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천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
사전(61)
- 추관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사천대(司天臺)의 종5품 관직. [내용] 천문(天文)ㆍ역수(曆數)ㆍ측후(測候) 및 각루(刻漏)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당시 사천대에는 춘관정(春官正)ㆍ하관정(夏官正)ㆍ추관정ㆍ동관정(冬官正) 등의 관직이 있었는데, 1047년(문종...
- 춘관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사천대(司天臺)의 종5품 관직. [내용] 천문(天文)ㆍ역수(曆數)ㆍ측후 및 각루(刻漏)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사천대에는 춘관정 외에 하관정(夏官正)ㆍ추관정(秋官正)ㆍ동관정(冬官正) 등의 관직이 있었는데, 1047년(문종 1)
- 하관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사천대(司天臺)의 종5품 관직. [내용] 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測候) 및 각루(刻漏)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당시 사천대에는 춘관정‧하관정‧추관정‧동관정 등의 관직이 있었는데, 1047년(문종 1) 3월에 있었던...
- 사천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천문관측을 담당하던 관서(官署). [내용] 천문관측 외 역법(曆法)ㆍ측후(測候)ㆍ각루(刻漏) 등의 일도 관장하였다. 천문관측은 군주로서 끊임없이 천문현상을 관찰하여 하늘의 의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선정(善政)을 베풀어야 한다는 ...
- 사천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원대의 대표적 천문 관측대정의중국 원대의 대표적 천문 관측대 | 문광부표기Sacheondae | MR표기Sach’ŏnd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29)
- 조선시대 역학서:1677_박통사언해(下)_ 브기 芒兒ㅣ라 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박통사언해 376 1677_박통사언해(下) 브기 芒兒ㅣ라 고 1677박통사언해下46b.jpg 브기 芒兒ㅣ라 고 牌예 句芒神이라 쓰고 손에 結線鞭을 잡고 머리예 耳掩을 쓰며 혹 손에 들고 셔셔 쇼 몰면 順天府官과 司天臺官 모든 官人들히편명1677_박통사언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77_박통사언해(下)_ 이리 隊 버러 가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박통사언해 376 1677_박통사언해(下) 이리 隊 버러 가 1677박통사언해下48a.jpg 이리 隊 버러 가 鼓樓 앏 니러 東을 향여 土牛 노코 芒兒ㅣ 뒤 셔셔 아 현 刻에 立春 다 면 司天臺家ㅣ 이리 여 定고 地脈을 相야 ...편명1677_박통사언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65_박통사신석언해(3)_두 大小 鬼卒이 로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여 土牛를 노코 芒兒ㅣ 뒤 셔셔 어 어 刻에 다라 立春홈을 기려 司天臺 곳 時辰을 報면편명1765_박통사신석언해(3)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금사_金史61 表3 交聘表中 (大定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178 중국 정사 금사 표 149 의종(毅宗) 23 1169 9 3 金史61 表3 交聘表中 (大定九年) 九月丙辰 以提點司天臺馬貴中為高麗生日使 사신왕래, 여진, 임금의례, 大定九年 九月丙辰은 고려 의종 23년(116...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의종(毅宗) 23
- 금녕(金寧)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306 B031306 금녕 金寧 경제산업 新增東國輿地勝覽 慶尙道 金海都護府 人物 ... 成呈其師師憮然曰不圖子之明達至此也自是不以弟子得之大曆中還國爲司天大愽士歷良康漠州太守 後爲執事侍郞 高麗許有全 元宗未登莴官至政丞駕洛君時忠宣王流吐蕃有全與閔漬等如元請召還有全時年八十一妻亦老病...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1930년대 국립사천대학과 ‘국가’ 상징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희신, 게재일 : 201131086 김희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연구소 2011 1930년대 국립사천대학과 ‘국가’ 상징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1
