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재감” 에 대한 검색결과 6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8)

사전(2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어량(魚梁)‧산택(山澤)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내용] 고려 문종 때 으로 관제를 정해 판사(判事, 정3품)‧경(卿, 종3품) 1인, 소경(少卿, 종4품) 1인, 승(丞, 종6품) 2인, 주부(...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사수감(司水監), 사수색(司水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392년(태조 즉위) 1882년(고종 19) ...
    상위어호조(戶曹), 정삼품(正三品) 아문(衙門) | 관련어사수감(司水監), 사수색(司水色)
  • 공인(貢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인 공인 貢人 공인(貢人) (), 공물아문(貢物衙門), 각사자판(各司自辦), 대동법(大同法) 경제재정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최주희 대동법 시행 이후 갑오개혁...
    상위어공인(貢人) | 관련어사재감(司宰監), 공물아문(貢物衙門), 각사자판(各司自辦), 대동법(大同法)
  • 의염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가치는 은(銀) 1근에 64석, 포(布) 1필에 2석이었다. 공민왕 때 민부에서 독립시켜, 관원으로 종7품의 승(丞) 1인, 종8품의 주부 1인을 두었다. 조선을 세운 태조도 의염창을 계속 운영하다가, 1394년 그 업무를 ()에 이관하고 혁파하였다. ...
  • 전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2년(태조 1) 사수감(司水監)을 설치하여 전함의 수리 및 운수에 관한 일을 감독하게 하였는데 1403년(태종 3) 관제개편으로 ()에 병합되고, 다시 1432년(세종 14) 병선건조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사수색(司水色)으로 부활되었고, 1436년 수성전선색...

고서·고문서(298)

  • 京畿道庄土文績_제70책(1) : 京畿道陽川郡南山面所在庄土白樂璇提出圖書文績類 1. 請願書 北部順化坊上牌契間洞六十二統一戶白樂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16876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70책(1) : 京畿道陽川郡南山面所在庄土白樂璇提出圖書文績類 70(1)-001 1. 請願書 北部順化坊上牌契間洞六十二統一戶白樂璇 청원서 1 41x59.8 한지, 관인 무, 各宮事務整理所에...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40829 B040829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19年 4月 30日_015 ○金光世, 以禮曹言啓曰, 上年二月初三日藥房入診, 北道監賑御史洪啓禧同爲入侍時, 北道所納, 白大口。 今年則折半許減, 而各殿供上之數, 亦令減半進排, 可也事, 命下矣。 卽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952 B040952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江原道邑誌 杆城郡邑誌 杆城郡 貢案 田稅大略與他邑同故不載淸蜜奉常寺禮賓寺法油義興庫黃蜜奉常寺典醫監義興庫川椒內贍寺末醬禮賓寺蕎麥米中脯奉常寺小脯乾文魚乾大口魚乾紅蛤圓全鰒乾連魚乾猪乾獐栢子生梨掌苑署芝艸五味子紅花濟用監人蔘...
    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809 B040809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19年 4月 30日_015 ○金光世, 以禮曹言啓曰, 上年二月初三日藥房入診, 北道監賑御史洪啓禧同爲入侍時, 北道所納, 白大口。 今年則折半許減, 而各殿供上之數, 亦令減半進排, 可也事, 命下矣。 卽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664 B018664 건홍합 乾紅蛤 수산물 江原道邑誌 杆城郡邑誌 杆城郡 貢案 田稅大略與他邑同故不載淸蜜奉常寺禮賓寺法油義興庫黃蜜奉常寺典醫監義興庫川椒內贍寺末醬禮賓寺蕎麥米中脯奉常寺小脯乾文魚乾大口魚乾紅蛤圓全鰒乾連魚乾猪乾獐栢子生梨掌苑署芝艸五味子紅花濟用監人蔘司...
    출처전거江原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4)

  •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니知舊間 諒悉시오 朴暻模 告白
    게재일1900년 12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니知舊間 諒悉시오 朴暻模 告白
    게재일1900년 12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北署前居幼學朴龍桓名字를改以暻模오니知舊間 諒悉시오 朴暻模 告白
    게재일1900년 12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경근 김만길 리금용 이상각二十錢식 合二十二人 合五圓四十錢 北셔北壯동前會同 김죵은 二圜 신셕규 죠챵희 안긔현 이상각一圓식 리경원 양쥰식 리진 김슌일 이상각六十錢식 안운션 안흥션 졍명원 졍셕환 이상각一圜식 변쟝환 김진영 리죵 뎐승현 이상각六十錢식 김션유 四十錢...
    게재일1907년 3월 8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19)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어량·산택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고려 문종 때 으로 관제를 정해 판사(정3품)·경(종3품) 1인, 소경(종4품) 1인, 승(종6품) 2인, 주부(종7품) 2인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사진감에서 사재시로 개칭,

  • 윤명운 / 尹明運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비경이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 때 스승 송시열을 변호하다가 해미에 유배되고, 1694년 갑술옥사 때 풀려나와 선릉참봉을 역임하였으며, 첨정이 되었다.

  • 곽순 / 郭珣 [종교·철학/유학]

    1502(연산군 8)∼1545(명종 즉위년). 조선 중기의 문신. 곽성기 증손, 할아버지는 곽효원, 아버지는 첨정 곽수녕, 어머니는 충순위 김철단의 딸이다. 1528년(중종 2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박사·호조좌랑·진보현감·기주관 등을 거쳐, 15

  • 이숭원 / 李崇元 [종교·철학/유학]

    1428(세종 10)∼1491(성종 22). 조선 전기의 문신. 양 증손, 할아버지는 백겸, 아버지는 보정, 어머니는 이숙의 딸이다. 1453년(단종 1) 증광문과에 장원하여 주부,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형조정랑, 이조정랑, 평안도관찰사, 우참찬, 좌참찬,

  • 전선색 / 典船色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세조 때 군선과 조선을 관장하였던 관서. 조선 초기에 선박을 관리하는 기관을 처음에는 사수감이라 하였다가 ·사수색·수성전선색·전함사 등으로 명칭이 바뀌고, 1461년(세조 7)에는 한때 전선색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으로는 조운을 관장하는 수운판관 2인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