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포서” 에 대한 검색결과 1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3)

사전(104)

  • 사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6품 관직. [내용] 궁중의 원예‧채소에 관한 직무를 맡았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갱정할 때 사포 1인을 두게 되었는데 1882년(고종 19)에 이르러 폐지되었다. 『세조실록(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애고, 별제 1인을 더 두어 정원을 3인으로 늘였다. 이속(吏屬)으로는 서원(書員) 5인, 고직(庫直) 1인, 사령 5인이 있었다. 이 는 조선 초기에 설치되어 조선 전시기에 걸쳐 계속되어오다가 1882년(고종 19) 일부 관제개편에 따라 혁파되었다.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조(戶曹) 사포(司圃), 별제(別提), 별검(別檢) 물선진상(物膳進上), 침장고(沈藏庫)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조~고종 장희흥 1466년(세조 12) 18...
    상위어호조(戶曹) | 하위어사포(司圃), 별제(別提), 별검(別檢) | 관련어물선진상(物膳進上), 침장고(沈藏庫)
  • 별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정‧종8품 관직. [내용] 전설사(典設司)의 종8품, 빙고(氷庫)‧()의 정8품 또는 종8품의 벼슬인데 무록관(無祿官)이다. 전설사에 1인, 빙고에 2인, 에 1인을 두었다.
  • 공상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궁중에서 필요한 물자를 전담하여 공급하던 6개 왕실재정관서. [내용] 즉, 사재감(司宰監)‧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사도시(司䆃寺)‧의영고(義盈庫)‧()를 말한다. 사재감에서는 육류‧어물‧소금‧땔감 등을...

고서·고문서(6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30_018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수안군 소재 북칠방의 전 화속세를 수납하기 위해 도장 김완순을 보내니 전례에 따라 거두어 상납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성부 소관 사경둔 결가 1895, 1896년 양년 합계 233량 6전과 여화도 결가 1895, 1896년 양년 합계 1,300량 3전 6분을 양주군에서 추거하고 상납하지 않았으니, 즉시 담당 색리를 조사하고 독추하여 탁지부에 납부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1748년 윤덕희(尹德熙)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48년(英祖24) 11월 5일에 윤덕희를 조봉대부 행 별제에 임명한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1624년 안방준(安邦俊) 차첩(差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624년(인조2)8월 13일에 이조에서 임금의 명을 받들어 안방준을 별제(別提)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는 궁중의 밭이나 채소재배 등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다. 별제는 조선시대 종6품 참상관의 품계이다. 이는 조선 중기의...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주제어사전(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 소유의 원포와 채소재배 등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조선 궁궐의 밭과 채소경영을 관장. 관원으로는 제조 1인, 사포 1인, 별제 2인, 별검 2인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뒤에 사포와 별검은 없애고 별제도 1인을 감하였다. 1704년(숙종 30)

  • 별검 / 別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정·종8품 관직. 전설사(典設司)의 종8품, 빙고(氷庫)·()의 정8품 또는 종8품의 벼슬인데 무록관(無祿官)이다. 전설사에 1인, 빙고에 2인, 에 1인을 두었다. 빙고(氷庫)와 ()의 정8품직으로 무록관이다.

  • 사포 / 司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정6품 관직. 궁중의 원예·채소에 관한 직무를 맡았다. 1466년(세조 12) 관제를 갱정할 때 사포 1인을 두게 되었는데 1882년(고종 19)에 이르러 폐지되었다.

  • 이헌락 / 李憲洛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1748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강릉참봉이 되었다. 이후 평양봉사를 거쳐 의금부도사와 별제, 하양현감이 되었고, 1776년 익위사익위를 거쳐 상의원주부·함창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약남집》이 있다.

  • 별제 / 別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6품 관직. ≪경국대전≫에 의하면 호조·형조·소격서·교서관·도화서·전설사·전함사·전연사·사축서에 각각 2인, 상의원·군기시·내수사·빙고에 각각 1인, 예빈시·수성금화사·장원서·와서·에 각각 3인, 조지서·활인서에 각각 4인, 귀후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