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직” 에 대한 검색결과 8,8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37)

사전(3,466)

  • 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 에 있는 단. [내용] 1394년(태조 3) 무렵에 서울에 단(壇)이 세워짐에따라 전국의 주(州)ㆍ부(府)ㆍ군(郡)ㆍ현(縣)에도 단을 세우게 되었는...
    연계항목남원사직단(南原社稷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壇)을 만들어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왔다. 국토 없는 나라는 있을 수 없으며 곡식없는 경제는 파탄한다. 또한 백성은 땅없이 하루도 살 수 없고, 곡식이 없으면 굶어죽게 마련이다. 이와 같이 국가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으며, 또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고조사나 회계장부 따위를 맡았던 듯하다. 759년(경덕왕 18) 정월 서생을 중국식 명칭인 으로 고쳤으나, 경덕왕의 이른바 한화정책(漢化政策)이 실패로 돌아간 뒤인 776년(혜공왕 12) 정월 본래의 명칭으로 복구되었다. 조위(造位, 일명 先沮...
    이칭별칭서생(書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오위(五衛)의 정5품 관직. [내용] 고려시대 영(領)의 부지휘관으로 정5품의 중낭장(中郎將)이 있었는데, 그것이 조선 건국 초의 10위 50령제도(十衛五十領制度) 가운데 계속 지속되다가 1394년(태조 3) 으로 개칭되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과 중국에서 국토와 곡식의 번창을 기원하는 제사 또는 그 장소.
    정의한국과 중국에서 국토와 곡식의 번창을 기원하는 제사 또는 그 장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jik | MR표기saj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행사 1) 왕실의 천지제사 [왕실의 행사 | 단국대학교]
    저자 : 김문식(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송지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박례경(규장...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0.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후기의 제천례 (6) 대한제국의 제천례 (7) 환구제의 악.가.무 (8) 제천례 참여자의 복식 (9) 환구제 복원과 현대적 의미 2. 제, 국토와 오곡의 신을

논문(1)

고서·고문서(3,301)

  • 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七 樂章 樂章 정인지(鄭麟趾) 11 樂譜 / 樂章 / 樂章 / 奠幣 應鐘宮 ◎ 奠幣 應鐘宮 至哉坤元克配彼天含弘光大萬物載焉惟恭奉幣式禮莫愆降福簡簡於萬斯年 樂譜 / 樂章 / 樂章 / 酌獻 應鐘宮 ◎ 酌獻 應鐘宮 坤厚...
    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4524 P-SDK-04524-P-M-16-04 P-SDK-04524-P-M-16-04-1 P-SDK-04524-P-M-16-04-2 공원 Shashokudan Park Keijo 조선 시대 단의 모습 관광의 경성 봉투 있음. 16...
    자료명사직공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4543 P-SDK-04543-P-E-15-06 P-SDK-04543-P-E-15-06-1 P-SDK-04543-P-E-15-06-2 공원 Shashokudan Park Keijo 조선 시대 단의 모습 관광의 경성 봉투 있음. 세트...
    자료명사직공원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농설》은 1429년(세종 11)에 세종의 명령으로 정초(鄭招), 변효문(卞孝文) 등이 제작한 농서(農書)이다. 내용은 곡식 종자의 선택과 저장, 논밭갈이, 벼를 비롯한 기장∙조∙수수∙콩∙팥∙녹두∙보리∙밀 등의 잡곡의 재배, 삼[麻]의 파종과 재배 등이 서술되어
    저자정초(鄭招), 변효문(卞孝文) | 간행시기1429년(세종 11) | 판본형태1책(40장)
  • 29621 B029621 구 인물 大東地誌 권5 경상도 固城 典故 ... 見乃梁賊舡蔽海而來舜臣令諸將誘賊至閑山島前洋還軍促戰鏖盡賊舡七十餘艘又逆援兵于安骨浦敗之賊登岸而走燒其舡四十艘倭中傳言閑山之戰倭兵死者九千人云 時嶺南諸鎭盡潰李舜臣與魚泳潭申汝良具及李億祺領戰舡八十...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3)

  • 고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경로당에서 이재필 화자가 이야기를 잘 할것이라는 소리를 듣고, 이재필 화자의 집으로 찾아갔다. 대문 입구에 마련되어 있는 방으로 들어 가서 방문 목적을 이야기하자, 자신의 경력을 잠시 언급하고 마을과 관련되 지명 전설부터 들려주었다.
    조사일시2011.03.27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굴항 2길 79-24번지 | 제보자이재필
  • 당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산 고개 너머로 물길을 만든 물고개 이야기를 하고 난 뒤에 이어서 사적당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다. 손으로 글씨를 써서 보여 주기도 하고, 손 짓을 하면서 마을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설명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07.24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죽곡리 죽곡마을 | 제보자김명호(남,91세)
  • 짐승의 말을 알아듣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에 이어서 한 것인데 제보자는 이야기를 빨라하고 면에 가야 한다면 <page id="723"></page> 서 초조해 했다.*
    조사일시1982-08-06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산성면 | 제보자최경태
  • 김죽파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가야금산조 김죽파 김난초 김창조 산조 1986-03-07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 19:00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죽파
  • 김죽파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창조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산조 김죽파 김난초 김창조 산조 1986-03-07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 196번지 32:23 32:47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죽파

