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월초파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59)
- 사월초파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조선시대에는 민가에서 남녀노소 모두 참여하는 민속행사로 치러졌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불교 관계인들만의 행사로 제한되고 있다. 재래의 사월초파일이 비단 불교적 의미만이 아닌 민속행사였다는 것은 그 날이면 즐기는 여러 가지 민속놀이에서 충분히 짐작되는 것이다....이칭별칭석가탄신일
- 호기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음력 사월 초파일에 연등행사를 위하여 벌였던 아이들의 놀이. [내용] ‘호기동희(呼旗童戱)’라고도 한다. 사월 초파일은 불가의 최대명절로 삼국시대부터 대대적인 연등행사를 베풀어왔다. 이러한 행사에 앞서 미리 아이들이 기를 만들어 집...이칭별칭호기동희(呼旗童戱)
- 관불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불교에서 부처가 탄생하는 모습의 불상을 목욕시켜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법회. [내용] ‘욕불회(浴佛會)‧불생회(佛生會)‧용화회(龍華會)‧석존강탄회(釋尊降誕會)’라고도 한다. 사월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이 날을 축하하는 의미로...
- 느티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쌀가루에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서 찐 시루떡. [내용] 유엽병(楡葉餠)이라고도 하며, 사월초파일에 먹는 절식의 하나이다. 석가탄신일인 사월초파일에 연등을 하며 축하를 하였다는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오고 있으나 이날 먹는 음식에 관한 기록은...이칭별칭유엽병
- 민장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노예가 되었다. 그 때 고향에서 온 듯한 이상한 승려가 와서 데리고 가더니 깊은 개천을 만나자 옆에 끼고 개천을 뛰어넘었는데, 어느새 어머니 옆에 오게 된 것이라고 하였다. 이 때가 745년(경덕왕 4) 사월초파일이었다고 한다. 경덕왕이 관음보살의 영험을 듣고...
주제어사전(5)
-
사월초파일 / 四月初八日 [종교·철학/불교]
부처의 탄생일. 음력 4월 8일. 경과 논에는 부처의 생일이 2월 8일, 또는 4월 8일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각각 다른 음력 계산법에 의한 기록인 셈이다. 그러나 옛부터 음력 4월 8일을 부처님 나신 날이라고 하여 기념하여 전통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불교의 연
-
느티떡 / [생활/식생활]
쌀가루에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서 찐 시루떡. 유엽병(楡葉餠)이라고도 하며, 사월초파일에 먹는 절식의 하나이다. 석가탄신일인 사월초파일에 연등을 하며 축하를 하였다는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나오고 있으나 이날 먹는 음식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 후기의 『경도잡지(京都雜志)』
-
관등놀이 / 觀燈─ [생활/민속]
사월초파일에 석가의 탄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등에 불을 밝혀 달아매는 행사. 통일신라시대부터 행하였으나, 성행된 것은 고려조에 들어와서이다. 10세기에 고려 태조가 등놀이를 포함한 팔관회와 연등회를 국가적으로 장려하자, 이 행사는 고려조의 전체 시기를 통하여 온 나라의
-
낙화놀이 / 落火─ [생활/민속]
선비들의 뱃놀이나 시회(詩會) 때, 또는 사월초파일·대보름밤 등에 행하였던 불꽃놀이. ‘낙화유(落火遊)’·‘줄불놀이’라고도 한다. 밤하늘에 흩어지는 불꽃을 관상하던 운치 있는 놀이로, 주로 뱃놀이나 시회·관등놀이 등에서 놀이의 흥을 돋우기 위해 행하였다. 뽕나무나 소
-
탑돌이 / 塔─ [생활/민속]
사월초파일이나 큰 재(齋)가 있을 때 사찰에서 거행하는 불교의식 또는 민속놀이. 원래 탑돌이는 승려가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불교의식이었으나, 불교가