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7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544)
사전(4,610)
- 후송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사정(金士貞)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후손 기선(驥善)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희발(李羲發)의 서문이, 권말에 기선‧이돈우(李敦禹)‧이만운(李晩運) 등의 발문이 있다...
- 邪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0_J_0007 邪正 정치(기타) 陛下, 聖學, 理會, 正人, 朝廷, 人君, 天下治平, 邪人, 不安之象, 一人便能, 上下蒙蔽, 人主, 釀成, 禍患, 經歷之言, 朝廷安危, 治亂, 一人之進退, 世道 王巖叟 J_03_01_06 지봉유설 3권...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3권 1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司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590 司正 관직 官制, 肅政臺 新羅 史註 D_17_02_23 대동운부군옥 17권 2장 2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활을 쏘는 장소인 활터.‘사장(射場)’이라고도 한다. [내용] 관설사정(官設射亭)과 민간사정(民間射亭)이 있다. 고려 선종 8년(1091) 호부남랑(戶部南廊)에 사장이 설치되어 군졸과 일반 백성들이 습사(習射:활쏘기를 익히는 것)할 수...
- 사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5위(五衛)의 정7품 관직. [내용] 관계상(官階上)으로는 적순부위(迪順副尉)라 별칭되었다.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별장(別將, 정7품)이라 하였으나 1394년(태조 3) 2월 사정으로 바뀌고, 1466년(세조 12) 1월 정식으...이칭별칭적순부위
단행본(3)
- 고종의 인사정책과 리더십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저자 : 장영숙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01021역사의 전환점마다 고종은 현실회피적 인내와 방관자적 모습을 보였다. 여러 차례 왕권의 위기를 겪는 속에서 가까스로 전제군주권을 회복하긴 했으나 변화를 요구하는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채 독단적인 군주의 길을 걸었다. 빠르고 정확한 판단력과 강력한 결단력을 요구하는, ...
- 식민지 조선의 감옥 [식민지조선의 감옥 | 연세대학교]저자 : 이종민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406식민지조선의 감옥 이 책은 한국의 사법권과 감옥이 일본 정부에 의해 장악되면서 일어난 형사처벌 상의 큰 변화를 동북아 지형 안에서 일본, 대만, 관동주, 만주 등의 상황과 비교 고찰하고 식민지 조선의 감옥제도와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통감부 시기...
- 한국 정치의 이해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전동진(신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박정희 및 전두환 군사정권 (1)박정희 정권(1961-1979) (2)전두환 정권(1980-1988) 제5장.한국정치의 역사적 전개(3) : '민주화 선언'이후의 정부들 (1)노태
논문(3)
- 《苦難的年代》之歷史敘事初探:中國朝鮮族形成史的還原、誤讀與重建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이해영 | 게재정보 : 동강학간유형논문
- 유신체제(1972-1979) 하 ‘좌익수’ 전향정책의 역사정치적 성격 [한국의 사상통제 | 성공회대학교]저자 : 김동춘 | 게재정보 : 사회와 역사
- 유신체제(1972-1979) 하 ‘좌익수’ 전향정책의 역사정치적 성격 [한국의 사상통제 | 성공회대학교]저자 : 김동춘 | 게재정보 : 사회와 역사
고서·고문서(17,651)
- 사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정 류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해림현(海林县) 산시향(山市乡) 3 1 사정, 자연변화, 사람들, 자극, 추운겨울, 해...대표표제어사정 | 성씨류
- 사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정 변 남자 충청북도 청주시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농업과학연구소 4 3 사정, 고국여러분, 노...대표표제어사정 | 성씨변
- 사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정 윤 여자 길림성(吉林省) 서란현(舒兰县) 평안진(平安镇) 길림성 서란현 평안진 2 2 사정, 어머님, 손목, 뿌...대표표제어사정 | 성씨윤
- 사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정 문 여자 경상북도 군위군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磐石县) 명성진(明城镇) 홍광촌 2 2 사정, 도와, 신...대표표제어사정 | 성씨문
- 사정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사정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동녕현(东宁县) 대두천공사 랑동구대대 5 5 사정, 변명, 필, 요청,대표표제어사정 | 성씨김
구술자료(122)
- 사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금남 이야기를 마치고 인재는 나라에서 써야 한다고 얘기하면서 말을 마치고 누군가는 모르나 들었던 이야기라며 계속 이어서 해 주었다. *조사일시1982-01-14 | 조사장소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 진원리 | 제보자변기섭
- 마을의 사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82-07-21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 제보자정홍락