기초학문(3)

  • 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11
    46448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11 상소문의 문학적 연구를 위한 일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803년(순조 3) 樂器庫 화재와 1804년《樂器造成廳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3
    13394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03년(순조 3) 樂器庫 화재와 1804년《樂器造成廳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여름철 사무실 환경에서 원적외선 방물 의복의 착용감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보현, 게재일 : 1997
    00177 장보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생활환경학회 1997 여름철 사무실 환경에서 원적외선 방물 의복의 착용감 평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1997

신문·잡지(1,458)

  • 內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협판 유셩쥰씨 작일에 상쇼를 봉뎡고 진시무치 안다 그리허 일젼 각에셔 관찰△를 부젼고쇼에 통긔도 업시임면 이라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咸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남도 관찰 류셰남씨난 작일에 상소를 봉뎡얏다 그용인즉 류씨 부차관을 피임고 부차관유셩쥰씨 학부차관으로 젼임되고 학부차관 리규환씨 어관찰를 피임다난 풍셜이잇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農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기 김동완씨 무삼이잇지 쳥원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閔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 학무과장 민건식씨 무삼층졀이 잇지 신병이 잇다칭고 쳥원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權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경무관 권봉슈씨난 박동보셩학교장으로 교육에젼력기위야 경무관을 쳥원면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7)

  • 대구 노변동 단유적 bb6-0071_#1 유구 대구 노변동 단유적 전경 2014-12-22_8.567446E-02_대구 노변동 단유적 전경.jpg bb6-0071_#3 유구 대구 노변동 단유적 사적단지 2014-12
    제목대구 노변동 사직단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18세기 중반 단 방위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통계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단 치소 기준 방위 패턴 없음 여지도서 없음 문화_035_18세기_중반_단_방위
    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단 거리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통계도 단계구분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단 치소로부터의 거리/quantile 후 조정 없음 여지도서 없음 문화_038_18세
    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서울의 하루 1 – 서울의 역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서울의 도시 역사에 대하여 서울시 내외에 실제로 남아있는 고전 건축물을 중심으로 보여주는 영상.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계획 하에 건축된 서울을 둘러싼 성곽의 모습, 시내에 위치한 4곳의 궁궐과 종묘, 단, 성균관, 청계천의 현재 모습이 등장한다. 각 건축물의 유래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7년 | 제작영진 푸로덕숀
  • 제천 하소동 아파트 신축부지내 제천 하소동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6031_1호 토광묘 실측도.jpg h2-0010_#3 유구 추정지 실측도 2013-09-22_0.137417_추정지 실측도.jpg h2-0010_#4 유구 1호 수혈유구 2013-09-22_0.4282343_1호 수혈유구.j
    제목제천 하소동 아파트 신축부지내 제천 하소동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87)

  • ;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463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51면 엄;嚴 평북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68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51면 엄;嚴 평북 제12회 193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074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28면 - 권;權 경북 9 1936년 3월 7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5492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4면 1. 졸업생 177명(과별) 박;朴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669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326면 박;朴 조선 1927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8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오위의 정5품 관직. 고려시대 영(領)의 부지휘관으로 정5품의 중낭장(中郎將)이 있었는데, 그것이 조선 건국 초의 10위 50령제도 가운데 계속 지속되다가 1394년(태조 3) 으로 개칭되었다.

  • 설 / 農 [경제·산업/산업]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1책. 1429년(세종 11)에 관찬(官撰:정부에서 편찬한 책)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부·군·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

  • / 副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5품 관직. 태종 초에는 섭(攝)이라 하였으나 오위체제가 갖추어지면서 1467년(세조 13)에 종5품 부으로 개칭되어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123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하게 되자 그 수가 102인으로

  • 공원 / 公園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에 있는 공원. 면적은 168,000㎡이다. 조선왕조 단(사적 제121호)이 보호되어 있는 곳으로, 1395년 조선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한 뒤 가장 먼저 조영하게 한 것이 종묘와 단이었다 한다. 가운데 2좌의 단을 두고 넓은 뜰을 가꾸

  • 서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단과 그 토담의 청소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1426년(세종 8) 서로 개칭하고 승(종7품) 1인, 녹사(종9품) 2인을 두었다. 1451년(문종 1) 실안제조(實案提調)와 제조 각각 1인씩을 설치하였다. 1466년(세조 12) 승 대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