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인” 에 대한 검색결과 13,9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777)

사전(4,000)

  • TD_E5_D_0147 정치사건 漢官, 臭味, 離叛 河南, 唐, 百濟 高宗, 蘇定方 濟史 D_08_03_06 대동운부군옥 8권 3장 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3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합문(閤門), 동궁관(東宮官) 등에 설치되어 있던 종4품 관직.
    정의고려시대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합문(閤門), 동궁관(東宮官) 등에 설치되어 있던 종4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in | MR표기sa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전국시대 및 한(漢)나라 초기에 왕과 귀족을 가까이서 모시던 관원.
    정의중국 전국시대 및 한(漢)나라 초기에 왕과 귀족을 가까이서 모시던 관원.[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ain | MR표기sai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0_O_0021 학문 기타 蛢油, 文房家, 圖章癖, 印石, 印色, 印譜, 印色法, 印油, 蓖蔴油, 菜油, 雞油, 鯪鯉油, 穿山甲油, 芝泥法, 杭蛢油法 宋宣和之世 方宓山以智 物理小識 O_20_01_05 오주연문장전산고 20권...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0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5_S_0045 인간관계 翼爲明聽, 踈附, 奔奏, 先後, 禦侮 禹, 舜, 文王, 孟懿子, 夫子, 回, 賜, 師, 由 尚書大傳 S_23_01_68 성호사설 23권 1장 68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3권 1장 6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3)

  • 한국 전통과학의 배경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
    저자 : 김영식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10319
    한국 전통과학의 형성ㆍ변화ㆍ발전과 사상적ㆍ사회적 요소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다 한국 전통과학과 관련하여, 이른바 과학의 ‘배경’이 과학에 영향을 미치거나 ‘배경’의 변화가 과학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한 것은 아니다. ‘배경’과 과학은 상호작용했으며, 거꾸로 과학이 ‘배...
  •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새로운 재일코리안상(像)의 정립- | 청암대학교]
    저자 : 정희선외 ... | 출판사 : 도서출판선인 | 출판일 : 20180630
    유형단행본
    본 연구에서는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이 각각의 개별적 시대적 조건, 그리고 역사적 사회적 맥락과 작용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확장되며 나아가 변용되는 일련의 양상을 심도 있게 재조명하고, 재평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더...
  • 식으로 읽는 고조선사-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 한국교원대학교]
    저자 : 송호정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고조선의 시조인 단군은 고조선의 등장 시기에 대한 관심과 연결되어 시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인식되었다. 단군은 우리 역사를 통해 각 시기마다 새롭게 재인식되면서 민족의 상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되풀이해왔다. 고려조선 시대 이래 국조로서의 단군 인식이 정립된 후, 일제 ...

논문(8)

고서·고문서(7,82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손 남자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长春市) 길림성 장춘시 5 3 , 담화, 개혁개방, 호소, 중국, 호응, 무덤,...
    대표표제어사인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감사 김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부특하기(布特哈旗) 알수없음 성길사한 조중 4 2 감사, 저의처이모...
    대표표제어감사인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감사 리 남자 경상북도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허평구(和平区) 태원가 13리 7호 3 3 감사,
    대표표제어감사인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감사 강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서안구(西安区) 2 1 감사, 드리는, 오늘에, 몇십년, 끈...
    대표표제어감사인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공장 김 남자 함경남도 함흥시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도문시(图们市) 신화2위 3-4호 ...
    대표표제어사인공장 | 성씨

구술자료(74)

  • 오성의 조곡 의리부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들이 오성과 한음에 대한 일화를 둘려주자, 문득 이 얘기가 생각난 듯 했다. 항간에 떠돌아 다니는 이야기는 대부분 오성, 한음 그리고 박문수에 관한 이야기들이라고 하기도 했다. *
    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무을면 | 제보자김기인
  • 03_049 충북 충청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_방하요 방하요 방아소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암리 1988.6.21 素88-6-21A 오석근 오석근(1913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짧은 방아 멕받형(선후창) 에헤루 방하요 이논 저논 가지말고 도미솔라
    녹음지역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인암리 | 녹음날짜1988.6.21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제주 성주굿 공연녹음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제주 성주굿의 해설과 초감제, 날과 국섬김, 군문열림 등이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제주 성주굿 초감제 날과 국섬김 군문열림 무양창보 무안 무속음악 1980-08-21 제주도 제주시 용담동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사인
  • 충청 20180403_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문화동 천안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조사자는 천안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이중언어강사를 하는 유연씨와 함께 4명의 중국 국적의 결혼이주여성을 만났다. 유연 씨를 포함하여 4명의 어머님들은 각각 1-2편의 중국 설화를 구술하였다. 그러나 이중언어강 유연 씨를 제외한 다른 결혼이주여성은 현재 한국어를
    제보자유연 [중국, 여, 1981년생, 결혼이주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제주 성주굿 공연녹음 ④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pdf I-489.jpg jpg I-489A.mp3 mp3 이보형 안 미상 남자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사인

기초학문(115)