- 宋代年谱考论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홍택, 게재일 : 200615015 오홍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四川大学 . 文学与新闻学院 2006 宋代年谱考论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5)
- -(合資會社千代田農具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合資會社千代田農具部) 서울 - 合資會社千代田農具部 南大門通 5-59 기계기구 합자회사 농기구 소매 27.7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대표표제어-(合資會社千代田農具部)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농기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7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64, p.795. 四川大學圖書館 6.9.4B 高校古文獻資源庫(http://rbsc.calis.edu.cn:8086/aopac/jsp/indexXyjg.jsp)대표표제어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7 | 대표서명牧牛子修心訣 | 한글서명목우자수심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진심직설(眞心直說)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64, p.788. 四川大學圖書館 6.9.4B 《眞心直說序》;明成化己丑文定《重刻眞心直說序》 高校古文獻資源庫(http://rbsc.calis.edu.cn:8086/aopac/jsp/indexXyjg.jsp)대표표제어진심직설(眞心直說) 4 | 대표서명眞心直説 | 한글서명진심직설 | 서지형태형태서지
- 유가론기(瑜伽論記) 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線裝 30冊 T42, p.311. ; H2, p.400. ; X47, p.239. 四川大學圖書館 2.10.6A—2.10.6C 卷末鐫:民國十一年中秋金陵刻經處研究部識 (題跋印記)有“華西協合大學中國文化研究所圕”朱印、“1951華西大學護校委員會清點訖”藍印...대표표제어유가론기(瑜伽論記) 6 | 대표서명瑜伽論記 | 한글서명유가론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線裝 10卷11冊 19.0x12.7 X57, p.671. 四川大學圖書館 2.4.2C 清乾隆四十四[1779]性權原序;清嘉慶二十一年[1816]儀潤撰“輔宏記補訂序”;清嘉慶二十一年[1816]錢伊葊“輔宏記補訂”自叙;清光緒二十三年天台諦閑《新刻天台四敎儀...대표표제어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 대표서명天台四敎儀註彙補輔宏記 | 한글서명천태사교의주휘보보굉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1)
- 신라가 당에 김암을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국하여 사천대박사(司天大博士)가 되었고, 양주(良州)·강주(康州)·한주(漢州) 세 주(州)의 태수(太守)를 역임하고 다시 집사시랑(執事侍郞)과 패강진(浿江鎭) 두상(頭上)이 되었다. 가는 곳마다 마음을 다하여 백성들을] 어루만지고 사랑하였으며, 봄부터 가을까지 농사짓는...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김암을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9년(己未/신라 혜공왕 15/발해 문왕 43, 大興 43/唐 大曆 14/日本 寶龜 10)
주제어사전(4)
-
사천대 / 司天臺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천문관측을 담당하던 관사. 천문관측 외 역법·측후·각루 등의 일도 관장하였다. 국초의 제도가 언제부터인지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976년(경종 1) 11월 이전 사천원제도가 있었던 것을 비롯하여, ≪고려사≫ 식화지 전시과 기사의 목종 원년(998) 개정전시
-
복박사 / 卜博士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시대 천문을 관측하던 관직. 복박사는 사천대(司天臺)에 소속되었는데, 이는 천문·역수·측후·물시계 측정 등의 일을 담당하였던 관청이었다. 사천대는 초기에는 태복감(太卜監)이라 칭하였는데, 말기에 서운관(書雲觀)이라 개칭하였다.
-
서운관 / 書雲觀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기상관측 등을 관장하던 관서. 천변지이를 관측, 기록하고, 역서를 편찬하며, 절기와 날씨를 측정하고, 시간을 관장하던 곳이다. 고려시대는 태복감(太卜監)·사천대(司天臺)·사천감(司天監)·관후서(觀候署) 등의 명칭으로 바뀌어오다가 1308년(
-
복령사 / 福靈寺 [문학/한문학]
, 천불상 모두가 서축에서 온 것이지(伽籃却是新羅舊 千佛皆從西竺來).”는 복령사의 유래나 모셔 놓은 것들이 모두 대단함을 나타내었다. 「복령사」 둘째 연에서는 “예로부터 신인은 대외에서 길을 헤매었고, 지금까지 복지는 천태산 흡사하구나(終古神人迷大隗 至今福地似天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