- 사정승 날 묘자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가 앞서 이야기를 마치자 조사자가 묘자리에 대해 물으니 들은 이야기라며 구연하기 시작했다.조사일시2009.02.20 | 조사장소구례군 구례읍 봉서리 동산마을 1573번지 동산마을회관 | 제보자정원봉(남, 83세)
- 활터가 있었던 팔덕면 용산리 사정마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1월 11일(화) | 조사장소순창군 순창읍 교성리 134번지 | 제보자강병문
- 충청남도 논산시_논매기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076 충남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논산시_논매기소리 논매기소리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사정리 1989.1.20 素89-1-20①B 문무중 문무중(1925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메김 가사 이리 매구 저리 매구 (논산녹음지역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사정리 | 녹음날짜1989.1.20
기초학문(150)
- 가상범죄에 관한 형사정책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정훈, 게재일 : 201120586 이정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형사정책학회/한국형사정책학회 2011 가상범죄에 관한 형사정책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국군사정권시대의 대일언론공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미야타 히로토, 게재일 : 200713998 미야타 히로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5ㆍ18연구소, 민주인권평화센터, 전남대 언론홍보연구소, 일본문화연구센터 2007 한국군사정권시대의 대일언론공작 https://www.krm.or.kr/krmts/link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사정에 의해 확정된 토지소유권의 성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우석, 게재일 : 200722734 이우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사학회 2007 사정에 의해 확정된 토지소유권의 성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사정변경법리의 연혁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상현, 게재일 : 201129289 정상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소 2011 사정변경법리의 연혁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아동방임 사정 척도 개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황옥경, 게재일 : 200836612 황옥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아동방임 사정 척도 개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532)
- 調查停止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황성신문 調查停止 1908년 10월31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국채보상금조사회 총회를 열고 조사를 정지하기로 가결 ...대표표제어調查停止 | 연월일1908년 10월31일 | 지역서울
- 大使停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보빙대로 부대신 리지용씨등을 특파다말은 임의긔 얏거니와 다시들은즉 일공의 권고가잇셔 도로뎡지가 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1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無舍停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독립관과 텬연졍에 거졉엿든 평양병뎡이 한셩부로 이졉지라 한셩 판소에셔는 거졉 쳐소가 업셔셔 몃날간은 송를 졍지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1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火事正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잡보란에 토졍김양졔집에 실화 김양졔가안이오 김양셔집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倘非私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금 각관찰도에 참셔관일인식 셜시난은 관찰의졍무를 협찬야 디방졍치를 량자 목뎍인즉 관찰와 참셔관이 그사안이면 협잡이층셩쳡츌터이라고들야부에셔각도참셔관을 극히챠야 셔임려난데 젼라북도 관찰 김규희씨가 작일 부에 젼왕야 도참셔관을 벽...게재일1906년 9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63)
- 기법원리를이해하고, 이를 현실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있다. 1주차. 어문 규범 소개 및 한글 맞춤법 총칙 2주차. 한글의 자모 3주차. 소리에 관한것,형태에 관한것 4주차. 형태에 관한 것 5주차. 형태에 관한것,기타 6주차. 표준어 규정(제정과정 및 표준어 사정 원강좌제목한국어 어문 규범 | 강의자이진호 교수
- 기법원리를이해하고, 이를 현실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있다. 1주차. 어문 규범 소개 및 한글 맞춤법 총칙 2주차. 한글의 자모 3주차. 소리에 관한것,형태에 관한것 4주차. 형태에 관한 것 5주차. 형태에 관한것,기타 6주차. 표준어 규정(제정과정 및 표준어 사정 원강좌제목한국어 어문 규범 | 강의자이진호 교수
