)·시대리평사(試大理評事) 고보예(高保乂)를 조(朝)·우효위장사(右驍衛長史)로 삼았으며 아울러 금...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3년(癸巳/신라 경순왕 7/후백제 견훤 34/고려 태조 16, 天授 16/後唐 長興 4/日本 承平 3)
  • 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錄事)·시대리평사(試大理評事) 고보예(高保乂)를 조(朝)·우효위장사(右驍衛長史)로 삼았으며 아울러 금자(金紫)를 내렸다. (『五代會要』 30 渤海) 【원문】 (長興)四年七月 以先入朝使成文角 다른 기록에서는 문성각(文成角)으로 확인되나 『五代會要』에서만 성문각(...
    대표표제어발해 사신에게 금자를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3년(癸巳/신라 경순왕 7/후백제 견훤 42/고려 태조 天授 16/後唐 明宗 長興 4/日本 朱雀天皇 承平 3)
  • 이타인의 당나라 귀부를 알려주는 묘지명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卄三日 遘疾薨於長安之私第 春秋六十有七 睟容尊䀎 恨起於聞鼙 交情貴遊 哀緾於聽笛 卽以二年歲次丁丑二月癸巳朔十六日己酉 葬於長安城東之白鹿原 禮也 惟公風鑒 機神警發 無迕物以損德 不違時以害名 顯危遜於亂邦 旣逃其累著功名於聖日 復處斯榮 非夫知機其神乎 亦何能預於此也 豈謂光華 尙遠沉滄...
    대표표제어이타인의 당나라 귀부를 알려주는 묘지명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7년(丁丑/신라 문무왕 17/唐 儀鳳 2/日本 天武 6)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 충숙왕 때 좌랑, 1356년(공민왕 5) 7월 원외랑, 1362년 3월 좌랑, 1369년 6월 , 1372년 6월 또다시 좌랑으로 빈번히 관명이 개칭되었다. 조선시대는 좌랑으로 일관하였다.

  • 민부 / 民部 [정치·법제/법제·행정]

    는 전서, 그 아래 의랑·직랑·을 두었다. 이 민부는 뒤이어 판도사로 고쳤다가 1356년(공민왕 5) 문종 때의 구제에 따라 호부로 고쳤으며, 1362년 다시 판도사로, 1369년 민부로 고치면서 전서를 상서로 고쳤다. 1372년 판도사로 변경, 1389년(공양왕

  • 전법사 / 典法司 [정치·법제/법제·행정]

    두고, 그 아래에 의랑 2인, 직랑· 각 3인을 두었다. 1369년에 이부로, 1372년에 전법사로 고쳤다가 1389년(공양왕 1)에 형조로 고쳤다.

  • 선부 / 選部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와 의조, 그리고 병조가 통합되어 선부로 되었다. 관원으로는 전서 1인, 의랑 3인, 직랑 3인, 3인, 주부 2인을 두었다. 1356년(공민왕 5) 공민왕의 관제개혁 때 문종 때의 관제로 복구되어 이부로 되었으나 1362년 전리사, 1369년 다시 선부로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