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전총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사전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례서례(國朝五禮序禮)』 ‘병기도설조(兵器圖說條)’에도 사전총통‧사전장총통‧삼총통‧팔전총통 등이 있는데, 최초에는 실탄보다는 주로 화살을 사용하였다. 청동제이며 통신(筒身)과 약실(藥室), 자루로 구성되었다. 총구연에는 대선(帶線)을 둘렀고, 총신에는 죽절(竹節...
- 총통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51년(문종 1)에 만들어진 화차 위에 사용하던 발사용 무기. [내용] 문종에 의하여 창안되었으며, 화차(火車)의 수레 위에 사전총통(四箭銃筒) 50개로 구성되어 있다. 5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층은 사전총통 10개씩으로 조립되...
- 차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세종 때 개발하였던 화기인 사전총통(四箭銃筒)‧팔전총통(八箭銃筒)‧세총통(細銃筒)에 사용하던 화살. [내용] 세전과 모양과 길이는 같으나 굵기가 조금 가는 대나무 화살로, 세종 말엽(1448)에 그 규격과 제도가 확정되어 총통에서
- 세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세종 때 개발된 화약병기인 사전총통(四箭銃筒)‧팔전총통(八箭銃筒)에 사용되었던 화살. [내용] 세장전(細長箭)보다 짧고 차세전(次細箭)보다 화살대의 굵기가 굵다. 화살은 대나무로 만들며, 길이는 6촌3분(193.0㎜), 둘레는 8분...
- 삼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총통(四箭銃筒)‧팔전총통(八箭銃筒)‧이총통(二銃筒)과 함께 창제되어 북방경비 및 실전에 널리 활용된 바 있으며, 『국조오례의』 삼총통조에 의하면 이 총통은 나무로 만든 차중전(次中箭)을 발사하게 되어 있다. 『세종실록(世宗實錄)』 『국조...
주제어사전(1)
-
사전총통 / 四箭銃筒 [과학/과학기술]
圖說條)’에도 사전총통·사전장총통·삼총통·팔전총통 등이 있는데, 최초에는 실탄보다는 주로 화살을 사용하였다. 청동제이며 통신(筒身)과 약실(藥室), 자루로 구성되었다. 총구연에는 대선(帶線)을 둘렀고, 총신에는 죽절(竹節)이 있으며, 약실은 총신보다 중후하게 주조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