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산기상시” 에 대한 검색결과 2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

사전(1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3품 관직. [내용] 목종 때 좌우가 있었는데, 문종 때 각각 1인의 정3품으로 정비되었다가 뒤에 좌우상시(左右常侍)로 고쳤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다시 좌우상시로 고쳤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을 주된 직임으로 하였다. 뒤에 좌상시(左常侍)로 개칭되었으며, 1298년(충렬왕 24)에 잠시 좌로 되었다가 같은해 다시 좌상시로 개칭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문종 관제가 복구되면서 좌로 되었고, 계속하여 1362년에 좌상시로, 13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중서문하성‧도첨의사사‧문하부의 정3품 관직.
    정의고려시대 중서문하성‧도첨의사사‧문하부의 정3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wasan gisangsi | MR표기chwasan kisang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3품 관직. [내용] 좌우(左右) 및 좌우상시의 총칭이다. 목종 때 이미 좌우가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는 정원을 좌우 각 1인, 정3품 관직으로 정하였다. 뒤에 좌우상...
  • 사의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으며, 1369년에 다시 좌우간의대부로 고쳤다가, 137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주된 직능은 좌우(左右)ㆍ좌우보궐(左右補闕)ㆍ좌우습유(左右拾遺)와 함께 성랑(省郎)의 구성원으로서 간관(諫官)의 임무를 담당하였...

고서·고문서(41)

  • 隋許善心謝聞衰絰之事,諭以旣思舊主,卽我誠臣,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1100 隋許善心謝聞衰絰之事,諭以旣思舊主,卽我誠臣,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詩文門2_千字文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千字文 劉後村曰: “《千字文》, 世以爲梁周興嗣所作. 然法帖中, 漢 章帝已嘗書, 此文殆非梁人所作也.” 後人遂執此爲信, 謂漢時已有此文. 予謂, 《千字文》中有“杜槀鍾隷”、“布射嵇琴”、“阮嘯倫紙”等語, 此數人者, 皆在漢章之後. 且云“綺回漢惠”, 章帝口吻, 其肯發此語乎...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宗 天會十三年 正月癸酉는 고려 인종 13년(1135) 정월 29일에 해당한다. 참고로 『고려사』 세가 인종 13년 2월 辛丑(27일)에 金나라에서 報哀使 檢校右王政을 보내온 내용이 나온다.
    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인종(仁宗)  13
  • 3221 중국 총서 요사휘편 088 현종(顯宗) 12 1021 3 20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2 太平元年辛酉[天禧五年] 東京遣使檢校張澄嶽如高麗 以三月乙未至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 太平元年辛酉는 요 聖宗 太平
    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현종(顯宗)  12
  • 3228 중국 총서 요사휘편 095 현종(顯宗) 13 1022 9 20 遼史彙編4 補遼史交聘表2 太平二年壬戌(九月)[宋乾興元年] 丁亥 高麗遣左王諝來 사신왕래, 거란, 본문의 太平二年壬戌은 요 聖宗 太平 2년(1...
    국가중국 | 서명요사휘편 | 왕대현종(顯宗)  13

기타자료(17)

  • () 봉발(封撥)을 고구려에 사신 보내 풍문통을 불러 보내라고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 봉발(封撥)을 고구려에 사신 보내 풍문통을 불러 보내라고 하다. 교류담당 436년(丙子/신라 눌지마립간 20/고구려 장수왕 24/백제 비...
    대표표제어산기상시(散騎常侍) 봉발(封撥)을 고구려에 사신 보내 풍문통을 불러 보내라고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36년(丙子/신라 눌지마립간 20/고구려 장수왕 24/백제 비유왕 10/劉宋 元嘉 13/倭 允恭 25)
  • 배유업(裵遺業)이 원외(員外)를 겸하여 고구려 사신의 주관자가 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배유업(裵遺業)이 원외(員外)를 겸하여 고구려 사신의 주관자가 되다. 교류담당 570년(庚寅/신라 진흥왕 31, 大昌 3/고구려 평원왕 12/...
    대표표제어배유업(裵遺業)이 원외산기상시(員外散騎常侍)를 겸하여 고구려 사신의 주관자가 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70년(庚寅/신라 진흥왕 31, 大昌 3/고구려 평원왕 12/백제 위덕왕 17/陳 大建 2/倭 欽明 31)
  • 이좌(李佐)가 고구려에 사신으로 다녀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고구려 북위→고구려 【번역】 보(輔)의 동생 좌(佐)의 자(字)는 계익(季翼)이고 문무의 재간이 있었다. 고조(효문제) 초(471~476)에 ()를 겸하고 명령을 받들어 고구려의 사신으로 갔다. (󰡔魏書󰡕 39 列傳 27 李佐) 【원문】 李佐...
    대표표제어이좌(李佐)가 고구려에 사신으로 다녀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76년(丙辰/신라 자비마립간 19/고구려 장수왕 64/백제 문주왕 2/宋 元徽 4/倭 雄略 20)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 새서(璽書) 등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38/고구려 영류왕 4/백제 무왕 22/唐 武德 4/倭 推古 29) 신라 신라↔당 【번역】 가을 7월 왕이 대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바쳤다. 고조가 직접 사신을 위로하고 통직(通直) 유문소(庾文素)를 보내어 예방하고, 조서와 그림...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방물을 바치자 당 황제가 유문소(庾文素)를 보내 새서(璽書) 등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1년(辛巳/신라 진평왕 43 建福 38/고구려 영류왕 4/백제 무왕 22/唐 武德 4/倭 推古 29)
  • 宋 少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장수왕 12)에 宋 少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조서이다. 【원문】 (少帝 景平二年 璉遣長史馬婁等詣闕獻方物 遣使慰勞之 曰) 皇帝問使持節都督營平二州諸軍事征東大將軍高句驪王樂浪公 纂戎東服 庸績繼軌 厥惠旣彰 款誠亦著 踰遼越海 納貢本朝 朕以不德 忝承鴻緖 永懷先蹤...
    대표표제어宋 少帝가 고구려 장수왕에게 내린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정3품 관직. 목종 때 좌우가 있었는데, 문종 때 각각 1인의 정3품으로 정비, 뒤에 좌우상시로 고쳤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좌우상시, 1356년(공민왕 5) 좌우, 1362년 좌우, 1369년 좌우

  • 봉박 / 封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왕의 조지 내용이 합당하지 못할 경우 이를 봉함하여 되돌려 공박하는 제도. 고려 중서문하성 낭사의 직무이며 권한의 하나였다. 중서문하성의 하층부를 이루는 낭사 소속의 이하 사간·정언 등의 간관들이었다. 봉박이라는 말도 군왕의 부당한 처사나

  • 사의대부 / 司議大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쳐 종3품으로 올렸고, 136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 1369년에 다시 좌우간의대부, 1372년에 다시 좌우사의대부로 고쳤다. 좌우·좌우보궐·좌우습유와 함께 성랑의 구성원으로서 간관의 임무를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