- 기법원리를이해하고, 이를 현실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있다. 1주차. 어문 규범 소개 및 한글 맞춤법 총칙 2주차. 한글의 자모 3주차. 소리에 관한것,형태에 관한것 4주차. 형태에 관한 것 5주차. 형태에 관한것,기타 6주차. 표준어 규정(제정과정 및 표준어 사정 원강좌제목한국어 어문 규범 | 강의자이진호 교수
- 기법원리를이해하고, 이를 현실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있다. 1주차. 어문 규범 소개 및 한글 맞춤법 총칙 2주차. 한글의 자모 3주차. 소리에 관한것,형태에 관한것 4주차. 형태에 관한 것 5주차. 형태에 관한것,기타 6주차. 표준어 규정(제정과정 및 표준어 사정 원강좌제목한국어 어문 규범 | 강의자이진호 교수
- 기법원리를이해하고, 이를 현실언어 생활에 적용할 수있다. 1주차. 어문 규범 소개 및 한글 맞춤법 총칙 2주차. 한글의 자모 3주차. 소리에 관한것,형태에 관한것 4주차. 형태에 관한 것 5주차. 형태에 관한것,기타 6주차. 표준어 규정(제정과정 및 표준어 사정 원강좌제목한국어 어문 규범 | 강의자이진호 교수
기타자료(1,410)
- 최사정;崔士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549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7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3) 제3회(1935년) 최사정;崔士楨 咸興府3정목 55...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사정;李思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673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4면 이사정;李思正 경성부 종로5정목 105 제4회 192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사정;李思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0603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5면 1. 본년도 회원 씨명;5학년 을반 이사정;李思正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사정순;史正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435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88면 1. 숭전·숭실 졸업생;6) 사行部 사정순;史正淳 강서군 반석면 반육리 624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금연사정;金延思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8292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19면 - 금연사정;金延思正 1943년 3월 1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1)
-
일제 강점기 이왕가(李王家)의 종묘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욱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한국현대사와 군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정용욱 | 서울대학교 | 2015 | 국내 | 서울
-
고종의 국정운영과 리더십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영숙 |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 2014 | 국내 | 충남
-
제 5 공화국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강원택 | 서울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협의회: 한국학 연구 장기 발전 전략의 공유와 협력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안종철 | Eberhard - Karls - University Tuebingen | 2016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63)
-
사정 / 射亭 [예술·체육/체육]
활을 쏘는 장소인 활터. 관설사정과 민간사정이 있다. 고려 선종 8년(1091) 호부남랑에 사장이 설치되어 군졸과 일반 백성들이 습사할 수 있게 하였다. 이것이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립한 시초이다. 조선 태조는 서울을 한양으로 옮기고 도성 동편에 교장인 훈련원을
-
사정 / 司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5위의 정7품 관직. 고려 말 조선 초에는 별장(別將, 정7품)이라 하였으나 1394년(태조 3) 2월 사정으로 바뀌고, 1466년(세조 12) 1월 정식으로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
김사정 / 金士貞 [종교·철학/유학]
1552(명종 7)∼1620(광해군 12). 조선 후기의 의병장·학자. 아버지는 김세우. 어머니는 김만겸의 딸이다. 이황을 사숙하였다. 1592년(선조 25) 왜적이 침략하자 의병을 일으켜 적을 무찌르고 홍의장군 곽재우의 휘하에 들어가 화왕산성에서 적과 싸워 여러 번
-
부사정 / 副司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7품 관직. 초기에는 섭사정(攝司正)이라 하였으나 1466년(세조 12) 1월에 종7품의 부사정으로 변개하여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경국대전≫ 당시의 정원은 309인이었으나 후기에 오위의 기능이 유명무실화되면서 그 수도 250인으로 감해졌으
-
사정처 / 奢井處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지역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처(處). 문헌상에는 수원부의 남쪽 5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초기 수원에는 7개의 부곡(部曲)과 3개의 향(鄕), 8개의 처, 3개의 장(莊)이 있었다. 19세기 말 그 중 8개가 없어졌으나 사정처는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