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김익
- 정기안
- 사은사표배시권정례행례의
- 관압사
- 권돈인
연구성과물(802)
사전(625)
- 진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통 사은행(謝恩行)에 겸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은사와 동일하였다. 이 경우 사신은 정사‧부사‧서장관(書狀官) 등 34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 수행원을 합치면 모두 200∼300인이 되었다. 명대(明代)에는 해로와 육로가 모두 이용되었으나, 청대(淸代)에...
- 사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내용] 명ㆍ청이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파견하였다. 진하사(進賀使)ㆍ진위사(陳慰使)ㆍ주청사(奏請使...
- 사은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명(明)나라와 청(淸)나라가 은혜를 베풀었을 때 보내던 임시 사절.정의조선시대 명(明)나라와 청(淸)나라가 은혜를 베풀었을 때 보내던 임시 사절.[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aeunsa | MR표기saŭn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구압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편성되어 수행하였다. 사은사ㆍ진하사(陳賀使) 등 부정기 사행에는 1인이 압물관에 편성되어 수행하였다. 구압물을 비롯한 압물관은 모두 역관으로서 임명하였는데, 이는 현지에서의 물품거래와 역관들의 외국어 숙달을 위한 것이었다.
- 윤자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종 2)에 전라도암행어사로 출두하여 관기를 다스리고 잠시 의주부윤을 지냈다. 1868년 다시 상경하여 병조참판ㆍ사간원대사간ㆍ예조참판을 여러 차례 거듭 맡아보았고, 1874년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의 부사로 청나라에 사행하여 국제적인 정치...이칭별칭 중무(仲茂)
고서·고문서(159)
- 발해 사신 수복자(受福子)의 당 사은사(謝恩使) 파견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4-10-229 『冊府元龜』 卷971 外臣部 朝貢4 발해 발해 사신 수복자(受福子)의 당 사은사(謝恩使) 파견 739년 개원(開元) 27년 11410쪽 3851쪽 11242쪽 본 기사는 739년 발해가 사신 수복자(受福子)를 당에 사은사(謝恩使)로 내조했던 내용을권차『冊府元龜』 卷971 外臣部 朝貢4 | 연도739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739년 발해가 사신 수복자(受福子)를 당에 사은사(謝恩使)로 내조했던 내용을 전하는데, 이전의 다른 사서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 (撫寧縣), 遇回還謝恩使(丁公)、(姜公)、(李侯), 敍懷卽別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撫寧縣), 遇回還謝恩使(丁公)、(姜公)、(李侯), 敍懷卽別 01_090_070.jpg (撫寧縣), 遇回還謝恩使(丁公)、(姜公)、(李侯), 敍懷卽別 西行四千里, 擧目無相識。 回風起馬首, 但見塵沙撲。 有客自天來, 班荊手一握。 欣...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성절사(聖節使)겸 사은사(謝恩使) 행차가 출발하는 배표례(拜表禮)중국 황제에게 표문(表文)을 보낼 때 임금이 문무 백관을 거느리고 배송(拜送)하는 의식는 권정례(權停禮)임금이 참석하지 않고 권도(權道)대로 의식만을 거행하는 것로 행했는데, 상사(上使)는 이해(李瀣), 부사(副使)는 류진동(柳辰仝)이고, 서장관은 정유(鄭裕)이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1545_254_140 1545년4월 ○성절사(聖節使)겸 사은사(謝恩使) 행차가 출발하는 배표례(拜表禮)중국 황제에게 표문(表文)을 보낼 때 임금이 문무 백관을 거느리고 배송(拜送)하는 의식는 권정례(權停禮)임금이 참석하지 않고 권도(權道)대로 의식만을 거행하...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68_몽어유해(上)_閣老 閣老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몽어유해 101 1768_몽어유해(上) 閣老 閣老 1768몽어유해(상)028a.jpg 閣老 閣老 大臣 大臣 內大臣 內大臣 世臣 世臣 宰相 宰相 尙書 判書 侍郎 參判 官員 官員 使臣 使臣 老爺 老爺 冬大季 冬至使 謝恩使 謝恩使 文官 文官 武官 武官 功臣 功臣 元師 元...편명1768_몽어유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9378 B06937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7年 3月 23日_009 ○備邊司啓曰, 藤倭來到之事, 勅行旣已聞知而去, 謝恩使行之入也, 必有探問之事, 使行去時, 欲得其狀啓中要語謄出者, 以爲答問之地, 前日東萊府使狀啓中辭語, 拈出別紙, 書啓矣。 以此撥傳于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8)
- 신라가 당에 사은사(謝恩使)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당에 사은사(謝恩使)를 보내다 교류담당 647년(丁未/신라 선덕왕 16, 진덕왕 1 太和 1/고구려 보장왕 6/백제 義慈王7/唐 貞觀 21/倭 大化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은사(謝恩使)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47년(丁未/신라 선덕왕 16, 진덕왕 1 太和 1/고구려 보장왕 6/백제 義慈王7/唐 貞觀 21/倭 大化 3)
- 신라가 당에 사은사를 보내 표를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당에 사은사를 보내 표를 올리다 교류담당 654년(甲寅/신라 진덕왕 8, 태종무열왕 1/고구려 보장왕 13/백제 義慈王14/唐 永徽 5/倭 白雉 5)...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은사를 보내 표를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54년(甲寅/신라 진덕왕 8, 태종무열왕 1/고구려 보장왕 13/백제 義慈王14/唐 永徽 5/倭 白雉 5)
- 신라가 고려에 사은사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고려에 사은사를 보내다 교류담당 921년(辛巳/신라 경명왕 5/발해 애왕 21/후백제 견훤 22/고려 태조 4 天授 4/後梁 貞明 7, 龍德 1/日本...대표표제어신라가 고려에 사은사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21년(辛巳/신라 경명왕 5/발해 애왕 21/후백제 견훤 22/고려 태조 4 天授 4/後梁 貞明 7, 龍德 1/日本 延喜 21)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교류담당 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신라 신라→당 【번...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교역물품 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신라 신라→당 【번...대표표제어신라가 지렴을 당에 사은사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3년(癸酉/신라 성덕왕 32/발해 무왕 仁安 15/唐 開元 21/일본天平 5)
주제어사전(21)
-
사은사 / 謝恩使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 명·청이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파견하였다. 수시로 보내던 임시사절 가운데 하나였다. 사행의 구성은 주청사·진하사·변무사와 같았
-
사은사표배시권정례행례의 / 謝恩使表拜時權停例行禮儀 [정치·법제]
사은사가 중국에 보낼 외교문서인 표문을 가지고 떠날 때 행하는 권정례(權停例)의 절차를 기록한 문서. 권정례는 임금이나 세자의 참석이 없더라도 권도로 의식을 거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1784년(정조 8)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
권돈인 / 權敦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서화가(1783∼1859). 동지사의 서장관과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이조판서와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철종의 증조인 진종의 조천례에 관한 주청으로 인해 순흥으로 유배되었다. 서화에 능하였다.
-
김익 / 金熤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3∼1790). 우의정으로 진주 겸 주청사의 정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동지사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응교·대사헌·강호유수·우의정 등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
정기안 / 鄭基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5∼1767). 1752년 동지사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보덕·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고, 1766년 한성부우윤·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만모유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