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사위시” 에 대한 검색결과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3)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에 의장(儀仗)에 관한 일과 예기(禮器) 및 무기를 관장하던 관청. [내용] 주로 위위시(衛尉寺)로 불렸다. 918년(태조 원년)에 설치하여 내군경(內軍卿)이라 하였다가 960년(광종 11)에 장위부(掌衛部)로 고치고 후에 ...
  • 아베 다다아키(阿部忠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부충추(從從兼豊後守阿部忠秋)라는 직명과 이름으로 예조참판에게 회답서계(回答書契)를 보냈다. 1662년 마쓰다이라 노부쓰나가 죽자 막부 내각에서 고립되었으며, 1666년 로주를 사임하고 1671년 양자인 아베 마사요시(阿部正能)에게 대를 물려주었다. 남용익의 『...
    유형분류인물
  • 이케다 쓰구마사(池田繼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炊頭繼政)라고도 하였고, 사행록에는 비전국주 종사위 시종 계정(備前國主從從繼政) ∙ 송평 대취두(松平大炊頭)라고 하였으며, 『통항일람(通航一覽)』에는 송평 대취두(松平大炊頭)라고 하였다. 1714년 부친의 죽음으로 대를 이어 오카야마번 이케다가 제3대 번주가 되...
    유형분류인물
  • 장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전기에 의물(儀物)ㆍ기계(器械) 등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918년(태조 1)에 설치되었던 내군(內軍)이 960년(광종 11)에 개편된 것이다. 관속의 구성은 알 수가 없다. 뒤에 ()로 바뀌었다가 995...
  • TD_D2_D_0050 黃龍寺 불교 築宮, , 老松畫, 神畫 月城 眞興王 D_13_04_137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13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1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64)

  • 肆類于上帝,禋于六宗,望于山川,徧于群臣。【《說文》,。薛本同《說文》,類爲禷。伏本,禋爲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00 尙書古訓 卷一 ITKC_MP_0597A_0500_010_0190 肆類于上帝,禋于六宗,望于山川,徧于群臣。【《說文》,。薛本同《說文》,類爲禷。伏本,禋爲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
    권차명尙書古訓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淑愼爾止,無載爾僞。【杜云:“當愼擧止無行詐僞。”】 ○見《左傳》。【諸侯之大夫,會于澶淵。君子曰:“信不可不愼。《詩》曰云云。” ○襄三十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0480_150_0190_2014_010_XML 010 補曰 載者,始也。愼其所終,則不得以也。 ...
    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62545 B06254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正祖實錄 十六年(1792) 二月 정조실록_11602020_003 ○司諫申禹相上疏曰:○天討未行, 劇逆猶在。 島配還發, 律名依舊, 殿下以此耶非耶? 王府之關和至重, 國家之刑章至嚴, 而殿下惟意低仰, 不少留難, 旣命拿來, 旋...
    출처전거正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今不更煩, 人臣之義, 有死無貳, 無受命於君而經往敵陣, 大節已虧於數步之地, 而苟活無賴於廟社之汚衊, 則有何可恕之事。 臣等反覆思之, 不知聖意之所在也。 抑有一焉。 忠無二致, 事無兩是。 江都之陷沒, 亦有死義之臣, 金尙容·沈誢·李時稷, 尤其表表者也。 尹昉之不, 則三臣之死爲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今不更煩, 人臣之義, 有死無貳, 無受命於君而經往敵陣, 大節已虧於數步之地, 而苟活無賴於廟社之汚衊, 則有何可恕之事。 臣等反覆思之, 不知聖意之所在也。 抑有一焉。 忠無二致, 事無兩是。 江都之陷沒, 亦有死義之臣, 金尙容·沈誢·李時稷, 尤其表表者也。 尹昉之不, 則三臣之死爲非...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신문·잡지(2)

  • 12쪽에 이어 62쪽에 기사이어짐. 파일수정 및 해당파일 삭제요망 무술의 왕국에서 삶은 빛내가는 조선족 무술가 박문길 송섭 63 인도의 장 64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2
  • 東儂 고목화 [枯木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위를 보랴고 안이될걸 죵로에셔 맛고 셔빙고에가셔 눈흘기 모양이로군 여보 럽소 방졍맛게 녀편가 걸풋면 울기 웨울어 지로 르것갓흔 소를동북풍에 우박 퍼붓듯야 사이 당치 못계경을 당것만은 쳥쥬집이 가삼이 숫등걸이 다되도록 참 으며 지...
    게재일1907년 7월 26일 | 기사분류기타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의장에 관한 일과 예기 및 무기를 관장하던 관청. 918년(태조 원년)에 설치하여 내군경이라 하였다가 960년(광종 11)에 장위부로 고치고 후에 라 칭하였다가 995년(성종 14)에 위위시로 바꾸었다. 와 관련되는 관부로는 왕궁의 궁전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