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산경표”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영조 때 신경준이 편찬한 것으로 전하는 조선의 산맥 체계를 도표로 정리한 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영조 때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조선의 산맥[山經] 체계를 도표로 정리한 책.
    정의조선 영조 때 신경준(申景濬, 1712-1781)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조선의 산맥[山經] 체계를 도표로 정리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San-gyeongpyo | MR표기San’gyŏngp’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백두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름이다. 2005년 1월 1일1부터 시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ㆍ설악산ㆍ태백산ㆍ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에 따르...
  • 한북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로 이루어졌다. 『()』에 근거를 둔 이들 산줄기의 특징은 모두 강을 기준으로 한 분수산맥으로 그 이름도 대부분 강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 회양‧화천‧가평‧남양주, 서쪽으로 평강‧철원‧포천‧양주 등의 경계를 이루는데 자연히 동쪽은...
  • 여지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연대‧작자 미상의 우리 나라의 산맥 계통을 밝힌 ()와 거경정리(距京程里)와 도내의 군현 읍치 사이의 거리조견표를 포함하는 정리표(程里表)가 포함된 지리 편람. [내용] 2책. 필사본. 는 51장이고 정리표는 48장으로...

고서·고문서(13)

  •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32125 B032125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7 1870년 11월 18일 ... , 蔚山府使馳通內鹽浦止泊倭船五隻目島止泊倭船一隻二十五日無弊經夜是如爲有旀, 西生僉使馳報內唐浦止泊倭大船二隻漂民船一隻軍令浦止泊倭大船一隻無弊經夜是如爲有旀, 追于機張縣監鄭熟馳通內蔚...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114 B032114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7 1872년 3월 10일 ... 浦是如管領手本據曳入次使舟師代將鄭基龍領船海出是如馳報爲白有旀.午時到付釜山僉使馳報內蔚向未辨船一隻初看止泊馳通據辭綠與該府使所報一樣是白乎旀酉時到付同僉使馳報內卽到哨探將營四戰船將馳報內左...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欌等物不爲開撿者亦涉疏漏而今見漂倭船主所告則其父船隻同發相失云者似是十二日蔚泊直還之船是乎等以緣由馳通爲臥乎事爲等如馳通是白置有亦倭船之非對馬島居民而漂抵我境願爲直還者自漂泊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馳報內唐浦止泊倭大船二隻漂民船一隻軍令浦止泊倭大船一隻無弊經夜是如爲有旀, 追于機張縣監鄭熟馳通內蔚泊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멀티미디어(12)

  • 』에 수록된 산봉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시계열 통합 없음 없음 (1770) (1770) 자연_029_『』에_수록된_산봉 자연_029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산경표(1770)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산경도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후반 없음 없음 (1770) (1770) 자연_011_산경도 자연_011_산경도.jpg 한국학분야 토대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산경표(1770)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峴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峴/대간/정간/정맥 없음 여지도서, 없음 자연_003_18세기_중반_峴 자연_003_18세기_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浦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浦/대간/정간/정맥/수계 없음 여지도서, 없음 자연_008_18세기_중반_浦 자연_008_18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灘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전국 도 1:4,000,000 18세기 중반 灘/대간/정간/정맥/수계 없음 여지도서, 없음 자연_009_18세기_중반_灘 자연_009_18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산경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4)

  • /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경준이 조선의 산맥[山經]체계를 도표로 정리하여 영조 연간에 편찬한 지리서. 1책. 필사본. 표의 기재 양식은 상단에 대간(大幹)·정맥(正脈)을 표시하고 아래에 산(山)·봉(峰)·영(嶺)·치(峙) 등의 위치와 분기(分岐) 관계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 임진북예성남정맥 / 臨津北禮成南正脈 [지리/자연지리]

    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이로부터 가지친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되어 있다. 이들 산줄기는 10대강의 분수산맥을 이루고, 강 유역을 경계짓는다. 『()』에 따르면 개련산(開蓮山)에서 비롯하여 기달산(箕達山)·천개산(天蓋山)·화개산(華蓋山)·

  • 장백정간 / 長白正幹 [지리/자연지리]

    . 장백정간은 백두대간과 함께 북쪽으로 이어진 나라 땅의 근골(筋骨)이어서 정간으로 구분되었다고 본다. 정간을 이루는 주요 산은 『()』에서 장백산(長白山)·마유산(馬踰山)·거문령(巨門嶺)·계탕령(契湯嶺)·차유령(車踰嶺)·이현(梨峴)·무산령(茂山嶺)·가응석령

  • 백두대간 / 白頭大幹 [지리/자연지리]

    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설악산·태백산·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에 따르면 백두산부터 원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