  • 가산명가 불가산명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승관, 게재일 : 2011
    40988 양승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11 가산명가 불가산명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양화상과 최소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5850 한국연구재단 현대문법학회 2003 양화상과 최소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데이터베이스 개발사례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미, 게재일 : 2008
    22023 이경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학회 2008 데이터베이스 개발사례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9
    27194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학연구학회 2009 감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조직의 특성과 감사품질의 관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태범, 게재일 : 2012
    39827 정태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감 조직의 특성과 감사품질의 관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285)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도서 조사통계자료 중추원조사자료 조원 1910년 5월13일 개성 개성 개성군 상업회의소원 황석규를 비롯한 개성군 영급전(永給田) 조
    대표표제어조사인원 | 연월일1910년 5월13일 | 지역개성
  • 義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한셩판소에 슈사이 근 명인데 동셔 어의동거는 신태쥰씨가 무건으로 피슈얏든지 일젼에 방송야 나갓는데 쟝국밥 칠십여긔를 비야 죄슈를 먹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쥬군 산동면은 남쵸소산으로 각쳐에 슈 그셰랍은 남쵸일에 짐묵삭젼 이량과 고간셰일량이 뎡식이되얏더니 근에 무뢰들이 혹남쵸도고라칭며 혹남쵸려각이라 칭야 그뎡식삭젼과고간셰삼량외에엽젼 량식륵봉으로 상민들의칭원이 낭더니 무명잡셰를 툥금후로...
    게재일1906년 10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不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고문관 환산즁쥰씨가 경시춍감을 피임말은 이왕긔얏거니와 갈닌 경시춍감 구연슈씨가 그갈니든 쳥에 진야 이왕밀녀잇던 공문을 쳐판후에 즉시 나갈터인 참아 연연마암이잇셔 그리인지 인장궤를 압헤다가놋코 오 나아가지 안이지라 경시즁 모씨가 말기를 춍감...
    게재일1907년 8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군에 향쟝은 폐지고 군쥬셜시지라 부에셔 각군으로훈령야 향쟝이 거든 우쳬무 군쥬가 계속시무케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3)

  • 나주 비료공장 건설 조인식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월 31일 서독간의 나주 비료 공장 건설계약 조인식이 열렸다. 서독간의 협의는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김일환 상공부장관이 대표로 참석하여 협약서에 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8년 2월 5일 | 제작공보처
  • 풀브라이트 협정 체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0년 6월 30일 풀브라이트 협정이 체결되었다. 허정 외무부장관과 매카나기 주한미대사가 협정서에 을 한 후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로 악수를 나누는 한국 및 미국 인사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0년 6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펠레티에 두아지와 베쟁의 파리-도쿄 간 놀라운 탐험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공군 중위 조르주 펠레티에 두아지Georges Pelletier d'Oisy와 그의 정비 특무상사 베쟁Besin이 1924년 파리(1924년 4월 24일)에서 도쿄(1924년 6월 9일)까지 브레게Bréguet 전투기를 타고 비행한 기록과 방문한 도시들의 모습을
    자료구분유럽수집영상 | 제작년도1924년

연구결과보고서(2)

기타자료(464)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132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5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7) 제25회 116명(1929년 3월 졸업) 식;湜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54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35면 (27) 제25회 116명(1929년 3월 졸업) 식;湜 경성부 황금정3정목(三浦철공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069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45면 1. 동창회원록;11) 제11회 졸업생 1933년도 합계 59명 애;愛 평양부 신양리 169-...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린;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670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2호 1935―06―25 118면 홍사린;洪 충청북도 충주군 노은면사무소 제1회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사린;洪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5818 남한 충북 충주농업학교 2-53 교우회보 제3호 1936―10―30 116면 홍사린;洪 충청북도 충주군 노은면 수룡리;충주군 노은면사무소 제1회 1933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충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3)

주제어사전(15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정부 정4품의 관직. 정원은 2인이다. 하위의 검상(정5품)과 사록(정8품)을 지휘하면서 실무를 총괄하였다. 그 밖에 중요 국사에 왕명을 받아 삼의정의 의견을 수합하고 삼의정 또는 의정부당상의 뜻을 받들어 국왕에게 아뢰는 등 국왕과 의정부의 사이에서 중요한

  • 내사 / 內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내의성의 종4품 관직. 930년(태조 13) 내의성에 내의을 두었던 것이 982년(성종 1)에 삼성을 설치하면서 내의성은 내사성, 내의은 내사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061년(문종 15) 내사성이 중서성(中書省)으로 되면서 종4품의 중서으로

  • 내서 / 內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공민왕 때 도첨의부의 종4품 관직. 문종 때 관제에서 중서문하성의 중서이 1298년(충렬왕 24)에 일시 즉위한 충선왕의 관제개혁에서 도첨의(都僉議)으로 개칭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가 중서문하성으로 환원됨에 따라 다시

  • 문하 / 門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설치된 문하부의 종4품 관직. 정원은 1인이었다. 문종 관제에서의 중서(中書)의 후신이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중서이 도첨의(都僉議)으로 바뀌었다가, 1356년(공민왕 5) 다시 중서으로 환원되었고, 1362년 내

  • 여천 / 如天 [종교·철학]

    동학의 2대교주 최시형이 제시한 동학의 교리.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는 가르침이다. 최시형은 '도인의 집에 사람이 오거든 사람이 왔다고 하지 말고 하느님이 강림하였다고 말하라'라고 하였고, "아이를 때리는 것은 곧 하늘을 때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시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